양상, 양상치기
농악 채상모춤 중 한 장단에 오른쪽과 왼쪽을 각각 두 바퀴씩 번갈아 돌려주는 사위
채상모춤은 일반적으로 농악대의 일원인 채상소고잽이 개인놀음의 일종이다. 농악대에는 머리쓰개인 채상모(상모)를 쓰고 소고를 든 채상모(상모)잽이의 채상모춤이 있다. 채상모춤 사위 중 하나인 양사는 채상모 물채를 오른쪽으로 두 바퀴 돌리고 왼쪽으로 두 바퀴 돌린다. 하나의 장단에 오른쪽과 왼쪽을 오가는 동작을 반복한다.
현재 사용하는 상모의 종류는 지역에 따라 특색을 보이고 있는데 호남우도농악의 뻣상모(깃상모, 털상모), 호남좌도의 부들상모, 경기충청과 경상도의 개꼬리상모, 강원농악의 퍽상모, 채상모, 열두발상모(긴상모) 등이 있다. 채상소고잽이는 소고를 들고 머리에 채상모를 쓰고 춤을 춘다. 채상모춤은 수렵이나 적을 방어하는 행위 또는 군사적 신호에서 비롯되었으며, 농사짓는 모습을 표현하는 농사풀이 동작도 많이 보인다.
채상모춤은 호흡을 내쉬어 무릎을 굽히고 숨을 들이마셔 무릎을 펴는 오금(굴신) 동작과 머리 위 채상모놀음이 서로 협응한다. 이를 웃놀음(채상모놀음)과 아랫놀음(발디딤, 발놀음)으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양사는 한 장단에 두 번의 오금으로 상모 물채를 오른쪽과 왼쪽을 번갈아 빠르게 돌린다.
상세하게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호흡에 오른쪽을 보며 순식간에 강한 오금(굴신)을 주어 왼쪽으로 원을 돌려 상모상을 정점까지 올려 보낸다. 이때 들어올리는 오금을 쓰며 고개를 전환하여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기까지 하나라는 정박에 소고를 친다. 둘째 박에서 다시 왼쪽을 보며 오른쪽으로 원을 그려 상모상이 정점을 찍은 후 셋째 박에서 힘껏 앉아 빠르게 한 바퀴 더 돌린다. 여기까지가 하나의 양사이고 고개를 돌려 호흡을 들어 올리며 상모짓을 반복 이어간다.
○ 주요 춤사위
농악 채상모춤의 공통점은 소고의 앞뒷면을 번갈아가며 치는 것과 소고를 밑에서 위로 올려 꼬아서 가슴 앞에 가져오는 동작이다. 채상소고잽이들이 머리 위로 채상모의 물채를 원형으로 돌리기도 하고 다양한 형상을 표현한다. 몸을 공중으로 날려 뒤집는 자반뒤집기 등의 기술이 있다. 가장 기본적인 사위는 외사로 상모의 물채를 시계반대 방향 한쪽으로 반복해서 돌린다. 주요 춤사위는 외사, 양상, 사사, 앞뒤로젖히는 사위, 사채(역진굿놀이), 나비상, 맺는상, 앉은상, 연풍대, 자반뛰기(자반뒤집기), 기러기춤, 엎어배기, 꽃봉오리, 옆걸음치기, 까치걸음 등이 있다.
채상모춤은 농악대의 반주에 개인놀음을 한다. 꽹과리, 징, 장구, 북과 지역별로 태평소가 추가되기도 한다. 특히 양상은 빠른 자진모리나 휘모리 장단에서 이루어지는 춤사위다.
채상모잽이는 벙거지(전립), 진자(징자), 적자(구슬), 물채와 띠지로 구성된 채상모를 쓰고 농악치배와 같이 바탕민복에 색조끼를 입고 삼색띠를 두른다. 채상모춤은 고갯짓을 하기 때문에 큰소고는 장애가 되므로 작은 소고를 든다.
채상모는 한팔 길이의 물채에 종이를 달아 연희하는 상모놀이로서 빠른 움직임을 통한 긴장감과 전투적인 박진감이 특징이다. 채상모춤은 고깔소고 치배와 마찬가지로 손에 소고를 쥐고 있기는 하지만 소고를 든 팔사위보다는 머리위의 ‘쓰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각적인 예술미를 극대화한다. 따라서 춤사위도 대부분 ‘윗놀음’에 집중되어 있다.
문진수, 「상모춤의 미적 탐색」,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양옥경, 「풍물굿에서 춤의 기능과 미학적 작용」, 『한국무용사학』 제 12호, 2011 이시영, 「웃다리 채상소고놀이 연구」, 광주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조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