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독우물굿, 남원굿
전라북도 남원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농악으로, 2019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음
남원 지역 마을농악의 전통으로부터 출발하여 걸립농악과 〈포장걸립〉의 단계를 거친 농악이으로서 호남좌도농악의 기본 장단에 변주를 가미하고, 치배 전원이 부들상모와 채상모를 쓰고 공연을 하는 등 난이도를 높인 연예농악이다.
남원농악은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독우물)의 농악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남원 독우물굿’이 그 유래이다. 현재의 남원농악은 이 〈독우물굿〉을 중심으로 하여 남원농악의 계보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독우물굿〉’은 이 마을의 소박한 마을농악의 상태에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이 마을의 상쇠인 류한준(柳漢俊, 1900~1952) 옹이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거주한 바 있었던 전판이(田板伊, 1869~?)라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상쇠로부터 마을농악보다 발전된 걸립농악 형태의 전문적인 농악 예능을 전수 받아 걸립농악 형태로 발전하여 호남좌도의 여러 지역으로 걸립농악을 하고 다니게 되면서 ‘남원농악’으로서 자리를 잡게 되었고 류한준 옹은 강태문(姜泰文, 1903~1965) 옹에게 상쇠를 물려주었고 강태문 옹은 류명철(柳明喆, 1942~2022, 류한준의 아들)에게, 그리고 2022년 류명철 사망 후에는 이수자인 김정헌이 상쇠를 물려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역사 변천 과정 일제 강점기 무렵 전판이라는 전문 농악인으로부터 기량을 익힌 류한준 옹은 해방 후 전국적인 ‘〈포장걸립〉농악패’의 상쇠로 전국을 순회하며 농악을 공연하게 되면서 남원시 금지명 옹정리의 마을농악은 일종의 전국적인 연예농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952년 류한준이 사망하고 나서 그의 부쇠였던 강태문이 상쇠를 맡게 되자 류한준의 아들인 류명철이 1957년 정월부터 강태문 상쇠가 이끄는 남원시 금지면 ‘독우물농악단’의 마당밟이에 농구로 참가하면서 농악에 입문하였다. 1959년 류한준패의 장고잽이였던 최상근은 포장걸립패를 결성하기 위하여 인원을 규합하고 있었다. 최상근은 류명철을 ‘금산농악단 최상근 일행’의 포장 걸립패 치배로 발탁한다. 최상근 일행은 16명의 공연자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1961년 서울 덕수궁에서 열린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여 금상을 수상하게 된다. 이때부터 활동 영역이 전국으로 확장된다. ‘금산농악단 최상근 일행’의 주요 치배들은 류한준패에 소속되었던 치배들이 대부분이라 류한준패의 〈포장걸립〉 방식을 그대로 따랐다. 1963년 상반기에 ‘금산농악단 최상근 일행’이 해산되면서 류명철은 독우물농악단, 조산농악단, 천거리농악단 등에서 활동하던 남원 지역의 농악인들을 규합하여 1970년대 초 ‘남원농악단’을 창단하였다. 1970년대는 호남 지역의 전문 농악인 집단이 해체되는 시기였고, 결국 1970년대 후반 류명철은 농악계에서 은퇴를 결심하고 가사에 전념하다 1994년 남원시에서 강습을 시작하면서 활동을 재개하여 1997년 남원농악보존회를 결성하였다. 1998년 류명철은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4호 남원농악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고. 2006년에는 남원농악보존회가 전북 무형문화재 7-4호 남원농악보유단체 지정되었으며 다시 2019년에 국가무형문화재 보유단체로 지정되었다. 류명철은 2021년부터 제자인 김정헌에게 상쇠를 물려 주었고 2022년 류명철의 사망 이후 김정헌이 상쇠를 이어받아 남원농악을 이끌고 있다. ○ 연행시기와 장소 [ 마을농악과 걸립농악] 주로 정월 대보름을 전후로 하여 주간에는 당산굿과 지신밟기 등을 하고 야간에는 마을의 넓은 터에 판을 만들어 판굿을 공연했다. ○ 〈포장걸립〉농악 전국을 순회하면서 넓은 마당에 포장을 둘러치고 매표소에서 돈을 낸 입장객을 대상으로 하여 주간과 야간에 공연을 했다.
○ 절차 및 주요 내용 ① 질굿/길굿 → ② 마을문굿 → ③ 들당산굿→ ④ 마당밟이굿 (동네우물굿→ 집안문굿 → 마당굿 → 조왕굿 → 장독굿 → 곳간굿 → 집안샘굿 → 고사소리 → 술굿 → 인사굿)→ ⑤ 판굿 → ⑥ 날당산굿
현재 전승되는 남원농악의 공연상의 주요 특징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마을농악의 단계에서 벗어나 걸립농악의 단계를 거쳐 〈포장걸립농악(연예농악)〉의 단계에까지 발전한 전문적인 농악이다. 둘째, 판굿의 짜임이 크게 앞굿과 뒷굿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음악적인 ‘앞굿’과 연희적인 ‘뒷굿’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개꼬리상모’라 불리는 부들상모놀이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넷째, 장단의 변주가 많고 전반적으로 빠르다.
전북무형문화재(2006) 국가무형문화재(2019)
김정헌, 『남원농악』, 민속원, 2014. 김정헌, 『한국농악의 역사와 이론』, 한국학술정보, 2009.
김정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