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유파의 하나로, 경기·충청 지역에서 주로 전승되어 온 소리제.
중고제는 조선 후기부터 20세기 초까지 경기·충청 지역에서 전승된 판소리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다. 평조 중심의 단조로운 선율과 고졸한 시김새, 재담의 활용이 특징이며, 즉흥성이 강하다. 염계달과 김성옥의 소리 방식과 창법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는 중고제 창자들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20세기 전반 이후 전승이 쇠퇴하였고, 현재는 더늠 형태로 일부만 전해진다. 최근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복원 움직임이 나타나며, 판소리의 다양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1940년에 출판된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는 중고제의 유래에 대해 “중고제 호걸제는 염계달(廉季達) 김성옥(金成玉)의 法制(법제)를 많이 繼承(계승)하여 京畿(경기), 忠淸(충청)間(간)에서 大部分(대부분) 流行(유행)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지역 간 왕래가 원활하지 못하였던 조선 시대에는 자연스레 지역을 중심으로 음악 문화가 발달하고 판소리 전승이 이루어졌으므로, 판소리 유파도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발전하였다. 중고제는 19세기 중후반 염계달과 김성옥의 소리를 법제로 하여 경기·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 명칭의 의미 중고제는 조선 후기부터 20세기 초까지 경기와 충청 지역에서 전승되었다. 동편제와 서편제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며, 지역적 특성과 민속음악적 요소가 결합된 독자적인 소리 양식을 형성하였다. ‘중고’라는 명칭은 음역과 표현 방식에서 중간적 특성을 지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음악상의 특징 중고제는 판소리 평조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솔, 라, 도, 레, 미(파)’의 5음 중 ‘솔, 도, 레’가 주된 골격을 이룬다. 솔은 요성되고, 레는 퇴성되는 특징을 지니며, 이는 충청 지역의 남부경토리와 유사한 악조로 분류된다. 선율 진행은 동편제나 서편제에 비해 비교적 단조롭고 시김새가 화려하지 않아 고졸하고 담백한 느낌을 준다. 극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해 이야기와 해학적 표현이 풍부하게 사용되며, 이는 옛 판소리의 전통을 계승한 특징으로 간주된다. 중고제는 정형화된 틀보다는 창자의 개성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즉흥적 표현이 강하게 나타난다. ○ 역사적 변천과 전승 중고제는 경기와 충청 지역에서 활발히 전승되었으며,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는 방만춘, 고수관, 김성옥, 김제철, 정춘풍, 김정근, 황호통 등 20여 명의 충청 출신 창자들이 기록되어 있다. 20세기 전반에는 이동백, 김창룡, 심정순 등이 중고제의 대표적 명창으로 활동하였으나, 이들을 끝으로 중고제의 전승은 쇠퇴하였다. 20세기 초 판소리의 대중화 흐름에 중고제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고, 즉흥성과 고졸한 표현 방식이 대중적 취향과 맞지 않아 전승에 어려움을 겪었다. 오늘날에는 중고제 판소리가 더늠 형태로 일부 전승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더늠으로는 《적벽가》 중 〈삼고초려〉, 고수관의 《춘향가》 중 〈자진사랑가〉, 염계달의 《춘향가》 중 〈네그른 내력〉 등이 있다.
판소리 중고제는 20세기 전반 이후로 전승이 끊어졌다고 알려져 있으나, 심정순의 춘향가 일부와 이동백의 적벽가가 몇몇 창자들에 의해 연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충청 지역에서 중고제 판소리를 복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는데, 판소리의 다양성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신은주, 『판소리 중고제 심정순 가(家)의 소리』, 민속원, 2009.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출판사, 1940.
신은주(申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