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비(聲婢), 가아(歌兒)
민간의 노래 잘하는 여자 노비.
관청 소속 기생이 아닌 예능에 소질 있는 사대부가의 노비를 일컫는 말이다. 상류층의 사교 활동에 동석하여 지식인들이 즉석에서 지은 시문(詩文)을 노래하거나 이들의 사적인 음악 향유를 담당하였다.
정확한 역사와 유래를 알기 어려우나 노비제도 성립과 동시에 노비 역할의 하나로 예능에 재능있는 노비들에게 가무악을 담당하는 임무가 주어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 이후 문집류의 기록에서 시중드는 노비에게 노래를 부르게 한 정황들이 포착되고, 관련 문장에서 가비(歌婢)라는 명칭 외에 ‘성비(聲婢)’ㆍ‘가아(歌兒)’ㆍ‘금가비(琴歌婢)’ 등의 용어도 사용되었다. 세종 때에는 명(明)의 요청으로 민간의 노비를 선발하여 가무악을 가르친 뒤 파견한 적이 있었는데, 이들을 ‘창가비(唱歌婢)’라고 하였다.
상류층의 사교 모임에서 시문을 지어 노래로 부르거나 연회에서 여흥을 돋울 때 음악을 담당한 민간의 여자 노비를 주로 가비라고 하였다. 가비가 되는 과정이나 수련, 예능활동에 대한 처우 등을 상세히 알 수 없고, 문인들의 일상 기록을 담은 시문에서 이들의 존재와 역할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다.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이 가비(歌婢)로 하여금 〈송하문동장하(松下問童墻下)〉 한 곡을 노래 부르게 하자 유희춘(柳希春)이 자작시 〈헌근가(獻芹歌)〉를 보이니 가비가 즉시 노래로 불렀다’는 『미암집(眉巖集)』의 사례는 문인들의 사교 자리에 동석하여 가창(歌唱)을 담당한 가비의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가비 중에는 재능을 연마하여 당대의 이름난 음악인으로 성장한 사례도 있다. 유몽인이 지은 『어우야담(於于野談)』에 나오는 석개(石介) 이야기다. 석개는 조선 시대 중종의 셋째 부마였던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노비였는데 노래 열정과 재능을 눈여겨 본 송인의 도움으로 노래를 제대로 배워 마침내 최고의 명창이 되었다. 주변의 여러 문인들이 다투어 석개와 그의 노래를 주제로 시를 지어 '시첩'을 만들 정도로 인기를 누렸다. 가비의 존재는 19세기 말 신분제도의 변화 및 전통 사회 기반이 무너지면서 함께 자취를 감추었다.
전업 예능인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민간의 악무 향유 공간에서 가무악을 담당했던 이들로 기생과 구분되는 전통사회의 음악 직업군으로서 의의가 있다.
『세종실록』 『미암집(眉巖集)』 『어우야담(於于野談)』
허경진, 『악인열전(樂人列傳)』, 한길사, 2005.
송혜진(宋惠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