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전통연희를 중심으로 흥행하던 근대극장.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 전통연희를 중심으로 공연한 근대극장으로, 동대문 전차 차고 안의 ‘활동사진소’를 시작으로 하여 전통연희의 맥을 잇고 시대변화에 따른 근대적 공연의 활성화에 기여했다.
극장명의 유래는 고종황제의 연호인 광무(光武: 1897.8.16.-1907.2.1.)에서 비롯되었다. 1898년 미국인 콜브란(H. Collbran)과 보스트윅(H. R. Bostwick)이 동대문에 있던 한성전기회사(漢城電氣會社) 전차 차고 안 창고 건물에 설치한 가설무대가 광무대의 시작이다. 이후 약 9년간 활동사진을 상영하는 장소로 운영되다가, 1907년 5월 28일 정식으로 ‘광무대’라 칭하고 첫 개장 공연을 올렸다. 이때 광무대는 종전의 활동사진소에서 벗어나 창가ㆍ탄금ㆍ무용 등 전통 연희로 영역을 넓혔는데, 특히 개장과 동시에 당대 최고의 명창인 김창환(金昌煥)과 송만갑(宋萬甲)이 13세 연화(蓮花)와 11세 계화(桂花) 두 소녀를 지도하여 ≪춘향가≫의 역할을 분담시키는 창극(唱劇) 형태의 공연을 올린다는 사실을 미리 기사화하며 대대적인 흥행을 유도했다. 이는 광무대가 전통연희를 창조적으로 개량하는 극장으로 나아갈 것임을 분명히 보여준 상징적인 출발이었다.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이듬해인 1908년 9월 흥행업자 박승필이 인수하면서, 광무대는 본격적인 전통연희 전용 극장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 설립주체와 목적
한성전기회사는 1898년 1월, 김두승과 이근배의 청원에 따라 설립되었다. 이는 근대화를 추진하기 위한 산업 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고종과 황실의 주도 아래 이루어진 것이다. 당시 조선은 전기와 교통 등 근대적 기반 시설의 도입을 통해 국가의 산업화를 도모하고자 했으며, 한성전기회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차 운행과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핵심 기업으로 출범하였다.
그러나 자본과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미국의 자본가 콜브란과 보스트윅의 도움을 받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회사 소유권의 일부가 이들에게 넘어갔다. 이후 1904년 7월에는 회사 명칭을 한미전기회사로 변경하였으며, 1909년에는 일본의 국책회사인 일한와사회사에 매도되었다.
한미전기회사는 전차 승객 수를 늘리기 위한 상업적 목적에서 연희사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위해 동대문 기계창의 창고 건물을 활용하여 활동사진을 상영하는 동대문 활동사진소를 운영하였다. 이후 연희패의 공연까지 기획하며 본격적인 흥행을 시작하였고, 1907년 5월 30일 <만세보> 기사에 따라 해당 공간을 “광무대”라 명명하였다. 당시 한미전기회사 임원이었던 이상필, 곽한승, 곽한영이 발기하여 광무대를 회사의 부속단체로 운영하였다. 이처럼 광무대의 설립은 전차 사업의 수익 증대와 대중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 장소의 위치와 규모
한성전기회사는 1898년 설립 당시 종로 2정목 8번지, 현재의 종로2가 종로 74 장안빌딩에 위치해 있었다. 동대문 활동사진소는 전차 차고의 창고 건물로 동대문 밖, 현재의 서울 종로6가 JW메리어트동대문스퀘어 호텔 부근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1913년 5월 폐관되기 전까지 광무대의 활동 장소였다.
1913년 6월부터는 황금정 4정목, 현재의 을지로 4가에 위치한 황금유원 내 연기관을 임대하여 광무대 활동을 이어갔다. 황금유원은 놀이공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점과 음식점이 있었으며, 영화 상영을 위한 황금관과 공연장이었던 연기관이 주요 건물이었다.
이후 광무대는 종로의 권상장으로 분화되어 운영되었는데, 권상장은 일본인 항곡이 1922년 종로 4정목에 세운 서양식 2층 복합 상업 건물로, 1층은 상업 공간, 2층은 전시 및 공연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광무대는 이 공간을 임대하여 공연 장소로 활용하였다.
○ 운영주체 및 조직 구성
1907년 5월 광무대의 발기인은 한미전기회사 임원이었던 이상필, 곽한승, 곽한영이었으며, 1908년 5월에는 전 경무사 장우근이 사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1908년 9월 박승필이 전문극장 경영을 시작하였고, 1909년 8월 일한와사 전기회사가 인수하면서 극장주가 변경되었다.
광무대는 황금유원 내 연기관으로 이전하면서 극장주가 다무라 기지로로 바뀌었으나, 박승필에 의한 극장 운영은 지속되었고, 그는 전문 경영인으로서 전속 기생 고용, 명창 중심의 공연, 신극단체 수용 등 장기 공연이 가능한 체계를 구성하였다.
○ 주요 활동
동대문 활동사진소가 ‘광무대’라는 극장명으로 확정되면서, 전통 연희 무대를 선보이기 위한 첫 개량 공연으로 판소리 《춘향가》의 한 대목을 창극화하였다. 이를 위해 명창 김창환과 송만갑이 어린 여아 연화와 계화를 지도하여 전속 고용하였고, 이들의 공연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초기 공연은 구체적인 기록이 많지 않지만, 관기 중심의 전통춤인 〈관기남무〉, 〈가인전목단〉, 〈검무〉, 〈승무〉, 〈한량무〉, 〈성진무〉, 〈무고〉와 창작춤인 〈전기광무〉, 〈지구무〉 등이 공연되었으며, 《주악》, 《연희》, 《연극각종》, 《잡극》 등의 명칭으로 다양한 전통연희가 무대에 올랐다.
한일병탄 이후 일제는 전통연희를 비하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장하였고, 장안사와 연흥사의 폐관 등으로 전통 공연이 위축되었으나, 광무대는 창극을 중심으로 전통예술을 지켜내는 역할을 하였다. 일제의 단속에 대응하여 공연 종목을 조정하고 ‘신구연극’이라는 명목으로 단발성 공연을 기획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이어갔다.
광무대의 전속 기생 옥엽, 채란, 산옥 등은 다양한 장르에 출연하며 흥행을 이끌었고, 김인호는 땅재주와 마당 연희를 극장화하여 선보였으며, 박춘재는 가곡, 가사, 시조, 가무, 재담, 희극에 능하여 광무대 공연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였다.
명인·명창으로는 홍도, 보패, 임명옥, 이소향, 김옥희, 이금향, 이일선 등이 활동하였으며, 《춘향가》와 《심청가》는 단일 공연명으로도 올려졌지만, 판소리의 일부를 떼어내어 《옥중화》, 《개량 춘향가》, 《어사출도》, 《농부가》, 《어사순찰광경》, 《암행어사시찰》 등의 제목으로도 공연되었고 큰 인기를 끌었다. 그 외에도 《장자고분지탄》, 《박타령》, 《효자소설》, 《백상서》, 《연의각》, 《개량 제비타령》 등의 작품이 공연되었다.
1920년대에는 혁신단, 취성좌 등의 신파극과 신극, 양악까지 수용하였으며, 1925년 토월회 직영 시기에는 창작극과 번안작을 상시 모집한다는 각본 현상 모집 광고를 통해 신극 및 고전의 현대화 상연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당시 신문 기사에서 박승필의 활동을 부각시키며, 매년 창립기념 공연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광고를 통해 알려졌다. 1927년 4월 13일 광무대에서 열린 일류명창대회에는 김인호, 김창룡, 이동백, 강소춘, 고비연, 고향란, 이행화, 이화중선 등이 총출연하였고, 1928년 9월 9일자 광고에는 《가야금》, 《경성무가》, 《경성좌창》, 《기계체조》, 《남녀창》, 《단가》, 《바이올린》, 《서도잡가》, 《서양춤》, 《신파활극》, 《일본가곡》, 《재담》, 《줄타기》, 《창가》, 《채플린 패러디》, 《평양굿》 등의 공연과 김금선, 김유앵, 김종기, 이일선, 임명월 등의 출연자가 소개되었다.
○ 역사적 변천 1909년 극장의 소유권이 일한가스회사(日韓瓦斯會社)로 넘어갔고, 1913년 5월 가스회사가 해당 건물을 차고로 사용하기로 하면서 동대문 시대의 막을 내렸다. 박승필은 곧바로 같은 해 6월, 황금정(현 을지로)의 유원지 내 연기관을 임대하여 광무대의 명맥을 이었다. 이후 경영난으로 1925년 신극 단체인 토월회(土月會)에 1년간 직영권을 넘겼다가 다시 운영했으며, 1927년에는 박승배에게 경영권을 넘겼다. 1928년에는 황금정과 종로 권상장 두 곳으로 분화 운영되기도 하였으나, 1930년 5월 2일 황금정 광무대가 화재로 소실되며 사실상 폐관되었다.
1908년 박승필이 광무대를 인수하면서 전통연희 중심의 극장을 선명하게 표방했다. 구극ㆍ판소리ㆍ민요ㆍ무용ㆍ연희 등 주요 분야의 개량화를 시도하며, 당대 타 극장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공연레퍼토리를 선보였다. 선도적인 공연 형식의 변화는 신문지면을 통한 전략적 홍보를 통해 가시화되면서, 다른 극장과 당대 서민층에 반향을 일으켰다. 흥행을 위한 목적이기도 하지만, 전통예술을 지키고자 했던 박승필의 의지와 신문화 유입에 따른 변화에 적극 대처했던 전략적 목표가 잘 맞았던 결과였다. 비록 소수이지만 전통연희의 안정적 개량화를 위해 극장의 전속 고용 체제를 만들고, 전통연희의 상설화를 정착시킴으로서 당대 명인들의 활동 공간을 만들어 주었다. 뿐만 아니라 신인의 발굴과 성장에 기여했으며, 구극ㆍ신파극ㆍ신극 등을 올려 레퍼토리의 영역을 확장했다. 이것은 1925년 토월회의 광무대 직영기에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는데, 신극 단체임에도 광무대와의 관계에 따라 고전과 전통적 연희물의 수용 및 막간의 활용과 같은 흥행 극단으로서 면모를 보이며 이원적 체제로 운영했다. 일제강점기 최초의 활동사진소로 출발하여 전통연희 전용 극장으로서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에 앞장섰고, 당대 예인들의 활동 공간으로서 대중화에 성공하며 민족 정서의 보루 역할을 했던 광무대는 구극ㆍ신극ㆍ신파극 등 다양한 공연 장르의 근대화 과정에 핵심적 매개 장소로 기여했다.
유민영, 한국 근대극장 변천사, 태학사, 1998. 권도희, 「한국 초기 문화산업사에서 흥행의 합리화 과정에 대한 연구 –1907~1920년대 초까지 흥행 주체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35. 한국공연문화학회, 2017. 김민수, 「광무대의 공연 활동 연구: 1910년대 전통연희공연을 중심으로」, 이화음악논집 25권4호,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김영희, “일제강점기 초반 기생의 창작춤에 대한 연구-191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33 , 2004. 배연형, 「근대 극장(劇場)사진(寫眞) 자료 연구 (1) -협률사․원각사․광무대-」, 한국사상과 문화 30,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백두산, 「식민지 조선의 상업․오락 공간, 종로 권상장(勸商場) 연구: 192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42, 한국극예술학회, 2013. 성명현, 「박승희의 극단 토월회(土月會: 1923~31)의 광무대 직영기(1925.4~26.3) 공연활동 상에 관한 논고」, 지방사와 지방문화 19권 2호, 역사문화학회, 2016. 이주영, 「광무대 연구-제국의 시선으로부터 비껴간 근대 극장」 , 한국연극학 48, 한국연극학회, 2012.
박선욱(朴羨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