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椌)
야구방망이처럼 생긴 채[止]를 울림통 위 판의 구멍에 넣고 절구처럼 내려치는 무율 타악기.
고려 시대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이 전래 될 때 유입되어 궁중의 제례악과 연향악 연주 시 시작을 알리는 기능을 했던 타악기이다. 음악을 그치는 신호를 주는 어와 함께 짝으로 편성된다. 현재 《종묘제례악》,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 등의 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다.
축은 한반도에 고려 시대부터 등장한다. 1116년(예종 11)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이 들어올 때 포함되어 있었다.
○ 역사
유입 직후부터 제례악을 연주할 때 시작을 알리는 기능을 담당하는 악기로 자리하였다. 따라서 만물 생성의 시작인 봄에 해당하는 방향인 동쪽에 두어 자연과의 조화를 지향하였다. 또한 축이 댓돌 위 당상에 배치될 때는 강이라는 명칭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는데, 축을 연주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음차한 것이라는 해석과 나무 채[木]로 빈 공간[空]을 치는 악기 구조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조선 시대에는 제례악 뿐 아니라 연향악에도 쓰였으며, 그러한 전통은 대한제국 시기까지 이어졌다. 이후 경술국치로 인해 궁중 의례가 축소되었다가 오늘날 《종묘제례악》ㆍ《사직제례악》ㆍ《문묘제례악》 등에 편성되고 있다.
○ 구조와 형태 울림통ㆍ채ㆍ받침대로 구성된다. 울림통은 밑면이 좁고 윗면이 넓은 역사각 뿔대 형태의 나무상자이다. 울림통의 규격은 대략 윗변 46.5cm, 아랫변 39cm, 각(脚) 30.9cm 정도 된다. 겉면은 청록색 계열로 칠하고, 산수(山水)ㆍ풀과 나무[草木]ㆍ구름 등을 그려 넣으며, 위 면 한가운데에 지름이 9cm 정도 되는 동그란 구멍을 뚫는다. 한편 조선 초기에는 옆면에 구멍이 뚫린 형태의 축도 있었다. 채는 붉은 칠을 하여 사용하며, 규격은 길이 약 60cm, 지름 5-6cm 가량 된다. 야구방망이처럼 생긴 채를 울림통 위 면에 뚫린 구멍 속에 넣어 놓고 사용한다. 한편 『악학궤범』에는 일자형이 아닌 ‘⊥’ 모양의 채가 보인다. 받침대는 『악학궤범』에 제례용과 연향용으로 두 가지 종류가 보인다. 제례용 받침대는 사각형의 상자 모양이며, 연향용은 높이가 있는 상(床) 모양이다. 오늘날에는 제례용으로 사용했던 형태의 받침대가 전승되고 있으며, 너비와 길이가 각 45cm, 높이가 36cm 정도이다.
○ 연주 방법과 기법 조선 시대에 ‘⊥’ 모양의 채를 사용했을 때는 밑바닥을 한 번 친 후 좌우로 치는 방법으로 하였다. 그러나 일자형의 채를 쓰는 오늘날에는 연주자가 축의 중심에 서서 울림통에 꽂힌 채의 윗부분을 손으로 잡고 수직으로 밑바닥을 향해 ‘쿵쿵쿵’ 내려치는 방식으로 연주한다. 박ㆍ특종ㆍ절고 등 합주의 시작을 알리는[樂作] 기능을 하는 다른 타악기들과 조화를 이루며 질서 있게 진행한다. 문묘제례악에서 연주 시작 신호음을 제시하는 타악기들의 순서(박 → 특종 → 축+절고 → 특종 → 박)를 악보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연주악곡 《종묘제례악》ㆍ《사직제례악》ㆍ《문묘제례악》 ○ 제작 및 관리방법 울림통은 소나무로 만들고, 받침대는 피나무[椵木]로 제작한다. 규격에 맞게 나무를 가공하여 형체를 갖춘 후 색을 칠하고 그림을 그려 넣는다.
어는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을 뿐 아니라 음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의를 지닌다. 연주법이나 음향은 단순하나 궁중음악을 합주할 때 연주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측면에서 일종의 지휘자 같은 위상과 의미가 있다.
『고려사』「악지」 『고종임인진연의궤』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사직서의궤』 『순조기축진찬의궤』 『악학궤범』 『이왕가악기』 『조선아악기사진첩 건』 『종묘의궤』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2016. 송혜진 글ㆍ강운구 사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이정희, 『궁궐의 음악문화』, 민속원, 2021.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