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선문무(望仙門舞)
순조 대에 창작되었고, 부채 종류의 의물인 작선(雀扇)으로 만든 문으로 무용수가 드나들며 추는 춤
‘선인(仙人)을 기다린다’는 뜻의 망선문은 조선 후기 순조(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 때 창작된 정재이다. 무용수 네 명이 작선(雀扇)을 받들고 신선의 세계로 통하는 문을 만들어 서면, 무용수 두 명이 당(幢)을 들고 뒤에서 만들어진 문을 드나들며 춤춘다. 효명세자가 지은 창사를 노래한다.
망선문은 1828년(순조 28) 6월 1일에 순조비 순원왕후의 40 세 생일을 기념하여 창덕궁 연경당에서 열린 진작 때 처음 연행되었다.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순조와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에게 네 번 절하고, 목아사(얇고 뻣뻣한 면)나 무명으로 만든 손수건의 일종인 휘건을 올릴 때 무동 여섯 명이 망선문무(望仙門舞)를 춤추었다. 연경당 진작의 첫 번째 순서로 공연된 정재로, 휘건을 올리는 의식을 마치면 망선문도 마쳤다. 춤 반주음악으로는 〈제천악(齊天樂)〉을 연주했다.
『(무자)진작의궤』(進爵儀軌)「부편‧악장」에는 망선문에 관련된 중국문헌이 제시되어 있다. 첫째는 『당회요(唐會要)를 인용하여 “망선문 등의 문은 어두워지면 문을 닫고, 오경(五更, 5-7시)이 되면 문을 연다”라고 했다. 망선문은 당나라에 실제 있었던 문으로, 대명궁(大明宮) 정문인 단봉문(丹鳳門) 서쪽에 있었다. 둘째는 『패문운부(佩文韻府)』에 수록된 안수(晏殊, 991~1055)의 사(詞)를 인용하여 “군왕의 은혜를 입어 망선문을 제창하였다”라고 했다. 안수가 지은 ‘사’ 형식의 노래는 태평성대를 이룬 송나라 황제의 은덕을 칭송하고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내용이었다. 효명세자는 중국 전거의 두 내용을 망선문 정재악장의 창작 모티프로 선택했고, 작선으로 ‘문’을 만들어 형상화했다.
무동이 춤춘 망선문은 『(무자)진작의궤』와 『무동각정재무도홀기(舞童各呈才舞圖笏記)』에 기록되었으며, 드물게 공연되었던 정재였다. 20세기 초반에 단절되었다가 현대에 재현되었다. 1994년 11월 24일 국립국악원 소극장에서 열린 ‘전통, 창작 무용 발표회: 창작무용’에서 망선문이 공연된 이후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 내용
신선의 세계에서 온 듯한 복식을 입은 무용수가 출연하여 네 명은 작선을 들고 앞에 서서 문을 만들고, 두 명은 당을 들고 작선으로 만들어진 문을 드나들면서 춤을 춘다. 현재 전하는 의궤 한 건과 홀기 한 건에는 모두 무동이 공연했다.
○ 구성
도입부에서는 작선을 받든 무용수 네 명이 문을 만든다. 진행부에서 당을 잡은 무용수 두 명이 작선으로 만들어진 문 안으로 들어가 춤을 춘다. 한 명은 왼쪽으로 돌고 한 명은 오른쪽으로 돌아 다시 문 밖으로 나와 춤을 춘다. 당을 잡은 두 명이 함께 크게 돌면서[회선(回旋)] 문 안으로 들어가 춤추고, 문 밖으로 나오기 직전에도 빙빙 돌며[선전(旋轉)] 역동적으로 춤을 춘다. 종결부에서 모두 물러난다.
○ 주요 춤사위 망선문에서 주요 춤사위는 문을 드나드는 동작인데, 세 가지로 압축된다. ① 입작선작문(入雀扇作門)은 작선으로 만들어진 문 안으로 들어가는 동작이다. ② 출작문이무(出作門而舞)는 문 밖으로 나오며 춤추는 동작이다. ③ 회선입작문(回旋入作門)는 두 무용수가 크게 돌면서 문 안으로 들어가는 동작이다.
망선문 창사는 1828년(순조 28)에 효명세자가 지었다. 통상 무용수가 다 함께 창사를 부르는데, 창사가 생략되는 경우도 있었다. 창사의 제1구는 활짝 열려진 하늘 문을 통해 인간세계와 신선세계가 서로 오갈 수 있음을 말했다. 제2구에서는 왕이 사는 궁궐은 선계의 향기를 맡을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움을 말하고 있다. 제3구에서 선인이 이곳, 잔치공간으로 내려올 것이라 기대하였다. 순조가 태평성대를 이룩하여 백성들에게 은덕을 베풀었기 때문에 선계의 선인이 내려올 수 있다는 상징이 내포되었다. 망선문 창사는 다음과 같다. [창사] 丹霄九重閶, 闔通寶殿雲. 단소구중창, 합통보전운. 端天香近這, 乘鶴仙子來 단천향근저, 승학선자래. [창사] 단소(丹霄, 아홉 하늘 중 가장 높은 하늘)의 아홉 겹 대궐문을 보전(寶殿, 금은보옥으로 장식한 훌륭한 궁전)의 구름이 열고 닫네. 단천향(端天香, 하늘의 향기)이 이곳 가까이 나니, 학을 탄 신선이 오는구나. - 원문출처: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2』번역: 강명관
1828년(순조 28)에 망선문이 초연된 때의 반주음악은 ‘하늘과 가지런하도록 오래 산다’는 의미를 담은 〈제천악(齊天樂)〉이었는데, 아명이라 실제 곡목은 알 수 없다. 연대미상의 『무동각정재무동홀기』에서 망선문의 반주음악은 〈향당교주(鄕唐交奏)〉였다. 현대에 국립국악원에서 무대화된 망선문에는 〈보허자〉ㆍ〈삼현도드리〉ㆍ〈타령〉을 반주음악으로 한다.
망선문 복식은 신선 세계에서 온 것을 상징하는 깃털 장식이 특징적이다. 『(무자)진작의궤』「부편ㆍ공령」의 망선문 무동의 복식에서 당을 든 무동 두 명은 자라포(紫羅袍)를 입고, 남사대(藍紗帶)와 학정대(鶴頂帶)를 두르고, 비두리(飛頭履)를 신는 것이 작선을 든 무동 복식과 달랐다. 역할에 따른 복식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역할 | 모자 | 상의 | 하의 | 허리띠 | 신발 |
봉작선 무동 | 주취금관 (珠翠金冠) | 화금포(花錦袍) 흰색바탕에 흑색 선을 두른 중단의 [白質黑線中單衣] 백우호령(白羽護領)
| 남색 바탕의 흑색 선을 두른 치마 [藍質黑線裳] 백우엄요(白羽掩腰) | 자사대 (紫紗帶) 보대 (寶帶) | 무우리 (無憂履) |
집당 무동 | 주취금관 | 자라포(紫羅袍) 흰색 바탕의 흑색 선을 두른 중단의 백우호령 | 남색 바탕의 흑색 선을 두른 치마 백우엄요 | 남사대 (藍紗帶) 학정대 (鶴頂帶) | 비두리 (飛頭履) |
망선문의 주요 춤 도구는 작선(雀扇)과 당(幢)이다. 작선은 문의 형태를 만드는데 필요한 의물로, 나무 자루 끝에 공작모양의 부채가 달린 모습이었다. 망선문 정재에서 작선은 신선의 세계로 들어가는 상징적인 문을 형상화 하는데 쓰였다. 『(무자)진작의궤』 「도식」에는 ‘공작선’으로 표기되었다. 당은 작선으로 만든 문을 드나들며 춤추는 무동 두 명이 드는 춤 도구였다.
선인(仙人)을 기다린다는 내용의 망선문은 공연 방식이 간결하고 상징적이다.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상징인 신선이 학을 타고 ‘지금 여기’ 진작례가 열리는 연경당으로 내려왔다는 창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흥구ㆍ손경순, 『한국궁중무용총서: 13』, 보고사, 2011. 이의강 책임번역,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사진실, 「연경당 진작의 관극체험과 무대미학」, 『공연문화연구』 18, 2009. 이의강, 「순조 무자년(1828) ‘연경당진작’의 성격과 연출 정재들 간의 내적흐름」, 『민족무용』 7, 2005. 조경아, 「순조대 정재 창작양상」, 『한국음악사학보』 31, 2003.
조경아(趙京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