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잡기 전 어르는 춤동작
농화이무는 <가인전목단>ㆍ<침향춘> 정재에서 추는 춤동작이다.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어 왔고, 조선후기 『정재무도홀기』에서 농화이무를 확인할 수 있다.
농화이무(弄花而舞)를 풀이하면, ‘꽃을 희롱한다’는 뜻이다.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농화이무는 꽃을 무구로 사용하는 정재에서 꽃을 잡기 전 꽃을 어르는 춤동작이다. 정재마다 사용하는 무구의 형태와 놓인 위치에 따라 무용수들이 꽃을 잡는 손 위치가 달라진다. 〈가인전목단〉은 무대 가운데 놓인 화준을 향해 농화하고, 〈침향춘〉에서는 무대 앞 좌우에 놓인 화병을 향해 농화를 춘다.
현재의 농화이무 춤동작은 한국전쟁 후 국립국악원 주도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이 <가인전목단>과 <침향춘>을 재현할 때 무대 공연으로 안무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는 농화이무를 문헌 기록과는 상관없이 정재 작품마다 다양한 형태로 춘다. 현재 추어지는 농화이무는 정재마다 무구[꽃]의 형태 및 설치된 양상이 달라 꽃을 양손 혹은 한손에 잡고 춤사위를 다양하게 구성한다.
〈가인전목단〉에서는 무대 가운데 놓인 화준(花樽)에 꽂힌 꽃을 잡기 전에 농화이무를 추고, 오른손과 왼손 동작이 구분된다. 오른손 농화는 양손을 모아 위로 둥글게 뿌린 후, 왼손은 허리에 대고 오른손을 화준을 향해 내밀고 어르는 동작이다[2장단]. 왼손 농화는 여섯 가지 동작으로 나뉜다. ① 물러나며 왼손은 뒤로 여미고 오른손을 위로 들어 좌우로 어른다.[2장단] ② 나아가며 양팔을 옆으로 펼쳐들어 왼팔을 옆으로 뿌리고[1장단] 다시 양팔을 옆으로 펼쳐들어 오른팔을 옆으로 뿌린다.[1장단] ③ 좌우 손을 각각 뿌려 어깨에 걸치고 화준 중심으로 외향-내향하고[1장단], ④ 투스텝으로 나아갔다 물러나며, 오른손은 위로 들고 왼손을 앞으로 여몄다가[전염] 뒤로 여민다.[1장단] ⑤ 투스텝으로 나아가며 오른손은 위로 들고 왼손을 앞으로 여몄다가[전염] 뒤로 여민다.[1장단] ⑥ 왼손을 들어 양팔을 위로 펼쳐 들어 오른쪽으로 돌아 왼손을 화준 앞으로 내민다.[2장단]
한편 〈침향춘〉에서는 농화이무를 각각의 화병에 꽂힌 꽃을 잡기 전에 타령장단에 맞춰 양손을 양옆으로 들어 올려 어깨에 메었다가 위로 뿌려 좌우 손을 앞뒤로 여미는 팔수무 동작으로 추고, 이어 양손을 모아 위로 둥글게 뿌려 왼손은 허리에 대고 오른손을 화준을 향해 앞으로 내밀고 어른다.[2장단]
반주 음악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가인전목단>ㆍ<침향춘>의 농화이무 음악은 향당교주(鄕唐交奏)이다. 현재 <가인전목단>ㆍ<침향춘>의 농화이무는 공연의 성격에 따라 도드리ㆍ타령 장단에 맞춰 춘다.
복식ㆍ의물ㆍ무구 손에는 한삼을 끼고 춤춘다. 〈가인전목단〉에서는 꽃을 꽂은 화준을 , 〈침향춘〉에서는 꽃을 꽂은 화병을 무구로 놓는다.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국립국악원, 2001. 『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윤정민, 「조선 순조조 『의궤』에 기록된 정재 사료연구: 『가인전목단』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33, 2002. 국립국악원아카이브( https://archive.gugak.go.kr)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