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무>에서 허리를 구부리며 두 소매를 아래로 떨어뜨린 후 머리 위로 들었다가 허리에 대고 무릎을 굽혔다 펴는 춤동작
무릅디피무는 <처용무>에서 추는 춤동작이다.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어 왔으며, 조선전기 『악학궤범(樂學軌範)』(1493)에 ‘허리를 구부리며 두 소매를 들었다가 내려 무릎 위에 놓는다[개부요 이병거양수 하치슬상(皆俯腰 而並擧兩袖 下置膝上)]’라는 기록에서 무릅디피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무릅디피무는 ‘무릎을 굽혔다 펴며 춤춘다’는 뜻이다. 『악학궤범』과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처용무>의 무릅디피무는 처용 5인이 일렬로 나란히 서서 황 처용이 동과 서로 바라보고, 청 처용ㆍ홍 처용과 흑 처용ㆍ백 처용이 각각 상대(相對; 서로 마주봄)와 상배(相背; 서로 등짐)하며 추는 춤이다. 『악학궤범』에는 〈처용무〉에서 무릅디피무를 출 때 여러 규칙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궁중정재의 기본법례에 따라 추어지는 동작으로 5인의 무용수가 선 위치별로 드는 손과 발 위치가 각각 다르고 바라보는 방향도 다르다. 무릅디피무를 출 때 황 처용은 오른발과 왼발 순으로 들고, 4자 처용은 내족(內足)과 외족(外足) 순으로 들고, 상대와 상배는 각 2회씩 모두 4회 추도록 되어 있다.
근대 이후 〈처용무〉는 1930년 영친왕(英親王) 내외가 한국에 귀국한 것을 기념한 환영식에서 추어졌고, 1931년 한국의 정재를 기록한 흑백 무성영화 조선무악에 〈처용무〉가 수록되어 무릎디피무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추어지는 무릅디피무 춤동작은 한국전쟁 후 국립국악원 주도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이 〈처용무〉를 재현할 때 안무되어 지금까지 이어진다. 이때 안무된 무릅디피무 춤동작은 궁중무용무보 제1집에 전한다.
현재 무릅디피무는 세 가지 동작이 차례로 추어진다.
무릅디피무①은 북향 전배(前拜)로 추는데, 일렬(一列) 대형에서 허리를 숙이면서 양손을 아래로 떨어뜨려 머리 위로 높이 들었다가 그대로 아래로 내려 양손을 허리에 대고, 발뒤꿈치를 들었다 놓는다.
무릅디피무②는 상대배(相對拜)로 추는데, 양손을 허리에 대고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오른발을 들어 힘차게 디디며 몸을 오른쪽으로 90도 각도로 돌리고[동향], 이어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왼발을 들어 힘차게 디디며 허리를 숙여 반절한다. 다음 양손을 허리에 대고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오른발을 들어 디디며 몸을 왼쪽으로 90도 각도로 돌리고[북향], 이어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왼발을 딛고 몸을 오른쪽으로 45도 각도로 반쯤 틀었다가 북향하고, 무릎을 굽혔다 펴면서 오른발을 살짝 들었다 놓는다.
무디피무③은 상배배(相背拜)로 추는데, 양손을 허리에 대고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오른발을 들어 힘차게 디디며 몸을 왼쪽으로 90도 각도로 돌리고[서향], 이어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왼발을 들어 힘차게 딛으며 허리를 숙여 반절한다. 다음 양손을 허리에 대고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오른발을 들어 디디며 몸을 오른쪽으로 90도 각도로 돌리고[북향], 이어 무릎을 깊이 굽혔다가 왼발을 딛고 몸을 오른쪽으로 45도 각도로 반쯤 틀었다가 북향하고, 무릎을 굽혔다 펴며 오른발을 살짝 들었다 놓는다.
반주 음악 무릅디피무의 반주음악은 조선전기에는 처용(處容) 만기(慢機)의 중엽(中葉)에 춘것으로 『악학궤범』에 기록되었고, 조선후기에는 영산회상(靈山會上)에 추어진 것이 『정재무도홀기』에 전한다. 현재 추어지는 무릎디피무는 〈향당교주(鄕唐交奏)〉 장단에 맞춰 춘다.
복식ㆍ의물ㆍ무구 처용 5인이 처용 가면을 쓰고, 흰색의 긴 한삼이 달린 청색ㆍ홍색ㆍ황색ㆍ흑색ㆍ백색 등의 오방색 의상을 착용한다.
무릎디피무는 정재 법례에 따라 추어지는 동작으로, 무용수가 선 위치별로 드는 손과 발 위치가 각각 다르고 바라보는 방향도 다르다.
『시용무보(전)정재무도홀기』, 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궁중무용무보 제1집, 국립국악원, 1986,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박정경, 「김천흥과 <조선무악>을 통한 국립국악원의 무용복원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47, 2017. 조경아, 「조선총독부 기록영상 조선무악의 무용사적 가치와 한계」, 『무용역사기록학』 47, 2017. 국립국악원 아카이브(https://archive.gugak.go.kr)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