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을 아래로 드리워 위로 떨쳐 뿌리는 춤사위
수수쌍불은 <춘앵전>ㆍ<향령무> 정재에서 추는 춤동작이다.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어 왔으며, 조선후기 궁중춤이 기록된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현대에는 한국전쟁 후 국립국악원 주도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이 〈춘앵전〉과 〈향령무〉를 재현할 때 수수쌍불을 안무하여 지금까지 이어지는데, 이때의 내용이 각각『궁중무용무보』제2집과 제12집에 전한다.
수수쌍불은 ‘손을 드리워 떨쳐 뿌린다’는 뜻이다.『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수수쌍불은 정재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춘앵전〉에서는 창사를 부른 다음 수수쌍불은 추고, 〈향령무〉에서는 손을 모으고[염수] 무진한 다음 척요(尺腰)를 4회 추고, 향령창(響鈴唱) 「무두사(務頭詞)」를 부르며 수수쌍불을 춘다.
근대 이후로는 1930년대 이왕직아악부 아악사장을 지냈던 김영제(金寧濟, 1883~1954)가 〈춘앵전〉의 수수쌍불을 ‘팔을 한일자 모양[一字形]으로 벌려서 반쯤 내렸다가 뒤로 뿌린다’라고 풀이하였다.
현재 추어지는 수수쌍불도 정재의 내용 구성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추어진다. 현재 〈춘앵전〉에서 추는 수수쌍불은 창사를 부르기 전과 창사를 부른 다음에 추는데, 두 가지 동작으로 춘다. 〈춘앵전〉의 수수쌍불①은 창사를 부르기 전의 동작으로, 손을 모으고 걸어간 다음 창사를 부르기 위해 양손을 천천히 양옆으로 들어 올려 위로 떨쳐 뿌려 아래로 반쯤 내렸다가[半下擧] 입 가까이로 모아든다[공읍].
〈춘앵전〉의 수수쌍불②는 창사를 부른 다음에 추는 춤으로, 양손을 입 가까이 모은[공읍] 상태에서 두 팔을 양 옆으로 폈다가 위로 떨쳐 뿌려 다시 아래로 내려 뒤로 여민다.
〈향령무〉에서 추는 ‘수수쌍불’③은 무구인 향령을 잡은 좌우 손을 아래로 늘어뜨리고 향령을 흔들며 춘다.
현재 〈춘앵전〉에서는 수수쌍불을 〈중령산(中靈山)〉 장단에 추고, 〈향령무〉에서는 〈가곡(歌曲)〉 장단에 춘다.
현재〈향령무〉에서는 향령(響鈴)을 잡고 흔들며 수수쌍불을 추고, 〈춘앵전〉에서는 화문석 돗자리 위에서 수수쌍불을 춘다.
현재는 문헌 기록과는 상관없이 여러 정재에서 수수쌍불을 추고, 작품마다 다양한 형태로 춘다.
『시용무보 정재무도홀기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 『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김명숙, 「김천흥의 예술세계」, 『무용예술학연구』 14, 2004. 국립국악원 아카이브(https://archive.gugak.go.kr)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