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수수불(半垂手拂)ㆍ반수반불(半垂半拂)
손을 아래로 드리워 위로 떨쳐 뿌려 머리 위로 들었다가, 다시 아래로 떨쳐 뿌려 뒤로 여미는 춤동작.
소수수는 〈춘앵전〉 정재에서 추는 춤동작이다.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었으며, 조선후기 궁중춤이 기록된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서 소수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소수수(小垂手)는 ‘손을 작게 드리운다’는 뜻이다.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춘앵전〉에는 소수수를 구체적으로 ‘반수수불(半垂手拂)’로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한쪽 팔 움직임에 대한 설명으로, 좌우팔을 각각 순차적으로 추는 것을 의미한다.
『정재무도홀기』에 구체적으로 기록된 ‘반수수불’에 대해, 1930년대 이왕직아악부 아악사장을 지냈던 김영제(金寧濟, 1883~1954)는 ‘반수반불(半垂半拂)’로 해석하였다. 소수수에 대하여 김영제가 〈춘앵전〉의 소수수를 “한 팔씩 들어 뒤로 뿌린다”라고 풀이한 바 있고, 이때의 내용은 『궁중무용무보』제2집에 전한다.
현재의 소수수 춤동작은 국립국악원 주도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이 〈춘앵전〉을 재현할 때 안무하여 지금까지 추어지는데, 좌우 팔을 각각 위로 떨쳐 뿌려 머리 위로 들었다가, 다시 아래로 떨쳐 뿌려 뒤로 여미며 추는 동작이다. 구체적으로 〈춘앵전〉의 소수수는 양손을 뒤로 여민 상태에서 오른팔을 위로 올려 뿌려 머리 위로 들었다가 다시 아래로 떨쳐 뿌려 뒤로 여미고, 왼팔을 위로 올려 뿌려 머리 위로 들었다가 다시 아래로 떨쳐 뿌려 뒤로 여민다.
〈춘앵전〉은 공연 성격에 따라 〈긴춘앵전〉과 〈짧은춘앵전〉으로 추어지는데, 〈짧은춘앵전〉에서는 소수수를 추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는 문헌 기록과는 상관없이 여러 정재 작품에서 다양한 형태로 소수수를 추는데, 이는 정재 내용의 진행 차이에 의해서이다.
반주 음악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춘앵전>의 소수수 음악은 향당교주(鄕唐交奏)이다. 현재 〈춘앵전〉에서의 소수수는 〈중령산(中靈山)〉 장단에 맞춰 춘다.
복식ㆍ의물ㆍ무구 〈춘앵전〉에서 소수수를 출 때 양손에 한삼을 끼며, 화문석[돗자리] 위에서 춘다.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국립국악원, 『궁중무용무보 제2집』, 1987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김명숙, 「김천흥의 예술세계」, 『무용예술학연구』 14, 2004. 국립국악원아카이브(https://archive.gugak.go.kr)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