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모리잡가 중 하나로, 서울 풀무골의 소리꾼 이현익이 지어 부른 곡.
민족항일기에 활동하던 경서도 명창 박춘재(朴春載, 1881~1948)에 의하면 한 말에 서울 풀무골의 소리꾼 이현익(李鉉翼)이 지은 곡이라고 한다.
○ 연행시기 및 장소
《휘모리잡가》는 해학적 내용으로 사설을 촘촘히 엮어서 빠르고 경쾌하게 부르던 노래이다.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잡가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던 소리이며, 먼저 경기잡가를 부른 연후에 선소리를 부르고 제일 마지막에 《휘모리잡가》를 불렀다고 한다.
○ 음악적 특징
장단은 볶는타령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를 사용하고, ‘솔(sol)’ 음으로 종지하는 전형적인 경토리로 부르는 노래이다.
○ 형식과 구성
병정타령은 ‘내드름-엮음-종지’의 세 악절로 구분된다. 짧은 내드름 선율을 노래한 후에 엮음 부분은 주로 4ㆍ4조의 사설을 3소박(3분박) 3박 또는 3소박 4박으로 노래한다. 이 곡의 첫 부분인 내드름 선율은 높은 소리로 질러 내어 부르고, 엮음 부분은 〈창부타령〉의 선율 위에 사설을 촘촘히 엮어 부른다. 종지 선율은 시조의 종지 선율과 같이 4도 하행하여 종지한다.
남의 손 빌어 잘 짠 상투영문에 들어 단발할제 상투는 베어 협랑에 넣고 망건아 풍잠아 너 잘 있거라 병정 복장 차릴 적에 모자 쓰고 양혜신고 마구자 실갑 각반치고 혁대 군낭 창 집탄자 곁들여 차고 글화총 메고 구보로 하여가는 저 병정아 게 좀 섰거라 말 물어보자 국립국악원 편,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28집 「선소리와 잡가」, 1995, 128쪽.
병정타령은 옛 장형시조의 ‘말 물어보자’, ‘전하여 주렴’, ‘전할지 말지’의 구조를 받아들여 언어 유희의 측면에서 재미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음악적으로도 전형적인 서울 소리를 간직하고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립국악원,『한국음악자료총서』 제28집 「선소리와 잡가」, 국립국악원, 1995. 송방송,『한겨레음악대사전』, 도서출판보고, 1912.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홍은주,『휘모리잡가』, 민속원, 2011. 송은도, 『휘모리잡가』, 민속원, 2018. 이혜경, 「휘모리잡가의 사설 형성 원리와 향유 양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송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