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선소리《산타령》의 구성곡 네 곡 중 첫 번째로 부르는 곡.
경기 선소리《산타령》은 〈놀량〉ㆍ〈앞산타령〉ㆍ〈뒷산타령〉ㆍ〈자진산타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첫 곡이 〈놀량〉이다. ‘놀량’이란 뜻은 놀 작정, 놀 의향, 노는 모습 등을 뜻한다고 한다. 즉, 〈놀량〉이란 악곡은 산천경개를 즐기면서 노는 모습을 묘사한 노래라고 말할 수 있다. ‘선소리《산타령》’하면 〈놀량〉을 가리키고 〈놀량〉 하면 ‘선소리《산타령》’을 연상할 만큼 〈놀량〉은 선소리《산타령》의 머리곡인 동시에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통절형식의 악곡이다.
《산타령》이 수록되어 있는 20세기 초의 잡가집들의 기재 내용을 살펴보면 《산타령》은 <판염불>·<앞산타령>·<뒷산타령>·<자진산타령>을 연창형식으로 불려졌던 한 갈래가 있었다. 이 한갈래인 판염불계 《산타령》이 현행 경기 《산타령》으로 계승되었고, 그 첫 번째 곡 〈판염불〉이 현행 경기 <놀량>으로 전승되었다.
○ 역사적 변천과 전승 〈놀량〉의 사설은 20세기 초 <판염불>의 사설 초반에 나타나는 불가어 부분은 모두 사라지고 ‘산천초목이..’ 로 시작한다. 이는 사당패의 흔적을 없애고 붙박이 예인인 선소리패로 담당층이 전이된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 음악적 특징 〈놀량〉은 통절 형식의 악곡이므로 유절 형식의 악곡보다 악구의 구분이 어렵다. 선율의 단락과 사설의 단락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매우 다양한 변화 선율을 사용하여 화려함을 더하였다. 구성음이 ‘솔(sol)-라(la)-도(do′)-레(re′)-미(mi′)’인 경토리라고 볼 수 있고, 악구에 따라 도(do′)나 라(la)로 종지한다. 3소박 2박과 3박ㆍ4박ㆍ5박ㆍ6박ㆍ8박 등 여러 가지의 리듬 형태가 모두 출현하는 매우 복잡한 리듬 구조를 가진 악곡이다.
산천초목(山川草木)이 다 무성(茂盛)한데 구경 가기도 제일 좋다 아무리 네로구나 어얼 네로구나 네디어얼 네로구나 어얼 네로구나 얼시구나 절시구나 아무려도 네로구나 에에 에에에~이어 이얼네로구나 에 말들어도 봐라 녹양(綠楊)벋은 길로 평양감영(平壤監營) 쑥 들어간다. 에헤에얼 네로구나 춘수(春樹)는 낙락(落落) 기러기는 훨훨 낙락장송(落落長松)이 와직끈도 다 부러져 마른 가지 남아 지화자자 좋을시구 지화자자 좋을시구 얼씨구나 좋다 말 들어도 보아라 어얼 네로구나 종일 가도 안성(安城)은 청룡(靑龍)이로구나 몽림 일월이 송사리나 삼월이며 육구함도(六衢咸道) 대사중로 얼씨구나 절씨구나 녹양방초(綠楊芳草) 사랑초 다 저문 날이로구나 에 어얼 네로구나 이창배 창 경기 〈놀량〉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83쪽.) ○ 사설 내용은 산천경개를 즐기면서 흥겹게 노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경기 〈놀량〉은 경기 《산타령》의 대표곡으로, 〈놀량〉의 원곡이라고 볼 수 있는 20세기 초 〈판염불〉사설에서 사랑과 관련된 내용을 대폭 덜어내었다. 이는 악곡의 격조를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여겨진다. 한편, 다양한 변화선율과 다채롭고 화려한 리듬구조를 통해 기교의 난이도와 예술적 완성도를 높인 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전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 16, 1994. 황준연, 「전태용 창부타령의 선율구성」, 『한국음반학』 10, 2000.
신현남(申鉉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