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선소리《산타령》의 구성곡 네 곡중 두 번째로 부르는 곡.
경기 선소리《산타령》은 〈놀량〉ㆍ〈앞산타령〉ㆍ〈뒷산타령〉ㆍ〈자진산타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두 번째 곡이 〈앞산타령〉이다. 사설 내용은 관악산ㆍ도봉산ㆍ태백산ㆍ지리산ㆍ삼각산과 그리고 상주 낙동강과 하동 섬진강, 또 성절[聖寺]ㆍ덕절[德寺]ㆍ화계사ㆍ불암사ㆍ진관사ㆍ승가사ㆍ망월사ㆍ천축사 등의 명찰(名刹)과 중국의 소상강(瀟湘江)과 동정호(洞庭湖) 까지 두루 열거하고 있는 유절형식의 악곡이다.
《산타령》이 수록되어 있는 20세기 초의 잡가집들의 기재 내용을 살펴보면 《산타령》은 <판염불>·<앞산타령>·<뒷산타령>·<자진산타령>을 연창형식으로 불려졌던 한 갈래가 있었다. 이 한갈래인 판염불계 《산타령》이 현행 경기 《산타령》으로 계승되었고, 그 두 번째 곡 〈앞산타령〉이 현행 경기 <앞산타령>으로 전승되었다.
○ 역사적 변천과 전승 경기 〈앞산타령〉은 판염불계 〈앞산타령〉의 시작 부분 입타령과 1절의 ‘관악산 염불암 연주대’, ‘도봉 불성삼막’ 부분만 이어받았고, 2절부터는 12가사 중 황계사(黃鷄詞)의 ‘단산봉황(丹山鳳凰)은...’과 ‘저 달아 보느냐...’와 12잡가 중 달거리의 ‘경상도라 태백산은...’, 그리고 이백(李白)의 시의 ‘잠총(蠶叢) 어부후(漁鳧後)...’ 등을 차용한 것으로 산천경개 위주로 사설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 〈앞산타령〉은 다양한 장르와의 사설 교섭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 음악적 특징 〈앞산타령〉은 경기 《산타령》 중 유일하게 비교적 긴 입타령으로 시작하는 유절 형식의 악곡으로 구성음이 ‘라(la)-도(do′)-(re′)-미(mi′)-솔(sol′)’인 반경토리에 속하는 악곡이다. 선율형을 보면, 각 절마다 메기는 소리에서는 고음으로 높이 질러서 조르는 목을 쓰는 것이 특징이며, 길게 뻗는 곧은 소리를 많이 구사한다. 노래 한 절은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로 이루어져 있고, 각기 ‘다는 선율형과 다는 리듬형’, 그리고 ‘맺는 선율형과 맺는 리듬형’으로 되어있다. ‘다는 선율형과 다는 리듬형’이란 두 개의 악구 중에 선행하는 것으로 내드름의 성격이 강하고, 종지 선율형이나 리듬형이 완전한 종지감을 주지 않는다. 반면, ‘맺는 선율형과 맺는 리듬형’은 뒤따르는 악구로서, 순차적 하행한다든지 끝 음을 길게 장인한다든지 하여 종지감을 주면서 그 단락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한 악절이 달고, 맺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각 악절마다 받는 소리 끝에 20세기 초 잡가집의 판염불계 〈앞산타령〉에는 없던 ‘에–’라는 입타령이 붙는다. 종지음을 살펴보면, 〈앞산타령〉에서 메기는 소리의 ‘다는 선율형’과 ‘맺는 선율형’은 도(do)로 종지한다. 받는 소리의 ‘다는 선율형’은 라(la)로 종지하고 ‘맺는 선율형’은 도(do)로 종지한다. 선율형은 다양한 ‘다는 선율형’이 출현하지만, 두 가지 정도로 한정된 ‘맺는 선율형’이 출현한다. 반면, 리듬형은 여러 가지의 리듬형이 두루 출현하는 ‘다는 리듬형’과 한 두가지의 리듬형만 출현하는 ‘맺는 리듬형’을 가지고 있어서 비교적 다채로운 곡태를 보이는 악곡이다.
(메기는소리)나너 니나노호오호오 (받는소리)에에허에허 에야 에어 에허이여 어루 산이로구나 (에) (1) (메)(과)천관악산(冠岳山) 염불암(念佛庵)은 연주대(戀主臺)요 도봉(道峯) 불성삼막(佛性三幕)으로 돌아든다 (받)아하아 에헤에 어디히 지여어허 에헤에야 에어 에허이여 어루 산이로구나 (에) (2) (메)단산봉황(丹山鳳凰)은 죽실(竹實)을 물고 벽오동(碧梧桐)속으로 넘나든다 (받)경상도(慶尙道) 태백산(太白山)은 상주(尙州) 낙동강(洛東江)이 둘러있고 전라도(全羅道) 지리산(智異山)은 하동(河東)이라 섬진강수(蟾津江水)로만 다 둘러있다 (에) (3) (메)성절덕절[聖寺德寺] 학림암(鶴林庵)을 구경하고 화계사(華溪寺)로만 돌아든다 (받)탁자앞에 앉은 노승(老僧) 팔대장삼(長衫)을 들쳐입고 꼬부랑꼽박 염불만헌다 (에) (4) (메)동불암(東佛岩) 서진관(西津寬) 남삼막(南三幕)은 북승가(北僧迦)요 도봉망월(道峰望月) 천축사(天竺寺)라 (받)해외소상강(海外瀟湘江) 일천리 너른 물에 굽이 출렁 동정호(洞庭湖)로만 다 둘러 있다 (에) (5) (메)저 달아 보느냐 임 계신데 명기(明氣)를 빌려라 나도 보자 (받)너오는 길에 약수삼천리(弱手三千里) 만리장성(萬里長城)이 둘렀더냐, 잠총(蠶叢) 어부후(漁鳧後)에 촉도지난(蜀途之難)이 가리웠더냐 (에) (후략)
이창배 창 경기 앞산타령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85쪽.)
○ 사설 내용은 관악산ㆍ도봉산ㆍ태백산ㆍ지리산ㆍ삼각산과 그리고 상주 낙동강과 하동 섬진강, 또 성절[聖寺]ㆍ덕절[德寺]ㆍ화계사ㆍ불암사ㆍ진관사ㆍ승가사ㆍ망월사ㆍ천축사 등의 명찰과 중국의 소상강과 동정호 까지 두루 열거하고 있다.
경기 〈앞산타령〉은 일정하지 않은 단위박으로 음악이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다양한 ‘다는선율형’과‘다는리듬형’을 사용하여 다채로운 분위기를 형성하고, 전곡(全曲)에 두 가지 유형의 맺는선율형’과 ‘맺는리듬형’이 출현하여 악곡에 통일성을 준다. 그리고 가사나 잡가 혹은 한시(漢詩) 등 인접 장르와의 사설교섭 현상이 매우 많은 악곡이기도 하다.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전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 16, 1994. 황준연, 「전태용 창부타령의 선율구성」, 『한국음반학』 10, 2000.
신현남(申鉉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