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잡가의 하나로 온갖 새를 주제로 울음소리와 수식어를 붙여 즐겁게 부르는 노래.
자진중중모리–중중모리–중모리장단의 빠름–보통–느림의 세틀형식과 남도계면조 선율의 경쾌한 노래.
새타령의 명칭은 조선 말기의 이석순, 이날치, 박유전에 관한 기록에서 보이고, 1900년대 전후로 활동한 이동백 명창의 새타령이 유명하다.
○ 용도 남도잡가의 하나로 〈육자배기〉와 〈흥타령〉 뒤에 〈개고리타령〉, 〈삼산은 반락〉과 함께 이어 부르지만, 곡의 길이가 9분 이상으로 길고 창법이 어려워 남도잡가 무대에서도 부르지 않거나 사라져가고 있다. ○ 음악적 특징 사설의 내용에 따라 단락이 구분되는 통절형식의 노래. 사설과 선율의 종지형태가 맞아떨어지기도 하고, 특정한 한 장단으로 단락을 마무리하기도 한다. 각 절별 장단 수는 4장단부터 26장단까지 절별 장단수가 불규칙하다. 남도계면조인 떠는청(mi)-더음청(sol)-본청(la)-꺾는청(do-si)-엇청(re)의 음조직으로 구성되었다. 종지형태는 본청(la) 종지가 대부분이고, 중중모리와 중모리 선율의 연결구는 꺾는청(do-si)으로 변격 종지하였다.
김소희가 부르는 장절의 새타령 가사이다.
삼월 삼짓날 연자 날아들고 호접은 편편 나무 나무 속잎 나 가지 꽃 피었다 춘몽을 떨쳐 원산은 암암 근산은 중중 기암은 층층 태산이 울어 천리 시내는 청산으로 돌고 이 골 물이 주루루루루 저 골 물이 콸콸 열의 열 두 골 물이 한데로 합수져 천방져 지방져 월턱져 굽우져 방울이 버큼져 건너 병풍석에다 마주 쾅쾅 마주 때려 산이 울렁거려 떠나간다 어디매로 가잔 말 아마도 네로구나 요런 경치가 또 있나 새가 날아든다 왼갖 잡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 만수문전에 풍년새 산고곡심 무인처 울림비조 뭇새들이 농춘화답에 짝을 지어 쌍거쌍래 날아든다 말 잘하는 앵무새 춤 잘 추는 학두루미 솟댕이 쑥국 앵매기 뚜리루 대천의 비우 소루기 남풍 좇아 떨쳐나니 구만장천 대붕 문왕이 나 계시사 기산조양의 봉황새 무한기우 깊은 밤 울고 남은 공작이 소산적벽 칠월야 알연장명의 백학이 위보가인 님 계신데 소식 전턴 앵무새 글자를 뉘가 전하리 가인상사 기러기 생연장액 수고연이 어여쁠사 채련새 약수 삼천 먼 먼 길 서왕모 청조새 성성재혈 염화지에 귀촉도 불여귀 요서몽을 놀래 깬다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주공동정 돌아든다 관명우질 황새 비인심상에 백성가 왕사당 전연 저 제비 양류지당삽풍하니 둥둥 떴다 징경이 낙화고목이 다 썪어난다 추수장천의 따오기 쌍마백이 춘풍하니 쌍거쌍래 비둘기 팔월 변풍에 높이 떠 백리추호 보라매 범범창파 녹수상에 원불상사 원앙새 우후 청강 남은 흥을 묻노라 갈매기 춘삼월 미만독상공 벌목청정의 때저구리 금자 할미새가 우니 대천의 비웃 소로기 어사 부중에 잠 들었다 울고 간다 까마귀 정위문전에 깃들어 석지강강의 까치 가가감실 날아 든다 소탱이 쑥국 액매기 수리루 대천의 비웃 소로기 루리 루 리루리 루 어허 어허 어허어 어허어 좌우로 다냐 울음 운다 저 쑥국새가 울음 운다 저 쑥국새가 울음 운다 원산에 앉아 우는 새는 아시랑하게 들리고 근산에 앉아 우는 새는 험벙지게도 들린다 이 산으로 가며 쑥국 쑥국 저 산으로 가며 쑥쑥국 쑥국 에헤에 이히 어허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두견이가 우네 저 두견이가 울어 야월공산 깊은 밤에 울어 저 두견새 울음 운다 이 산으로 가며 귀촉도 우~ 저 산으로 가며 귀촉도 우~ 어허어 어허어에이히 히히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에이히 히히 히히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명랑한 새 울음 운다 저 황황유가 울음 운다 저 꾀꼬리가 울음을 운다 아무데 가도 예쁜새 왼갖 소리를 모두 다 하며 바람아 퉁탱 부지마라 추풍낙엽이 떨어져 명년 삼월이 돌아오면 목동요지가 이 아니냐 무엇을 물어다 집을 질거나 머리 곱게 빗고 건넌 산 가리오 새 수양 버들 가지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막교지상의 꾀꼬리 수리루 수리루 리루 어~ 이어 이히 이히 어허 어허 어허어 어허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처량한 새 우네 저 가련한 새 울어 평생에 낭군을 못 잊어 정든 님을 못 잊어 이팔청춘 과수가 되어 지어 공방 적적 홀로 뚜~ 원산 적적 홀로 뚜~ 어이이 이히이 어허어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따오기가 울음 운다 따오기가 울음 운다 제가 무슨 개경문 술렁수 도골로만 지난 객이라고 붉은 관대를 몸에다 입고 이리로 가며 따옥 저리로 가며 따옥 따옥 초경 이경 삼사오경 사랑의 정신을 놀래 깨워 사랑의 혼백을 놀래 깨워 저 노인 새가 울어 저 할미새가 울어 묵은 콩 한 줌에 칠푼 오리하되 오리가 없어 못 팔아 먹는 저 빌어먹을 저 할미새 경술 대 풍년 시절에 쌀을 양에 열두 말 씩 퍼주어도 굶어죽게 생긴 저 할미새 이리로 가며 히빗죽 저리로 가며 꽁지 까불까불 뱅당당 그르르르르 사살맞은 저 할미새 좌우로 다녀 울음 운다 저 집 비둘기 날아든다 막둥이 불러 비둘기 콩 주어라 푸른 콩 한 줌을 덥썩쥐어 좌르르르르 흩어주니 숫비둘기 거동 봐 춘비춘흥을 못 이기어 주홍같은 혀를 내어 푸른 콩 하나를 입에다 덥썩물고 암삐둘기를 덥썩 안고 광풍을 못 이기어서 너울너울 춤만 춘다네 노류장화 꺾어들고 청풍명월 놀아보세
김미란, 「남도민요 새타령 선율분석」,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이웅, 「신쾌동의 거문고 선율과 소리 선율 비교 분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16.
김삼진(金三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