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 긴소리, 겹소리
전문 범패승의 합송으로 의례문 가사에 모음창을 더하여 부르는 율조
특정 의례문을 전문 범패승이 합송으로 길고 장엄하게 부르는 소리다. 장대한 성음을 요구하기 때문에, 소리하기 전에 〈허덜품〉으로 목을 푼다. 가사 사이에 사구성(四口聲ㆍ四句聲) 및 기타 모음창이 있다. 가사를 늘여 부르며, 음을 끌어 올렸다 뚝 떨어뜨리는 선율을 반복한다. 모음의 끝을 점차 빠르게 몰아가기도 하여 음악성이 두드러지는 노래다. 영남지역에는 〈허덜품〉이 없고, 모음을 늘이는 정도에 따라 〈홑소리〉, 〈긴소리〉, 〈겹소리〉로 나눈다. 또한 〈음소리〉, 〈아아훔소리〉와 같은 모음창이 있으며, 경제와 같이 격한 시김새나 급격히 도약하는 선율은 나타나지 않는다.
한문은 글자 한 자만으로 뜻의 전달이 가능하여 “노래란 말을 길게 늘여 부르는 가영인(歌詠引)”으로 여겼다. 중국 당나라에서 유입된 한국 《범패》이므로 무박절의 모음을 길게 늘여 짓는 일자다음의 선율에 이러한 음악적 요인이 있다. 모음을 가장 길고 장엄하게 늘여짓는 것이 짓소리인데, 오늘날 서울과 부산의 짓소리 《범패》는 발성과 시김새의 표출력의 차이가 크다. 이는 중국과 티베트 《범패》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중국의 《범패》는 주로 모음을 늘여 가창하는 데 비해, 티베트 《범패》는 저음의 탁한 발성으로 부른다. 따라서 모음을 늘이는 것에 주력하는 영남 《범패》는 당풍 《범패》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장인굴곡(長引屈曲)한 경제 《범패》는 당풍 《범패》에 티베트 《범패》의 발성이 다소 혼재되어 나타난다. 즉 지역적 요인으로 인해 신라의 도성 경주 문화권의 영남지역은 당풍 《범패》의 성격이 강하며, 고려 도성 인근의 경기지역은 티베트 《범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전승 현황 근세기까지 경기지역에는 72곡의 짓소리가 있었다. 1968년 한만영의 「짓소리조사기」에 의하면 당시 서울에 전승되고 있는 짓소리는 인성ㆍ거령산ㆍ관욕게ㆍ목욕진언ㆍ단정례ㆍ보례ㆍ식영산ㆍ지심신례(두갑)ㆍ오관게ㆍ영산지심ㆍ특사가지ㆍ거불ㆍ삼남태(三暔太:개법장진언의 다른 제목) 등 13곡이 있었다. 녹음에 참여한 스님으로는 김운파, 박송암, 장벽응, 박운월, 김운공, 조덕산, 김화담, 한제은, 조일파 스님이 있다. 1996년까지 짓소리 15곡과 짓소리와 〈홑소리〉의 중간에 해당하는 반짓소리 3곡이 전승되었으나 일부 선율을 줄여서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2012년에 구해스님이 8개월간에 걸쳐 14곡을 직접 부르며 강의한 바 있으나 2017년 조사에 따르면 10여 가지 짓소리만이 연행되었다. 실제 의식에서는 온전히 짓소리로만 연행되는 경우는 드물며, 〈반짓소리〉 내지는 〈평염불〉로 짓는 경우가 많았다. 호남지역에는 짓소리 계열로 ‘봉청’이 불리는데, 이 또한 〈반짓소리〉에 머물고 있다. 1969년에 녹음된 영남《범패》 음반에는 ‘삼귀의소리(지심신례 포함)ㆍ거령산ㆍ연향게’가 짓소리로 녹음되어 있었으나 근래 영남지역 재장에서 짓소리로 노래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 지방별 짓소리 개념 짓소리에 대한 설명은 지방마다 차이가 있다. 경기지역에서는 반탁성이나 저음을 확대하여 좀 더 무겁고 강한 발성으로 자출이는 소리, 잦는 소리 등의 시김새를 부여하며 합창으로 부른다. 또한 경제 짓소리는 목을 푸는 〈허덜품〉과 가사 중간에 4구성과 같은 모음창 등을 포함하고 있어 〈홑소리〉에 비해 가창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 이와 달리 호남지역의 완제 《범패》에서는 “높은 음을 질러 내는 소리”로 설명하고, 영남지역에서는 대부분의 《범패》를 승려와 대중이 울력소리(합창)로 연행하므로 독창ㆍ합창으로 〈홑소리〉와 짓소리를 구분하지 않는다. 음향시설이 없었던 전통사회의 의례 여건을 감안해 보면, 영남지역에서 모든 《범패》를 울력소리로 하는 것은 고제 《범패》의 일반적인 현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영제 짓소리에는 ‘아아훔 소리’, ‘음소리’와 같은 모음창이 있어 경제의 4구성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
〈표〉 지역별 짓소리 성격
지역 범패 | 모음창 | 음역 | 창법 | 음세·선율 |
경제 범패 | 허덜품 사구성 |
전체 음역 | 자출이는 소리, 잦는 소리 등, 홑소리와 다른 표현의 차이 뚜렷. | 장엄, 굴곡 |
완제 범패 | 도아어성 | 고음 강조 | 질음소리(반짓소리만 있음) | 등강성(騰降聲) |
영제 범패 | 음소리 아아훔소리 |
저음 강조 | 홑소리와 짓소리의 창법에 그다지 차이 없음 | 모음 장인 |
○ 짓소리를 하는 이유 《범패》는 일반적인 예술음악과 달리 의례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짓소리는 의례 상황에 따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인성〉이 이에 해당한다. 그 외에 대부분의 짓소리는 불보살과 그 가르침을 찬탄하고, 그 위의(威儀)를 향해 공경의 예를 표현할 때 불리며, 하단에서 불리는 목욕게와 목욕진언 짓소리는 죄업을 정화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의례 상황에 맞추어 늘여 부르는 〈인성〉은 시련 행렬을 동반하기 때문에 《범패》 소리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반면 〈지심신례〉와 같은 곡은 모두 정좌하여 진행되므로 〈허덜품〉, 가사, 모음창(사구성 등)이 음악적으로 정교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외에도 삼귀의 첫 구절, 정례 중 불보살을 향한 첫 구 등을 존숭의 예를 바치는 악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단에서는 〈반짓소리〉가 주로 쓰이고, 하단에서는 〈평염불〉로 촘촘히 엮어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예외적으로 목욕게와 진언은 짓소리로 부른다. 이는 영가와 고혼의 삼업, 특히 무거운 죄업을 씻는 비장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으며, 불보살 전에 나아가기 전에 몸과 마음을 가다듬는 의미가 있다. 짓소리를 연행하는 창자(唱者)는 사구성을 비롯하여 모음창 등의 가사를 길게 늘여 부르는데, 소리 그 자체를 관(觀)함으로써 의례 기능을 실현하고, 이를 듣는 참여 재자(齋者)들도 짓는 소리를 통해 불보살의 지혜와 덕을 생각하며 깊은 감화를 받을 수 있다. 대만의 싱윈(星雲)대사는 “범패는 불보살이 들으라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 들려주기 위함”이라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범패 짓소리는 이를 행하는 창자와 수용하는 청자(廳者) 모두 예술적 감흥과 수행의 경계로 접어드는 장르라고 하겠다. ○ 짓소리의 선율적 특징 〈홑소리〉는 〈할향〉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초할향〉이라 한다면 짓소리는 〈인성〉이 기반이 된다. 〈초할향〉과 〈인성〉은 의례의 시작 부분에 불리는 악곡이자 소리를 익힐 때 제일 먼저 배우는 공통점이 있다. 경제 짓소리는 “인성 중 ‘대성(大聖)’자만 할 줄 알면 나머지는 응용할 수 있다”라고 할 정도로 모든 짓소리에는 〈인성〉에서 비롯된 선율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짓소리는 악곡의 길이가 짧아도 〈홑소리〉와 구분되는 성음이 있는데, 이는 자출이는 소리, 잦는 소리와 같은 시김새이다. 자출이는 소리는 횟수를 “길게 3번, 중간 3번, 짧게 3번 하여 총 9번을 반복하며 잦아든다”라고 설명되는 시김새로 자연스럽게 부르는 것이 중요하다. 잦는 소리는 자출이는 소리 중 잦아드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에 잦는 소리와 자출이는 소리를 통틀어서 ‘잦는소리’라고도 칭한다. 짓소리의 성음은 장기간에 걸친 훈련을 통해 기량을 쌓아야만 가능한 고도의 예술적ㆍ종교적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예보 1) 짓소리 인성(引聲) 중 잣는 소리 송암스님과 대중스님 인성: 한만영, 『한국불교음악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p283 마지막 소절을 서울대학교 릴테이프 음원과 대조하여 분・초를 표시하여 재 작성함.
예보 2) 짓소리 지심신례(두갑) 중 잣는 소리 박송암 지심신례: 윤소희, 「짓소리연구Ⅰ-삼귀의 절차와 지심신례(두갑)분석-」, 『한국음악사학보』 58, 2017, p180. 악보에서 15:42-15:57등의 숫자는 본 음원의 플레이에 해당하는 (분·초)를 표시함.
김문경, 『唐代의 社會와 宗敎』, 숭실대학교출판부, 1996. 이혜구ㆍ성경린ㆍ장사훈ㆍ한만영, 『무형문화재 조사 보고서 범패와 작법』, 문화재관리국, 1969. 일응어산작법보존회, 『어장 일응, 영산에 꽃피다』, 정우서적, 2013. 윤소희, 「범패의 위격과 율조 변화 -영남범패와 대만범패를 통하여-」, 『정토학연구』 23, 한국정토학회.2015. 윤소희, 「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18, 국립국악원, 2008. 윤소희, 「짓소리 개념과 음악적 실체 -경제ㆍ완제ㆍ영제를 비교하여-」, 『한국음악사학 보』 52, 한국음악사학회, 2014. 윤소희, 「짓소리 연구Ⅰ-삼귀의 절차와 지심신례(두갑) 분석-」, 『한국음악사학보』 58, 한국음악사학회, 2017.
윤소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