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동영상

가야금병창

작성일2023.10.10

조회수55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병창 ' 가야금병창'[2023.08.]
  • 설명

    ○ 2021 장르별 기획공연 일이관지(一以貫之): 명창 강정숙[06.09.]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경남 함양출신인 강정숙 명인은 어릴 적 남원 광한루 근처로 이사를 하여 매일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판소리와 국악연주를 들으며 국악을 처음 접하였다. 서울 상경 후 故 만정 김소희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며, 당대 명인들에게 무용, 가야금병창, 거문고를 익혔다. 국립창극단 입단 후 <춘향가>, <수궁가>, <심청가> 등 창극 주인공 역할을 맡아 왕성한 활동을 펼쳤으며, 故 향사 박귀희의 가르침 아래 전주대사습놀이 가야금 병창 장원, 신라문화제 기악부문 대통령상 등을 수상하였다. 2001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병창 및 산조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으로 소리극 <황진이>라는 작품을 제작하여 해외에서도 큰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현재는 가야금병창과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전승에 힘쓰고 있다. 심청가 중 심봉사가 황성에서 맹인 잔치가 벌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잔치에 참석하기 위해 황성으로 올라가다가 방아 찧는 여인을 만나 방아를 찧어주고 밥을 얻어먹는 대목이다. 장단은 중중모리에 이어 자진모리로 진행되며, 임금의 성덕을 찬양하는 내용과 방아 찧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물정보

    ○ 가야금병창/강정숙·강길려 ○ 장구/김청만

  • 소장기관 등록번호

    V020455

"2023 복합매체 국악사전 민속: 병창 ' 가야금병창'[2023.08.]"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