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전악보(釋奠樂譜), 임우악보(林宇樂譜), 원조 임우 대성악보(元朝林宇大成樂譜)
문묘 제례를 위한 중국 원(元) 시대의 석전악보.
1349년에 중국 원 시대의 인물 임우가 편찬한 문묘 제례악 악보이다. 조선조 세종 때에 아악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근거로 삼을 만한 아악 악보’로 평가받았다.『세종실록』 「악보」에 인용, 수록되어 오늘에 전한다.
『대성악보』라는 명칭은 중국의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1682) 및 『반궁예악소(頖宮禮樂疏)』(1781)에서 보이지만 현재 악보의 내용은 오직 『세종실록』 권137 「악보」에만 전하고 있다. 『대성악보』의 한국 전래 시기 및 경로는 미상이며 1430년(세종 12) 12월에 「아악보」가 편찬될 때 아악보 원전 중의 하나로 편입되었다.
○ 서지사항 『대성악보』의 존재는 현재 『세종실록』 권137. 25a면부터 27b면까지 모두 6면에 걸쳐 수록된 것에서만 확인된다. 제목은 <원조임우대성악보> 이고, 악보 명칭 아래에 '至正條格所載之樂譜,無淸聲,宮變宮不分,律呂不齊- 원나라의 「지정조격(至正條格)」에 실린 악보는 청성(淸聲)이 없고, 궁과 변궁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음률이 고르지 않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한편, 조선 시대의 여러 문헌에 『대성악보』를 인용한 내용에 따르면, 악기와 의물의 도설(圖說)이 포함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명(明)의 석전의례 기록인 『반궁예악소(頖宮禮樂疏)』에서도 보인다. 즉, 『대성악보』는 『세종실록』 「악보」에 전하는 악곡의 가사와 선율 외에 『반궁예악소』와 같이 부가적인 여러 정보를 담은 악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명칭
『대성악보』는 조선에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었다. 『세종실록』의 연대기 및 악보, 『난계유고(蘭溪遺稿)』, 『악학궤범(樂學軌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성현의 「현금합자보서」,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등의 문헌에 ‘대성악보(大成樂譜)’, ‘대성악보(大晟樂譜)’, ‘석전악보(釋奠樂譜)’, ‘임우악보(林宇樂譜)’ 등 다양한 이칭으로 표기되었는데 이 중 『대성악보(大晟樂譜)』의 경우 『대성악보(大成樂譜)』의 오기(誤記)인지, 아니면 북송 대의 ‘대성악(大晟樂)’을 수록한 별개의 악보가 또 있었는지 현재로서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
○ 구성과 내용 『대성악보』에는 공자ㆍ증자ㆍ안자ㆍ맹자를 모신 대성전의 석전제례 악곡이 제례 절차 순으로 악곡명과 악조, 악장, 선율이 기보되어 있다. 제례의 절차에 따른 악곡명과 악조는 다음과 같다.
영신(迎神) |
응안지곡 (凝安之曲) |
황종궁ㆍ대려각ㆍ태주치ㆍ응종우 | |
관세(盥洗) |
동안지곡 (同安之曲) |
고선궁 | |
승전(升殿) | 동안지곡 | 남려궁 | |
전폐(奠幣) |
명안지곡 (明安之曲) |
남려궁 | |
봉조(奉俎) | 풍안지곡 | 고선궁 | |
(豊安之曲) | |||
초헌 (初獻) |
文宣王位 |
성안지곡 (成安之曲) |
남려궁 |
兗國公位 | |||
郕國公位 | |||
沂國公位 | |||
鄒國公位 | |||
亞ㆍ終獻 |
문안지곡 (文安之曲) |
고선궁 | |
徹籩豆 |
오안지곡 (娛安之曲) |
남려궁 | |
送神 |
영안지곡 (寧安之曲) |
황종궁 | |
望瘞 | 관세와 같음 | |
○ 기보법 『세종실록』에 수록된 『대성악보』의 석전악 기보는 4자 1구, 8구 1장으로 이루어진 각 곡의 가사를 네 글자 단위로 구분하여 띄어 쓰고, 한 구 당 두 행, 한 곡 당 네 행을 할애하여 가사와 율명, 공척보 표기를 나란히 적었다. 짝을 이루는 두 행의 오른쪽 한 줄에는 가사를 적고, 두 행의 왼쪽 줄에는 12율명과 공척보(工尺譜)을 이용하여 음높이를 적었다.
○ 역사적 변천
조선 건국 후 예악 정비를 새로이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성악보』는 『주례(周禮)』를 비롯한 고악론에 가장 부합하는 악보로 평가받았다. 당시 참고할 수 있는 악보 중에는 원대의 법전인 『지정조격(至正條格)』에 실려있는 것도 있었지만, 청성 표기가 누락되었거나 궁(宮)과 변궁(變宮)의 표기가 부정확하였기 때문에 『지정조격』 소재 악보 대신 『대성악보』가 제례악의 근간으로 채택될 수 있었다.
세종조에는 『대성악보』에 수록된 열여섯 곡 중 열두 곡을 선택하여 황종궁 열두 곡의 선율을 정하고, 12율 각각을 궁으로 삼아 모두 144곡을 완성하여 제례악을 위한 아악보가 완성되었다.
『대성악보』 선율을 조선의 방식으로 활용한 144곡의 아악곡은 이후 조선에서 이전부터 사용해 온 ‘십이율성통례(十二律聲通例)’에 따른 열두 곡과 영신례와 송신례에 사용될 세 곡을 더한 열다섯 곡으로 압축되어 조선의 아악으로 변용되었다. 아악 144곡은 『세종실록』 「악보」에, 15곡은 『악학궤범』에 수록되어 전한다.
한편, 아악곡의 선율을 제정할 때 외에도 성현이 합자보를 창안하는 과정에서 음고와 지법의 표기 방법 등을 『대성악보』에서 참고했다는 기록이 있고, 제례 아악기의 제작에도 이 악보가 주요 근거로 활용되었다.
대성악보는 14세기 아악의 양식을 보여주는 악보로 중국 원나라에서 편찬되었으나 현재는 『세종실록』 「악보」에서만 볼 수 있는 희소성 높은 사료이다. 한국음악사 관점에서는, 고려 전래의 아악 전통이 조선시대 세종 때 새롭게 정비되는 과정에서 근거로 삼을 만한 신빙성 높은 악보로 평가받은 점, 그 결과 조선의 제례에 사용될 아악곡 144곡의 원전으로 활용된 점, 제례악기 및 기보법 제정에 주요 참고 자료로 인용된 점 등에서 사료적 중요도가 높게 평가된다.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종실록』 「악보(樂譜)」 『난계유고(蘭溪遺稿)』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악학궤범(樂學軌範)』 『허백당집(虛白堂集)』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반궁예악소(頖宮禮樂疏)』
송혜진, 『한국 아악사 연구(韓國 雅樂史 硏究)』, 민속원, 2000. 송혜나, 「현행 한국 문묘제례악의 연원 및 제정 원리 연구 기일(其一) - 원조임우대성악보(元朝林宇大成樂譜)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3, 2012. 송혜진, 「조선초기 『대성악보』의 수용과 변용」,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6. Robert C. Provine, 『Essays on Sino-Korean Musicology : early sources for Korean ritual musical』, Iljisa, 1988. Robert C. Provine, 「The Treatise on Ceremonial Music(1430) in the Annals of the Korean King Sejong」, 『Ethnomusicology』 18/1, 1974.
송혜진(宋惠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