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창질림(女唱叱音)
단형(短型)시조를 노래하는 지름시조 중 하나로, 높은 음을 주로 속소리로 불러 섬세한 곡태(曲態)를 지닌 시조
여창지름시조는 〈지름시조〉 계통의 노래로, 초장에서 〈(남창)지름시조〉와 같이 높은 음을 진성(眞聲)으로 부르는 호기로운 곡태 대신 주로 속성(속청ㆍ속소리)으로 불러 아기자기하고 섬세한 여성스런 곡태를 지닌 시조이다. 노랫말은 〈평시조〉와 같이 단형시조인데, 즐겨 불리는 것은 몇몇 시조에 한정된다.
오늘날의 여창지름시조에 해당하는 악곡이 19세기 초~중엽의 『서금보(西琴譜)』에 〈평조시조(平調時調)(여음야[女音也])〉 및 〈평조삼장시조(平調三章時調) 여음야〉로, 1940년경의 악보로 추정되는 『아양금보(峨洋琴譜)』에 〈시쥬여창〉 등으로 전한다. 『서금보』에는 현재의 〈(남창)지름시조〉에 해당하는 악곡이 같이 실려 있으며, 이에 앞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죽금보(三竹琴譜)』(1841)에는 〈(남창)지름시조〉에 해당하는 악곡만이 실려 있다. 이로 미루어 여창지름시조는 〈(남창)지름시조〉와 거의 같은 시대 또는 직후에 파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전승 현황 지름 계통의 시조는 여창지름시조와 〈(남창)지름시조〉의 두 가지 창제가 전한다. 시조는 가곡처럼 남창과 여창 곡을 구분하여 남창 곡은 남자만, 여창 곡은 여자만 부르지 않는다. 다만, 곡명에 남녀창 구분이 있는 것은 곡태가 〈남창지름시조〉는 남성스러운 호기로움과 기백이 있고, 여창지름시조는 여성스러운 아기자기함과 섬세한 아름다움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인 듯하다. 여창지름시조는 같은 지름시조 계통의 〈남창지름시조〉와 함께 단형시조를 노랫말로 한다. 다만 〈남창지름시조〉는 모든 단형시조를 노랫말로 하지만 여창지름시조는 즐겨 쓰는 단형시조가 정해져 있는데, 상대적으로 임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여성만의 섬세한 감정 표현을 그리는 내용이 많다. 또한 여창지름시조는 〈남창지름시조〉에서처럼 중장에서 글자 수가 많은 단형시조를 부르는 경우도 별로 발견되지 않는다. 지름 계통의 시조는 주로 서울ㆍ경기 일원의 창제인 경제(京制)로만 불렀고, 지방에서는 〈평시조〉와 〈사설시조〉 계통의 시조가 중심이 되어 여창지름시조 등 지름계통의 시조는 거의 전승되지 않았다. ○ 음악적 특징 여창지름시조는 〈평시조〉와 같이 단형시조를 노랫말로 하지만, 〈평시조〉처럼 모든 단형시조를 부르는 것은 아니고 일부 한정된 노랫말만 사용한다. 〈남창지름시조〉는 초장 처음부터 높은 음의 진성으로 질러서 초장 제3장단(제3각 8박)까지는 높은 음이 지속적으로 출현한다. 반면에 여창지름시조는 초장 처음은 〈평시조〉처럼 중간 음인 평성(平聲, 남자 음고 기준으로 중(仲:A♭4)으로 시작하고, 둘째 장단부터 높은 음이 출현하나 진성이 아닌 속성으로 부르며, 셋째 장단 첫 박에서만 진성의 높은 음이 잠깐 출현할 뿐이다. 중장과 종장은 〈남창지름시조〉와 여창지름시조 모두 경제(京制) 〈평시조〉의 중장 및 종장 선율형과 대동소이하다. 여창지름시조의 출현음은 평시조와 같이 황(黃:E♭4)ㆍ중(仲:A♭4)ㆍ임(林:B♭4)의 세 음을 주로 쓰고, 청태(汰:F5)와 청황(潢:E♭5)은 물론, 더 높은 청중(㳞:A♭5)음까지 출현한다. 이 음들은 〈남창지름시조〉에서도 쓰이지만 여창지름시조에서는 높은 음들을 모두 속성으로 부르되, 셋째 장단 첫 박의 청황(潢:E♭5) 만 진성으로 부른다.
⋅여창지름시조 “청조야” (초장) 청조(靑鳥)야 오도고야 반갑도다(반가웁다) 님의 소식 (중장) 약수(弱水) 삼천 리를 네 어이 건너온다 (종장) 우리 님 만단정회(萬端情懷)를 네 다 알듯 (하여라)
여창지름시조가 〈남창지름시조〉에 비하여 속성을 많이 쓰는 것은 여창가곡에서 속성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과 상통한다.
『삼죽금보』 『서금보』 『아양금보』
문현(文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