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원으로 돌면서 양손의 검을 휘두르는 춤사위
연풍대는 ‘대자리가 바람에 들썩이듯 춤을 춘다’는 뜻이다.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연풍대는 검을 잡고 여러 가지 재주를 부리며 칼춤을 추고 난 뒤, 춤을 마치기 전 종결부에 춘다.
현재 추어지는 연풍대는 양손에 검을 잡고 추는 것은 같으나 정재마다 서로 다른 춤사위로 춘다. 〈검기무〉ㆍ〈첨수무〉의 연풍대 동작은 같고, 〈공막무〉의 연풍대 동작은 이와 다르다. 도는 형태도 〈검기무〉ㆍ〈첨수무〉는 왼쪽으로 큰 원으로 도는 반면 〈공막무〉는 왼쪽으로 큰 원으로 도는 것과 무대 가운데로 무진ㆍ무퇴하는 구성이 추가된다.
현재 〈검기무〉ㆍ〈첨수무〉에서 추는 연풍대는 네 가지 동작을 구성하여 왼쪽[좌선]으로 크게 돌며 연이어 추는데, 연풍대①은 무릎을 굽혔다 앉았다 일어서며 양 검을 겨드랑이에 끼고 휘두르며 돈다[2장단]. 연풍대②는 오른 검을 던져 안으로 감았다가 양검을 가슴 앞에서 모아 둥글게 휘두르며 돌면서 춘다[2장단]. 연풍대③은 오른 검과 왼 검을 차례로 원 안과 밖을 향해 던지며 돌면서 춘다[2장단]. 연풍대④는 오른발로 크게 뛰어 앉아 왼쪽으로 돌며 오른 검을 안으로 감았다가 일어서며 양 검을 겨드랑이에 끼고 휘두르며 추는데[2장단], 무용수 인원 구성에 따라 연풍대④동작은 2~5회 반복하여 춘다.
현재 〈공막무〉에서 추는 연풍대는 네 가지 동작을 구성하여 왼쪽으로 큰 원으로 도는 것과 무대 가운데로 무진ㆍ무퇴하며 추는데, 연풍대②동작은 같은 동작으로 2회 반복하여 춘다. 연풍대①은 양손에 검을 잡고 ‘양수반하거’하고 우선한다[4장단]. 연풍대②는 검을 앞으로 던져 겨드랑에 끼면서 무대가운데로 무진무퇴한다[4장단]. 연풍대③은 연풍대①과 같은 동작이나, 검을 아래에서 교차하여 위로 들며 우선한다[4장단]. 연풍대②를 춘다[4장단]. 연풍대④는 오른발로 크게 뛰어 앉아 왼쪽으로 돌며 오른 검을 안으로 감았다가 일어서며 양 검을 겨드랑이에 끼고 휘두르며 추는데[4장단], 〈검기무〉ㆍ〈첨수무〉의 연풍대④와 동작이 같다.
현재 〈검기무〉ㆍ〈첨수무〉ㆍ〈공막무〉에서 연풍대는 빠른 타령 장단에 맞춰 춘다.
현재는 문헌 기록과는 상관없이 여러 정재 작품에서 연풍대를 추는데, 작품마다 다양한 형태로 추어진다.
『시용무보 정재무도홀기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 『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임수정, 「조선시대 궁중검무 공연 양상」, 『공연문화연구』 14, 2007. 국립국악원 아카이브(https://archive.gugak.go.kr)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