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정대(紅鞓帶), 홍정(紅鞓)
처용무를 출 때 무용수가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띠
처용무를 연행 할 때 무용수가 착용하는 붉은색 가죽으로 만든 허리띠
대는 허리에서 옷을 여며주는 옷고름의 역할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부터 포백류로 만들어진 중국식 대대(大帶)와 가죽으로 만든 호복계의 혁대(革帶)를 함께 착용하였다. 특히 가죽으로 만들어진 호복계의 혁대에는 금속제 장식이 달리는데 이를 과대라고 하며 과대(銙帶)는 교구(鉸具: 띠고리)ㆍ과판(銙板: 띠꾸미개)ㆍ대선금구(帶先金具: 띠끝꾸미개)ㆍ요패(腰佩: 띠드리개) 등으로 구성된다. 교구는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걸쇠와 축이 하나로 만들어진 T자형으로 반대편 끝의 구멍 속에 찔러 넣어 고정하는 구조의 부속품이다. 과판은 대를 장식하는 금속제 판이며 대선금구는 교구의 반대편 대 끝에 붙어 착용 시 교구의 고리 속을 지나 몸의 앞쪽에 늘어뜨려지는 부분이고 요패는 과판 아래에 매달아 늘어뜨리는 여러 가지 장식물을 뜻한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과대는 교구와 대선금구ㆍ과판ㆍ요패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모두 금과 은을 사용하였다. 신라 시대 과대류는 금관총 출토 금제 과대ㆍ천마총 출토 금제 과대ㆍ은제 과대ㆍ식리총 출토 은제과대 등이 있다. 처용무 복식의 홍정대는 이러한 과대류에서 기원한 것으로 악생ㆍ악공ㆍ무동이 착용하는 금동녹혁대(金銅綠革帶)와 형태 및 구조는 같으나 녹색 대신 붉은 색 가죽으로 만들어졌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처용무 복식의 관대는 붉은색 가죽[홍정(紅鞓)]으로 만들며 여기에 여지(荔枝) 문양을 새긴 나무로 만든 갈고리에 금박을 입혀 부착하였다.
홍정대의 명칭은 여기서 유래하였다. 『악학궤범』의 홍정대는 허리에 조여 매는 야자대(也字帶)로 대의 한쪽 끝이 허리 뒤에서 늘어져 있다. 현재는 원형의 품대 구조로 되어있는 것을 착용하고 있다.
야자대 형태의 품대는 주로 공복에 착용 되었고 원형의 품대는 주로 상복ㆍ조복ㆍ제복에 착용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타원형 등으로 변형되었다가 조선 후기가 되면 사각형으로 정착되었다.
○ 쓰임 및 용도
처용무 복식의 대는 옷을 여며주는 역할과 동시에 궁중 정재복의 위엄과 화려함을 더해주는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다. 붉은 가죽으로 만든 허리띠 위에 정교한 문양과 금박을 입힌 과판(銙板)을 장식함으로써 무동의 신분에는 맞지 않지만 처용무가 갖는 의식무로서
의 의미를 강조해주고 있다.
또한 고려 시대에는 검정색 바탕의 오정(烏鞓)ㆍ흑정(黑鞓)보다 홍정(紅鞓)을 귀히 여겨 4품 이상의 관리만 착용할 수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오직 왕과 왕비만이 홍정을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처용무복에 왕과 왕비만이 착용하는 홍정대가 포함된 것은 처용무가 일종의 의식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구조 및 형태
『악학궤범』에 의하면 처용무복의 대는 홍색 가죽을 써서 만들었다. 홍정ㆍ홍정대의 명칭도 여기서 기인한다. 총 아홉 개의 구(鉤)가 달려 있는데 나무로 만들고 여지(荔枝, Lychee, 리치로 불리는 열대과일의 한 종류) 문양을 새기고 금칠을 하였으며 오방 처용의 대가 모두 같다고 되어 있다.
대의 크기는 총길이는 7척, 너비는 8푼으로 약 330㎝의 길이에 8.5㎝ 너비이다. 장식물인 구는 등 뒤로 보이는 허리띠 가운데 부분에 2촌 6분, 약 12㎝ 길이의 직사각형 금박 여지문 나무판이 일곱 개가 달리고, 그 옆으로 1촌 9분, 약 9㎝ 길이의 심옆형 금박 여지문 나무판이 한 개 달려있다. 그리고 끝에 4촌 2분, 약 20㎝ 길이의 직사각형 금박 여지문 나무판이 달려있다.
여지문양은 여러 완상용품의 장식 문양으로 동양 문화권에서, 특히 한반도ㆍ인도 등에서 즐겨 사용되었다. 여지문양은 중국이 원산지인 열대과일 리치를 형상화한 것으로 여지는 양귀비가 좋아했던 과일로도 유명하며 중국에서는 호두ㆍ규원(圭圓)과 함께 둥근 모양의 열매로 높은 관직에 오르거나 과거급제를 상징하는 삼원문(三元紋)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었다. 『선화봉사고려도경』(1123)에 허리띠의 문양으로 여지문양이 사용되었음이 기록되어 있으며 『경국대전』(1485)에 백관들의 공복용 허리띠 문양으로 여지문양이 사용되었다는 기록 등이 확인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처용무복의 홍정대는 야자대(也字帶)이다. 야자대는 글자 ‘야(也)’처럼 대를 체결하고 남는 대의 끝부분이 허리 옆이나 뒤로 늘어지는 형태이다. 야자대는 공복에 착용하는 대로 처용무복이 일종의 공복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죽을 염색하여 만들기도 하였고 조선 후기 유물로 가죽을 비단으로 감싸서 만든 것도 남아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는 띠고리(버클)로 구성되는 야자대가 아니라 상복이나 제복에 착용하는 품대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형태는 원형이고 버튼형 날름쇠로 열고 닫는다.
이후 19세기 의궤의 기록에는 둥글게 말린 형태로 도식이 그려져 있어 착용 모습을 유추해볼 수 있다.
처용무 복식의 대에는 야자형 대로 과대(銙帶)의 과판(銙板)에 해당하는 장식물이 달려 있는데 여지문양을 새겨 넣고 그 위에 금박을 입혀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이는 처용이 갖는 관리로서의 신분을 보여주는 동시에 무용의 위엄과 화려함을 더해주는 역할을 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서인화ㆍ박정혜ㆍ주디반자일,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35집: 조선시대진연진찬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이홍구, 『처용무』, 화산문화, 200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1』, 민속원, 2003. 박진아ㆍ조우현, 「처용무복식의 연구(1): 구조적 특징과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1, 1997. 이태옥ㆍ윤현진ㆍ조우현, 「악학궤범의 처용무복식 고증 제작」,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1, 2005. 전혜숙ㆍ김태은, 「『악학궤범』에 나타난 처용무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14, 2004.
조우현(趙又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