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모리잡가 중 하나로, “생매 잡아 길 잘 들여 두메로 꿩 사냥 보내고……”로 시작되는 긴 사설을 세 단락으로 나누어 빠르게 부르는 악곡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전문 소리꾼들이 부르던 《휘모리잡가》 중 한 곡으로, 매를 생으로 잡아 길을 들여 꿩 사냥을 보내자는 내용을 담은 곡이다. 볶는타령장단에 맞추어 부르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의 전형적인 경토리 곡이다.
생매잡아는 1900년을 전후해서 서울지역에서 불리던 노래로 『가곡원류(歌曲原流)』에 수록된 시조 〈생매잡아 길들여 두메 꿩 사냥 보내고〉를 길게 확장시켜 《휘모리잡가》로 발전시킨 것이다.
○ 연행시기 및 장소 생매잡아는 1900년을 전후해서 서울 지역에서 불리던 노래로『가곡원류歌曲原流』에 수록된 시조 〈생매잡아 길들여 두메 꿩 사냥 보내고〉를 길게 확장시켜 《휘모리잡가》로 발전시킨 것이다. 《휘모리잡가》는 해학적 내용으로 사설을 촘촘히 엮어서 빠르고 경쾌하게 부르던 노래이로,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잡가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던 소리이다. 서울 지역 소리꾼들은 먼저 경기잡가를 부른 연후에 선소리를 부르고 제일 마지막에 《휘모리잡가》를 불렀다고 한다. ○ 음악적 특징 볶는타령장단을 사용하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를 사용하고, ‘솔(sol)’ 음으로 음으로 종지하는 전형적인 경토리로 부르는 노래이다. ○ 형식과 구성 생매잡아는 ‘내드름-엮음-종지’의 세 악절로 구분된다. 짧은 내드름 선율을 노래한 후에 엮음 부분은 주로 4ㆍ4조의 사설을 3소박(3분박) 3박 또는 3소박 4박으로 노래한다. 이 곡의 첫 부분인 내드름 선율은 높은 소리로 질러 내어 부르고, 엮음 부분은 〈창부타령〉의 선율 위에 사설을 촘촘히 엮어 부른다. 종지 선율은 《시조》의 종지 선율과 같이 4도 하행하여 종지한다. 생매잡아는 매를 생으로 잡아 길을 들여 꿩 사냥을 보내고 백마를 손질하여 뒷산에 매어 두고 고기잡이하는 풍취를 담고 있다. 『청구영언靑丘永言』이나 『가곡원류』에 전하듯이 현행 가곡의 농(弄)이나 평롱으로 불리는 사설시조에 더 많은 사설을 첨가한 것이다.
생매를 잡아 길 잘 들여 두메로 꿩 사냥 보내고/ 쉰 말 구불 굽통 갈기 솔질 솰솰 하여 뒷동산 울림송정에/ 말뚝 쾅쾅 박아 참바집바 비사리바는 끊어지니/ 한 발 두 발 늘어나는 무대 소바로 매고/ 앞내 여울 고기 뒷내 여울 고기 오르는 고기 내리는 고기/ 자나 굵으나 굵으나 자나 주섬주섬 얼른 냉큼 수이 빨리 잡아 내어/ 움버들 가지 지끈 꺾어 잎사귀 조루룩 훑어 아가미는 실 꿰어/ 앞내 여울 잔잔 흐르는 물에 넙적 실죽/ 네모진 큰 청석 바둑돌을 마침 가졌다
생매잡아의 사설은 여름날 천렵하는 재미를 해학적으로 길게 묘사하여 노래하며, 불규칙한 사설을 다양한 리듬에 붙여 빠르게 엮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곡은 장형시조의 중장과 종장의 사설을 확대하여 ‘엮음’이라는 일정한 방식에 의해 노래하는 점이 특징이고, 음악적으로도 전형적인 서울 소리를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영운,『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국립국악원,『국악정보』, 국립국악원, 2010. 국립국악원,『한국음악28-선소리와 잡가』, 국립국악원, 1995. 송방송,『한겨레음악대사전』, 도서출판보고사, 2012.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흥인문화사, 1976. 홍은주, 『휘모리잡가』, 민속원, 2011. 송은도, 「휘모리잡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강희진, 「휘모리잡가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구조의 고찰」,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송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