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모리잡가 중 한 곡으로 비단의 이름을 엮어 부르는 노래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전문 소리꾼들이 부르던 《휘모리잡가》 중 한 곡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의 옛 비단 이름을 있는 대로 모아 엮은 노래이다. 볶는타령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를 사용한다.
비단타령은 판소리 《흥보가》 중에서 〈박타령〉의 사설을 확대한 것으로 높은 친연성을 보인다. 비단타령은 잡가집이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되어 있지 않아 언제부터 불렸는지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다. 다만 서울에서는 부르는 사람이 적어서 전파되지 않았다고 하며, 서도 지역에서 간혹 부르는 사람이 있었으나 현재는 거의 잊혀져 가는 소리이다.
○ 연행시기 및 장소 《휘모리잡가》는 해학적 내용으로 사설을 촘촘히 엮어서 빠르고 경쾌하게 부르던 노래이다.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잡가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던 소리이며, 먼저 경기잡가를 부른 연후에 선소리를 부르고 제일 마지막에 《휘모리잡가》를 불렀다고 한다. ○ 음악적 특징 비단타령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옛 비단 이름을 있는 대로 모아 엮은 노래이다. 《휘모리잡가》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길며, 해학적 내용보다는 진귀한 비단들의 이름을 생산지ㆍ사용처ㆍ특징 등으로 나열하는 사설이 중심을 이루는 곡이다. 장단은 볶는타령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를 사용하고, ‘솔(sol)’ 음으로 종지하는 전형적인 경토리로 부르는 노래이다. ○ 형식과 구성 비단타령은 송경식(誦經式)이라 하여 경을 읽는 듯이 독경(讀經)방식으로 노래한다. 비단타령은 촘촘하게 엮어 부르는 부분에서 사설이 많이 늘어나고, 비슷한 가락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부르기 때문에 형식이 뚜렷하지 않다. 비단타령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장단을 갖고 있지 않으며, 노래의 사설 자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연주한다. 4ㆍ4조 또는 3ㆍ4조와 4ㆍ3조의 사설을 사용할 때에는 2소박 2박을 위주로 노래하면서 부분적으로 3소박 3박과 3소박 4박을 혼용한다. 일곱 자의 사설을 중심으로 엮어가는 엮음선율 부분은 불가에서 〈천수경〉의 엮음방식과 유사하다.
청색 홍색 오색 잡색 당물 당천 거래시에 동경 천이며 남경천 동양 천이며 서양 천이라 동서양 거래시에 진속 목속 포속천 고물 신물 비단천 …(중략)… 초기가 막심하야 기다리고 바라던 귀 야반삼경 조요한데 문틈으로 넘나든 귀 일락서산 저문 날에 지체 말고 가거 서라
《휘모리잡가》는 조선 말기에 서울의 사계축 소리꾼들 사이에서 만들어지고 발전되었다. 지금의 마포구 성산동에 해당하는 풀무골의 소리꾼 이현익이 《휘모리잡가》를 많이 지었다고 하며, 비단타령도 만들었다고 한다. 잡가를 부르던 소리꾼들은 주로 겨울에 공청에 모여 노래를 불렀다. 이때 먼저 가사와 시조를 부른 연후에 경기잡가를 부르고 이어서 흥이 오르면 수잡가와 《휘모리잡가》를 연달아 불렀다. 《휘모리잡가》는 보통 해학적인 사설을 빠르게 엮어가면서 부르지만 비단타령은 진귀한 비단의 이름에 복합명사를 붙여 나열하고 있다. 가령 ‘단(緞)’하면 ‘일락서산 석양단, 소화신령 모초단, 청천월백 남색단, 무문영초 숙소단, 월문영초 대화단’ 등으로 비단 이름 앞에 복합명사를 붙여서 부르는 특징이 있다.
김영운,『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흥인문화사, 1976. 강희진, 「휘모리잡가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구조의 고찰」,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송은도, 「휘모리잡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송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