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거리
서도 산타령의 구성곡 네 곡중 두 번째로 부르는 곡
서도 선소리산타령은 〈놀량〉ㆍ앞산타령(사거리)ㆍ〈뒷산타령(중거리)〉ㆍ〈경발림(경사거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두 번째 곡이 앞산타령(사거리)이다. 사설 내용은 관악산 염불암과 연주대ㆍ도봉산 불성사와 삼막사ㆍ태백산ㆍ지리산과 낙동강ㆍ섬진강과 대동강ㆍ능라도 등의 산천경개와 사랑과 그리움 그리고 이별의 아픔을 주제로 한 사랑 얘기를 담아내고 있는 유절 형식의 악곡이다.
서도 앞산타령은 20세기 초에 불리던 놀량계 산타령의 〈사거리〉를 거의 대부분 계승하였다. 사설은 판소리 《춘향가》의 ‘백마는 가자고..’와 ‘장성일면용용수...’, 12가사 중 〈황계사〉의 ‘저 달아 보느냐...’, 민요 중 〈수심가〉와 〈긴아리랑〉의 ‘추야공산(秋夜空山) 저문날에...’, 잡가 중 〈달거리〉의 ‘경상도라 태백산은...’ 등에서 차용하는 것으로 보아, 서도 앞산타령은 다양한 장르와 사설 교섭현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세기 초 잡가집에 놀량계 산타령 중 〈사거리〉의 사설 중 입타령 부분에는 쉼표(,)와 같은 구점(句點)이 찍혀있고, 1절 부터는 아주 작은 동그라미(◦)로 구점이 찍혀있는 것이 특이하다. 동그라미 구점이 찍힌 부분이 사설 단락의 구분이고, 두 단락이 서로 대구가 되어 한 절을 이룬다. 현행 서도 앞산타령이 비교적 규칙적인 장단을 가진 것은 구점의 영향으로 보인다. 서도 앞산타령은 입타령으로 시작하는 유절 형식의 악곡이며, 그 구성음이 ‘라(la)-도(do′)-레(re′)-미(mi′)-솔(sol′)’인 반경토리에 속하는 악곡이다. 비교적 높지 않은 음역대에서 흥청거리는 선율형을 가지고 있어서 매우 흥겹게 노래하는 특징이 있다. 노래의 한 절은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로 이루어져있는데 각기 ‘다는 선율형과 리듬형’, 그리고 ‘맺는 선율형과 리듬형’으로 되어있다. ‘다는 선율형과 리듬형’이란 두 개의 악구 중에 선행하는 것으로 내드름의 성격이 강하고, ‘맺는 선율형과 리듬형’은 뒤따르는 악구로서 그 단락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한 악절이 달고, 맺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20세기 초 잡가집의 놀량계 〈사거리〉에는 없던 ‘하아–’라는 특이한 입타령이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 끝에 붙어 있다. 종지음을 살펴보면, ‘다는 선율형’과 ‘맺는 선율형’ 둘 다 도(do′)로 종지하며, 선율형은 각 악절이 ‘다는 선율형’ 두 가지와 ‘맺는 선율형’ 두 가지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한편, 리듬형을 살펴보면, ‘다는 리듬형’은 두 가지 정도로 구분되고, ‘맺는 리듬형’은 한 가지로 나타난다. 서도 앞산타령은 이렇게 단순한 리듬 구조를 가졌으며, 대부분 3소박 3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규칙적으로 느껴지는 악곡이다.
(메)나네노 니하나 에헤에 에헤에노오 나에게 헤에요 산하지로구나 (하-아) (1) (메)(과)천 관악산(冠岳山) 염불암(念佛庵)은 연주대(戀主臺)요 도봉(道峯) 불성삼막(佛性三幕)으로 에헤 둘렀다 (하-아) (받)에헤에헤로지히이히이지로구나 말을네야 나아헤에로 산하지로구나 (하-아) (2) (메)백마는가자고 네굽을땅땅치는데 임은 옥수(玉手)를 부여잡고 낙루탄식(落淚歎息)만 한다 (하-아) (받)우지를말아라우지를말아라네가 진정코 우지를말아라 너무나 울기만하여도 정만 떨어진다 (하-아) (3) (메)추야공산(秋夜空山)날저문날인데 모란황국(牡丹黃菊)이 다붉었다 (받)경상도(慶尙道) 태백산(太白山)은 상주(尙州) 낙동강(洛東江)이 둘러있고 전라도(全羅道) 지리산(智異山)은 하동(河東)이라 섬진강수(蟾津江水)로만 에헤 둘렀다 (하-아) (4) (메)저달아보느냐임계신데명기(明氣)를 빌려라 나도 잠깐이나 보자 (하-아) (받)한량노릇을마다하고서가지각색마음을먹었더니만 새장구장단치는 소리 발림춤만 나간다 (하-아) (5) (메)팔도로 돌아 유산객(遊山客)이요 여덟도 명산이 금강산이라 (받)탁자앞에 앉은 노승 팔대장삼(長衫)을 떨쳐입고 고부랑곱박 염불만한다 (하-아) (6) (메)백구(白鷗)는 편편(翩翩) 대동강 상비(上飛하)고 장송(長松)은낙락(落落) 청류벽상취(淸流壁上翠)라 (하-아) (받)장성일면(長城一面)용용수(溶溶水)요 대야동두(大野東頭)점점산(點點山이)라 능라도(綾羅島) 백운탄(白雲灘)으로 놀러만 가자 (하-아) (후략)
이창배 창 서도 앞산타령(사거리)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93쪽.)
서도 앞산타령(사거리)은 놀량계 〈사거리〉의 사설을 거의 그대로 계승한 악곡이다. 그 사설은 한시문(漢詩文)이나 가사ㆍ잡가ㆍ판소리 등 다양한 장르의 공식화된 수사적 정형 문법 등을 두루 수용하여, 대중 예술로 함께 향유하도록 하였다.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전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 16, 1994. 황준연, 「전태용 창부타령의 선율구성」, 『한국음반학』 10, 2000.
신현남(申鉉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