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에 방해가 되는 새를 쫓거나 세시풍속에서 액을 쫓을 때 부르는 민요
새쫓는소리는 실제 새를 쫓아내기 위한 소리이기도 하지만 논매기나 달구질 등의 노동요 및 정월 대보름에 액을 쫓기 위한 세시의식요로도 불린다.
원래 새쫓는소리는 이삭을 먹는 새를 쫓아내기 위해 하는 구호나 외침에서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민요로 불린 것 같다. 또한 점차 다른 노동 행위에서 불리고 때로는 세시풍속이나 놀이에서도 불리면서 구연의 영역이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새쫓는소리는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민요이며, 지역에 따라 기능도 다르게 나타난다. 실제 논에 날아드는 새떼를 쫓기 위해 부르는 소리는 시끄럽게 소리를 낼 만한 물건을 두드려 새가 놀라 달아나게 만드는 노동요로 충남과 전남,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새가 곡식을 쪼아 먹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월 보름 아침에 들에 나가 새 쫓는 흉내를 내며 외치듯 노래하는 새미리쫓는소리는 기원의식요이며, 경북과 충남, 강원 등지에서 조사되었다. 경기도지역의 새쫓는소리는 다른 지역과는 비교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논에서 새를 쫓거나 정월 보름에 부르는 소리는 조사되지 않고 논매기나 장례의식의 마무리 단계에서 액막이를 하는 의미로 새쫓는소리를 불렀다. 따라서 지역마다 새쫓는소리의 양상은 다양하다. 현재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마들농요에서 논매는소리 중 새쫓는소리인 〈우야훨훨〉을 전승하고 있다.
새쫓는소리의 사설도 다양하게 조사되었는데 “후여 후여 후여”하는 구음과 함께 노래를 시작하여 “오늘은 여기서 까먹고 내일은 까먹지 마라”고 하는 〈오늘만까먹고소리〉가 있고, “아랫녁새는 아래로가고 웃녁새는 위로가고”로 시작하는 소리도 있다. 이러한 소리들은 주로 새를 쫓기 위해 ‘두름박’·‘꼬두박’·‘딱딱’ 등 시끄러운 소리를 흉내 내는 의성어가 자주 등장한다. 반면 ‘우야훨훨’ 정도의 후렴구만 부르고 민요 〈새야새야파랑새야〉나 잡가 〈새타령〉 등 다른 곡의 사설을 차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주로 경기도 지역의 새쫓는소리에서 나타난다. 즉 새쫓는소리의 사설은 크게 구호와 의성어를 중심으로 노래하여 기능 위주로 구연되는 경우와, 이와는 달리 기존 노래에서 서정적인 내용들을 차용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새쫓는소리의 선율은 지역마다도 다르고 한 지역에서도 여러 가지 토리로 나타난다. 박자는 3소박 4박으로 정형화된 경우도 있고 말하듯이 구연하여 일정한 박자가 없는 경우도 있다.
새쫓는소리의 노랫말 중 ‘후여’나 ‘우여’, ‘우야’ 등은 새를 쫓는 의성어이며, ‘훨훨’은 새의 나는 모습을 나타낸 의태어이다. 후여 이놈의 새야 저 날어 가거라 울로새는 울로가고 알로새는 알로가고 꼬드박 딱딱 후여 후여 이놈의 새야 저 날어 가거라 울로새는 울로가고 알로새는 알로가고 꼬드박 딱딱 후여 (하략)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2리(CD: 경북 1506-4)
(메) (받) 우야훨훨 우야훨훨 아랫녘 새야 웃녘 새야 우야훨훨 녹두밭에 앉지마라 우야훨훨 녹두꽃이 떨어지면 우야훨훨 청포장수 울고간다 우야훨훨 (하략)
김영운 외, 『경기도의 향토민요-상』, 경기문화재단, 2006, 135~138쪽.
새쫓는소리는 실제 새를 쫓기 위해 부르던 것이 다른 노동이나 세시풍속 노래로 기능이 확대된 대표적인 민요이다.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고 그에 따르는 다양한 사설과 특징적인 구연 방식이 있으므로 교육 및 창작에 활용하기 좋은 민요이다.
강등학, 『한국민요의 존재양상과 판도』, 민속원, 2016. 김영운 외, 『경기도의 향토민요-상』, 경기문화재단, 2006. 김혜정, 「경기도 〈새쫓는 소리〉의 전승 양상과 교육적 활용 방안」, 『기전문화연구』 42/1, 2021. 이보형, 「새 쫓는 소리와 영노」, 『한국민요학』 6, 1998.
정서은(鄭諝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