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타령(떡打令), 개떡노래, 개떡타령(개떡打令)
떡의 종류나 특징을 묘사하여 부르는 소리
여러 가지 떡을 인상적인 특징과 연관 지어 부르는 언어유희요이다. 떡장수가 부르던 노래를 일반 사람들이 듣고 배워 부르면서 전승되었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각 지역의 민요 토리를 반영한 선율로 부른다.
떡은 의례와 제례에 사용되는 음식이자 간식인 만큼 떡을 주제로 한 노래는 농경시대를 이래로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연행시기 및 장소/ 용도 떡노래는 떡장수가 부르던 노래를 흉내 내어 부르며 전승되었다. 떡을 주제로 삼아 부르는 노래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2월 영등제나 별신굿 때 떡장수가 부르는 노래를 듣고 배웠다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오늘날은 떡의 종류와 특징을 재미있게 묘사하며 부르는 언어유희요로 기능을 하고 있다. ○ 음악적 특징 떡노래는 경상도ㆍ전라도ㆍ충청도 등 여러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각 지역 민요의 토리를 반영한 선율로 부른다. 음악 교과서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떡노래는 경남 통영 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래이다.
통영지역은 경상남도이지만 문화권적으로는 육자배기토리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으로, 경상도의 음악적 특징과 전라도의 음악적 특징이 섞여 나타난다. ‘미(mi)-라(la)-시(si)-도(do′)-레(re′)’의 음계를 사용하는 점에서는 육자배기토리처럼 보이지만 ‘시(si)’음을 상행 때도 사용하는 점에서 전라도의 육자배기토리와 다르다. 3소박 4박자의 자진모리장단에 어울린다.
○ 형식과 구성 (악곡 구성, 가창 방식, 반주 악기편성 등) 떡노래는 떡의 모양과 색깔을 묘사하여 떡의 종류를 나열하고, 이름의 인상적인 부분을 전국의 자연환경과 연관 지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계절이나 지역별로 특색을 가진 떡의 맛을 자랑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주로 한 사람이 독창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경남 통영 떡노래 떡 떡 떽이야 / 떡 떡 떽이야1 해변놈은 갈파래떡2 파래로 만든 떡 / 산중놈은 칡가래떡 요내 요기는 고구매떡 / 강원도 놈으는 강냉이떡 산중놈은 칡가래떡 / 떡떡 배비떡3 조청 강에다 띠아 놓고 /요내 목으로 홀라당
1) 떡 덩어리 2) 파래로 만든 떡 3) 개성에서 찹쌀 반죽에 녹두소를 넣고 동그랗게 빚어 콩가루를 묻힌 떡
『한국민요대전-경상남도편』 CD 7-12, 문화방송, 1994, 337쪽. 통영 떡노래, (1992. 8. 21 / 한산면 용호리 호두마을 / 양귀연, 여, 1913)
전남 화순 떡노래 떡 떡 배피떡1 / 기피고물에2 찬시리떡3 서울 사람은 설기떡 / 전라도 사람은 찰떡 들녁 사람은 쑥떡 / 산중 사람은 칡가리떡4 해변 사람은 파래떡 / 제주 사람은 감자떡 황해도 사람은 서숙떡5 / 경상도 사람은 기정떡6 전라도 사람은 부지떡7 / 이 떡 저 떡 배를 무어8 찰떡으로 밑을 깔고 / 문지떡으로9 칠을 박고10 대떡으로11돛을 달아 /조청강에다 띄워 좋고 북을 두둥둥둥 / 어기야 디야차 / 어야디야 어허 어야디야 어야디야 / 어기야디야 차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CD 20-11, 문화방송, 1993, 704쪽. (1990. 1. 10 / 이양읍 묵곡리 월암 / 김상록, 남, 1920)
1) 배피떡 : 개피떡. 흰떡이나 쑥떡, 송기떡을 얇게 밀어 콩가루나 팥가루 소를 넣고 오목한 그릇으로 반달 모양으로 찍어 만든 떡. 2) 기피고물 → 거피고물(去皮-) : 콩, 팥, 녹두 등의 껍질을 벗기고 빻아서 만든 고물. 3) 찬시리떡 : 찰시루떡. 4) 칡가리떡 : 칡뿌리로 만든 떡. 5) 서숙떡 : 조로 만든 떡. 6) 기정떡 : 지장떡, 기장으로 만든 떡. 7) 무지떡 : 무시떡, 무우떡. 8) 배를 무어 : 배를 지어. 9) 문지떡 : 먼지처럼 발이 고운 떡이라 하나 분명치 않음. 10) 칠을 박고 : 칠을 하고. 배를 이루는 판자의 연결부에 물막이를 하는 것을 일컬음. 11) 대떡 : 가래떡.
여러 지역의 다양한 떡의 소재나 모양, 떡의 특징을 묘사하거나, 이름의 인상적인 부분을 전국의 자연환경과 연관 지은 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언어유희요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명절이나 특정한 날에 별미로 만들어 먹는 떡을 소재로 한 노래로 풍요롭고 즐거운 정서 반영되어 있다.
강등학, 『한국 민요의 존재양상과 판도』, 민속원, 2016. 김혜정, 『초등 국악교육을 위한 이론과 실습』, 민속원, 201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남도편』, 문화방송, 1994.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문화방송, 1993.
이정민(李貞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