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답(舞踏), 족도(足蹈)
한 발을 내디뎌 서거나, 양발에 중심을 실어 누르는 한국춤 보법(步法)
디딤은 한 발이 축이 되어 다른 한 발이 전ㆍ후ㆍ좌ㆍ우 등 인체 외부의 공간을 향해 내딛고 서거나, 양발이 지면 위에 중심을 싣고 서는 한국춤의 보법이다.
고대 중국의 정사(正史) 『삼국지(三國志)』「위지동이전」 마한조에는 고대 한민족의 제천의식(祭天儀式)에 사용된 가무(歌舞)에 대하여 “구기상수(但起相隨) 답지저앙(踏地低昂) 수족상응(手足相應) 절주유사탁무(節奏有似鐸舞)”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즉 모두 일어나 서로 따르며 땅을 밟고 몸을 수그렸다 치켜들었다 하고, 손과 발이 서로 잘 어울려 들었는데 그 절주(節奏)의 가락이 탁무(錢舞)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 기록은 한국인의 춤사위를 가늠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특히 땅을 밟는 발놀림인 ‘답지(踏地)’는 한국춤의 기본 보법인 디딤의 근거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디딤은 한국 춤의 연행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기본 보법이다. 디딤은 동사 ‘디디다’에서 온 용어로, 발을 지면 위에 올려놓고 서거나 중심을 실어 발을 내리누르는 상태를 말한다. 주로 발과 결합하여 발디딤이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춤을 출 때 두 발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홑디딤, 팔(八)디딤, 정(丁)디딤 등 다양한 형태의 발디딤이 발생한다. 이때 발 디딤의 형태는 맵시를 자랑하듯 버선 끝을 올려 발의 모양새가 축소되고 단아해 보이도록 한다. 홑디딤은 한 발이 축이 된 채 나머지 한 발을 출족(出足)하여 전ㆍ후ㆍ좌ㆍ우로 내딛는 발 디딤이다.
팔(八)디딤은 양발을 모아 뒤꿈치에 붙이고 여덟팔 자[八字]로 벌려 딛고 선 발디딤으로 제 자리에서 춤출 때 발생하며 안정감 있다.
정(丁)디딤은 두 발을 모으되 한 발을 축으로 다른 한 발이 축을 이루는 발의 복사뼈에 뒤꿈치를 붙어 정자(丁字)의 형태를 유지한다. 정(丁)디딤은 연속되는 디딤 걸음 시에 다리의 교각(交角)을 유지하여 인체의 아름다운 자태를 돋보이게 한다. 홀디딤, 팔(八)디딤, 정(丁)디딤은 운동보다는 춤사위의 형태에 해당하며, 중심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홑디딤, 팔(八)디딤, 정(丁)디딤이 된다.
김기화(金起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