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삭(走索), 답삭희(踏索戱), 이승(履繩), 보삭(步索), 주승(走繩), 승희(繩戱), 사연삭(躧輭索), 무환(舞絙), 승삭(乘索), 주질(注叱)
줄광대가 줄 아래에 어릿광대와 삼현육각(三絃六角) 악사를 대동하고 음악 반주에 맞추어 줄 위에서 기예, 재담, 가요를 펼치는 전통연희
줄타기는 연희 장면에 적합한 가요와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재담이 다양한 기예와 어우러져 관중의 흥미와 탄성을 자아내는 고난도의 곡예 종목이다. 기예, 재담, 음악의 유기적 결합은 공중에 설치된 줄이라는 협소한 단선 무대를 폭넓은 극적 공간으로 확장시켜, 줄타기를 단순한 기예를 넘어 주제 의식을 표출할 수 있는 수준 높은 공연예술로 성장하게 했다.
줄타기는 무예를 단련하고 하천이나 계곡 같은 자연 장애물을 극복하며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는 데 필요한 기예로,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자생적 연희이다. 줄타기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새롭고 수준 높은 산악(散樂)ㆍ백희(百戲)의 영향을 받아 성장하게 되었다. 삼국시대부터 고려 초까지는 줄타기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시의 여러 행사에서 《가무백희(歌舞百戱)》, 《잡희(雜戱)》 등이 연행되었다는 기록을 통해 줄타기의 연행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줄타기에 대한 가장 이른 기록은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오세문(吳世文)의 〈삼백운시(三百韻詩)〉에 화답한 시다. 이 시에서 “은하수에 닿을 정도로 줄을 높이 매달고(戱索高連漢)”라는 표현은 민간에서 고난도의 줄타기를 연행했음을 보여준다.
○ 개요 삼국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줄타기가 연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행 공간은 가무백희, 잡희 등이 연행되었던 한가위, 팔관회(八關會), 연등회(燃燈會), 수륙재(水陸齋), 우란분재(于蘭盆齋) 등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나례(儺禮), 중국 사신 영접행사, 지방관 환영행사 등의 공식적 행사와 사대부가의 잔치, 상업적인 목적의 행사 또는 과거급제 후 벌이는 유가와 문희연 등의 민간 행사에서 줄타기가 연행되었다. 우리의 줄타기는 기예 중심의 줄타기를 벗어나 줄 아래 어릿광대와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재담을 서로 주고받고, 삼현육각의 탄탄한 음악 반주에 맞추어서 기예의 다양성과 유연함, 장면에 알맞은 설득력 있는 가요를 연행하는 판줄로 발전하였다.
○ 절차와 구성
줄타기는 통상 〈줄고사〉로 시작해서 〈전반기예〉, 〈중놀이〉, 〈왈짜놀이〉, 〈후반기예〉, 마무리의 순으로 연행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줄고사〉: 줄광대는 먼저 줄판을 정화하고 줄타기 스승과 선배에게 아무 사고 없이 무사히 줄을 타게 해달라고 빌고, 관중들에게는 건강과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줄고사〉를 지낸다. 줄광대는 〈줄고사〉를 통해 관중과 함께 음복하고 소원을 빌면서 신명나는 줄판을 만들고자 한다.
2) 〈전반기예〉: 줄타기의 전반부에서 행하는 기예를 말한다. 줄광대는 〈줄고사〉를 마친 후 느린 염불 장단에 맞춰 줄에 오른다. 작수목에 위치한 줄광대는 객기를 부리며 줄 위로 나아가지만, 줄 위에서 몇 걸음도 가지 못하고 다시 작수목으로 돌아오기를 반복하며 관중에게 웃음과 긴장을 유발한다. 그리고 〈외홍잽이〉, 〈코차기〉, 〈외무릎풍치기〉, 〈양다리외홍잽이〉와 같은 비교적 단순한 기예를 선보인다.
3) 〈중놀이〉: 〈중놀이〉는 전반 기예를 통해 발생한 극적 긴장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 줄광대는 이 대목에서 흥겨운 줄타기 가요와 재담을 구사하여 관중의 여유를 회복시킨다. 재담 중에 “이 중 근본 들어보소, 백개장창 분불량 좌우산청 모은 중, 석불야밤에 중추중, 아닌 밤중 처녀각시를 데려다가 한번 요도하는 생환님같은 중놈이 열씩 스물씩 나는 줄 아오. <김봉업본>”라고 했다. 줄광대는 근엄한 중의 파계를 통해 고답적(高踏的) 윤리의 위선을 풍자하고, 욕망을 긍정하는 민중적 현실성을 부각시킨다.
4) 〈왈짜놀이〉: 〈중놀이〉에서 조성된 줄판의 흥겨움을 더욱 강화시킨다. 줄광대는 이 대목에서 여러 개성 있는 인물들을 흉내 내서 관중의 흥미와 공감을 자아낸다. 특히 양반에 대한 흉내는 상류층을 희화화시키고 그 권위를 추락시킨다. 줄광대와 어릿광대는 특정 인물의 동작을 흉내 내거나 우습게 표현함으로써 웃음을 자아낸다. 줄타기는 우희(優戱)의 일종인 유희의 영향 아래, 양반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흉내 내고 음담이나 비속어를 사용하여 조롱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5) 〈후반기예〉: 줄광대는 전반부에 형성된 관중의 극적 긴장감을 〈중놀이〉와 〈왈짜놀이〉를 통해 이완시킨다. 후반부의 기예는 〈칠보 달어치기〉, 〈허공잽이〉 등 난도가 매우 높은 연결 및 결합 동작이 주로 연행된다. 〈허공잽이〉는 줄광대가 허튼타령 장단에 쌍홍잽이로 앉았다가 몸을 솟구쳐 방향을 돌려 쌍홍잽이 하는 것을 반복하는 동작이다. 이러한 고난도의 기예로 인해 압박되는 관중과 줄광대의 극적 긴장감은 줄광대와 어릿광대가 주고받는 재담과 인물이나 사물에 대한 모방 동작을 통해 반복적으로 이완됨으로써, 더 큰 극적 긴장을 준비해 나간다. 이후 어려운 기예를 통해 극적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 올리고 〈살판〉 즉 줄 위에서 공중제비 돌기를 통해 이를 해소한다.
6) 마무리: 줄광대는 관중의 성원에 감사 인사를 하고 관중의 건강과 행운을 축원한 후에 얼음을 지치듯 줄에서 내려온다. 그리고 줄 아래에서 어릿광대와 함께 관중석과 악사석에 인사를 마치고 퇴장한다.
○ 음악적 특징 줄소리는 소리의 목구성이 판소리의 목과 아주 비슷하다. 대표적인 줄소리인 〈새타령〉은 사설 자체의 의미보다는 줄타기 현장의 흥겨운 분위기를 강화하고, 오랜 시간 동안 줄만 탈 수는 없으므로 여러 종류의 노래와 재담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수용된 것이다. 줄광대가 부르는 줄소리들은 상황의 전개와 관련지어 극적인 성격을 지닌 채 불린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어릿광대는 줄광대와 삼현육각 악사의 상태, 관중의 반응을 모두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성립시키고 줄판의 흐름을 조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줄타기에서 장단은 통상 염불장단과 타령장단이 주를 이룬다. 따라서 현행 한국 줄타기의 기예와 가요는 18세기 이후 발생한 빠른 장단에 맞춰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역사적 변천 과정 조선시대에는 중국 사신의 영접이나 일본 통신사의 파견, 지방관과 관련된 각종 행사 등에서 다양한 연희가 펼쳐졌고 이때 줄타기도 공연되었다. 성현(成俔, 1439-1504)은 〈관괴뢰잡희시(觀傀儡雜戱詩)〉에서 중국 사신 영접행사에서 연행된 조선 줄타기의 연희 수준을 “중국 사신 휘둥그레 깔보지는 못하리라”라고 표현하고 있다. 중국 사신 영접행사에 줄타기가 연행되었음을 보여주는 도상자료는 청나라 사신 아극돈(阿克敦, 1685-1756)이 1725년 완성한 《봉사도(奉使圖)》가 있다. 이 작품 제7폭에서 모화관(慕華館) 마당에서 공연한 〈대접돌리기〉, 〈땅재주〉, 〈탈춤〉 등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과거급제 후 벌이는 유가(遊街)와 문희연(聞喜宴) 등과 같은 민간의 각종 연회와 유랑예인들의 공연에서 줄타기가 연행되었다. 문희연에서 펼쳐진 전통연희의 연행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자료인 송만재(宋晩載, 1788-1851)의 〈관우희〉 50수 중 26수에서 35수에는 줄타기의 도입과정, 줄타기의 연행시간, 연행 공간, 관객, 기예, 〈중놀이〉, 〈살판〉에 대한 내용이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20세기 들어서 서양식 극장이 들어오면서 전통적인 마당 공연 방식에서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 극장 공연 방식으로 연행 조건이 급격하게 변모했다. 이러한 공연 환경의 변화는 줄타기가 독립된 종목으로 장시간 공연되는 판줄에서, 짧은 형태로 축소되어 기예 중심으로 공연되는 도막줄로 바뀌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후 줄타기는 실내외 공연을 막론하고 기예가 중심이 되는 볼거리 위주의 공연 방식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줄타기는 줄광대가 개방적인 연행구조 속에서 순간순간 변형과 생성을 통해 개성적인 창조가 가능한 전통연희 종목이다. 한국 줄타기는 민첩한 동작의 결합, 상징적인 표현이 어우러진 복합성, 인간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다른 나라의 줄타기와 다르게 연희 장면에 적합한 가요와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재담이 다양한 기예와 어우러져, 관중의 흥미와 탄성을 자아내는 고난도의 전통연희이다.
국가무형유산 지정 (1976)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2011)
이호승, 『전통연희 곡예 종목과 줄타기 연구』, 월인, 2011. 이호승, 『전통연희 남사당패 어름줄타기 연구』, 월인, 2019. 이호승, 『전통연희 총서 1 - 줄타기 솟대타기』, 민속원, 2020. 이호승,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 줄타기 교재』, 한국문화재재단, 2021. 이호승, 『K-헤리티지 총서 9 - 줄타기』, 국가유산진흥원, 2025.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 학고재, 2020. 이호승, 「전통연희 곡예와 묘기 종목 연구의 현황과 전망」, 『동아시아 고대학』 66, 동아시아 고대학회, 2022.
이호승(李鎬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