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전집(五歌全集)』은 김택수(金澤洙, 1895~1976)가 명창 이선유(李善有, 1873~1949)의 판소리 다섯 바탕의 사설을 채록한 창본이다. 총 208쪽의 양장 단행본 1책이며, 저작자 겸 발행자는 김택수이고, 서울 대동인쇄소(大東印刷所)에서 인쇄하여 1933년 4월에 출판하였다. 판소리 다섯 바탕의 사설 채록으로는 처음 출판된 것이다. 『조선창극사』에는 이선유가 송우용과 김세종에게 판소리를 학습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선유는 유성기 음반 22면을 취입하였기 때문에 『오가전집』은 실제 녹음과 비교할 수 있는 창본으로 고조(古調) 판소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체재 및 규격
양장 1책, 신국판(15.0Cm×22.4cm). 총 208쪽. 순한글 판소리 다섯 바탕 사설
○ 소장처
연세대학교 도서관, 배연형
○ 편찬연대 및 편저자 사항
『오가전집』의 편저자 김택수는 판소리 애호가로 명창이나 귀명창들과 두루 교류를 하였으며, 직접 판소리를 부르기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택수는 한학에 조예가 깊었고, 조선조 판소리 문화에 대한 경험과 심미안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소양으로 이선유의 고제 소리의 품격과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직접 그의 사설을 정리하였다. 그는 이선유의 소리를 ‘거의 당세 독보’라고 평했다. 김택수는 이선유와 함께 계룡산 동학사(東鶴寺), 경남 산청의 대원사(大源寺)에 머물면서 판소리 다섯 바탕 사설을 정리했다. 김택수가 자비로 출판했으며, 편찬 동기는 취미와 전통문화에 대한 사명감, 판소리의 교육과 상업화에 있다고 했지만, 판매량은 매우 적었다.
판소리 명창 이선유는 1873년 경남 하동에서 출생하여 15세 무렵에는 송우용에게 소리를 배우고, 나중에는 김세종에게 지침을 받아 일가를 이루었다. 진주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1949년에 작고했다.
○ 구성 및 내용
『오가전집』은 책의 표지나 머리말에 편저자인 김택수를 표기하지 않고 판권지에 ‘저작겸발행인’이라고 표기하였다. 본문의 앞머리에는 ‘리선유음’이라고 표기하여 이선유의 창본임을 밝히고 있다. 『오가전집』은 별면 포함 총 208쪽이며, 체제는 다음과 같다.
李善有氏(이선유씨)(별지 상반신 사진)
별면 1쪽 : 머리말
별면 1쪽 : 범예
별면 1~4쪽 : 춘향가 목차
1~55쪽 : 춘향가
57~99쪽 : 심청가
101~128쪽 : 화용도
129~164쪽 : 수궁가
165~196쪽 : 박타령
197쪽, 별면 : 판권지
출판 사항은 다음과 같다.
著作兼發行者 金澤洙 忠淸南道 論山郡 豆磨面 豆溪里 八四番地(저작겸발행자 김택수 충청남도 논산군 두마면 두계리 84번지)
印刷者 朴仁煥 印刷所 大東印刷所 京城府 公平洞 五五番地(인쇄자 박인환 인쇄소 대동인쇄소 경성부 공평동 55번지)
昭和八年 四月 二十七日 印刷, 昭和八年 四月 三十日 發行(소화8년 4월 27일 인쇄, 소화8년 4월 30일 발행)
『오가전집』은 이선유의 판소리 다섯 바탕을 채록한 사설접으로, 최초로 명창 한 사람이 부르는 판소리 사설 다섯 바탕을 완전하게 채록하여 출판한 창본이다. 책의 첫머리에 ‘리선유음’이란 이선유의 소리[音]라는 뜻이다.
『오가전집』은 이선유의 판소리 사설을 채록하면서 김택수가 틀린 부분을 바로잡고 일부 문장을 다듬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설의 구성에서는 김택수의 주관이 개입되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는 범례에서 “오가 전부를 고조와 중고조와 신조 중 가장 현대 적절한 것을 수집하였다”라고 하였다. 이 기록은 편자의 사설 정리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아울러 판소리 유파 개념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선유의 사설은 그의 유성기음반과 비교함으로써 실제 음악으로 구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학술적인 가치가 높다. 이선유의 사설은 현대 판소리와 비교할 때, 사설의 짜임이나 장단 운용에서 차이가 나기도 하고, 지금은 사라진 더늠도 많이 들어 있다.
사설은 더늠 앞에 ‘방자분부듯고 자진모리’처럼 대목 이름과 장단을 적어놓았다. 장단 명칭은 ‘아니리,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지진모리, 엇모리’로 표기했고, 중모리는 ‘느진중모리, 중모리, 자진중모리’로 구분하기도 했다.
최난경, 『이선유 오가전집 연구』, 박이정, 2008. 판소리학회 편, 『(판소리학회 학술총서2) 이선유의 『오가전집』』, 민속원, 2017.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단, 『(수림문화총서) 한국유성기음반』, 한걸음더, 2011. 국립민속박물관 편, 「『오가전집』 해제」, 『한국민속문학사전: 판소리』, 국립민속박물관, 2013. 「文化財 도로 찾기 運動 第11回 發表」, 『동아일보』, 1962. 11. 14.(6).
배연형(裵淵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