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전악(金殿樂), 우조타령(羽調打令/羽調打鈴)
조선후기 군영에서 세악수가 연주하던 《취타풍류(吹打風流)》의 네 번째 곡.
〈별우조타령(別羽調打令)>은 행악의 한 곡이며, 일명 〈우조타령(羽調打令/羽調打鈴)〉이라고도 하고, 아명은 〈금전악(金殿樂)〉이다. 《취타풍류(吹打風流)》에서는 〈취타(吹打)〉-〈길군악〉-〈길타령〉에 이은 네 번째 곡이다.
『유예지(遊藝志)』에 악보 없이 별우조타령이라는 곡명만 등장하고, 『삼죽금보(三竹琴譜)』와 『서금보(西琴譜)』에 〈우조타령〉이라는 곡명으로 악보가 수록되었다.
『유예지(遊藝志)』에 악보 없이 별우조타령이라는 곡명만 등장하고, 『삼죽금보(三竹琴譜)(1841)』와 『서금보(西琴譜)』에 〈우조타령〉이라는 곡명으로 악보가 수록되었다. 『삼죽금보』의 거문고 〈우조타령〉과 『서금보』의 양금 〈우조타령〉 악보는 현행과 같은 장(章) 구분이 없다.
별우조타령이라는 이름은 《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 의 여덟째 곡인 계면조(界面調)의 〈타령(打令)〉을 우조(羽調)로 변조(變調)한 곡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 장단을 열두 정간(井間)으로 기보하지만 실제로는 세 박이 모여 큰 한 박 단위를 이루는 네 박 장단에 해당한다. 네 장 구성에 모두 서른여섯 장단으로, 《영산회상》의 〈타령〉보다 네 장단이 더 길다.
편성 악기 중 향피리를 한 구멍 치켜잡고 불되, 본래의 음보다 한 음 아래 음을 연주하는 독특한 연주법을 사용한다.
『삼죽금보』『서금보』『유예지』
국립국악원, 『피리정악보』, 국립국악원, 2015.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박소현(朴昭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