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허리드는 자즌한닙, 중거(中擧), 거중성(擧中聲), 중거대엽(中擧大葉), 중거삭대엽(中擧數大葉), 중허리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 중선회(衆仙會)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인 남창가곡에 속하는 노래로, 〈이수대엽〉에서 파생되어 부분적으로 음역을 높여 부르는 악곡
중거(中擧)는 〈이수대엽(二數大葉)〉에서 분화된 노래이다. 우조(羽調)와 계면조(界面調) 두 가지 악조로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음역을 높여 부르기 때문에 〈중허리드는 자즌한닙〉이라고도 한다. 남창가곡을 이어 부를 때, 우조 중거는 우조 〈이수대엽〉에 이어 부르고 그다음 우조 〈평거(平擧)〉로 이어진다. 계면 중거는 계면조 〈이수대엽〉에 이어 열한 번째 곡으로 부르고 그 다음은 계면조 〈평거〉이다.
19세기 후반에 〈이수대엽〉의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 파생된 중거는 가곡 한바탕 가운데 ‘평거’ 와 더불어 가장 늦게 형성된 곡에 속한다. 악곡의 중간에 해당하는 3장 부분을 높은 음역으로 들어서 부른다고 하여 ‘중거’라고 한다.
○ 역사변천과정
『삼죽금보』의 〈이수대엽〉에서 파생된 우조 중거와 계면조 중거는 19세기 후반의 거문고 악보인 『현금오음통론』(1886)과 『학포금보』에 등장하여, 남창 연창의 순서로 수록되었다. 또한 19세기 가집인 『가곡원류』, 『협률대성』에 의하면 〈(계면조)중거삭대엽〉, 〈(우조)우중거〉, 〈(계면조)중거〉,〈(우조)중거〉 등 이칭의 악곡명과 노랫말 여러 편이 전한다.
현재의 남창가곡 중 중거는 20세기 하규일(河圭一, 1867~1937)을 통하여 전승되어 우조 중거 두 곡과 계면조 중거 세 곡이 지금까지 전한다. 남창 우조 중거의 사설에는 “인심은” ∙ “청강(清江)에” ∙ “창랑(滄浪)에” 등 세 곡이 있고, 계면조 중거의 사설에는 “청풍” ∙ “있으렴” ∙ “청산이” ∙ “지금에” ∙ “한산(閑山)섬” 등의 다섯 곡이 있다.
○ 음악적 특징 가곡에는 우조와 계면조의 두 악조가 있다. 이중에서 ‘우조’는 ‘우조평조(羽調平調)’의 준말, 즉 황종궁(黃鍾宮) 평조 선법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낮은 탁임종궁(㑣鍾宮) 평조 선법인 평조평조(平調平調, 탁임종궁 평조선법)가 있었으나 현재 가곡은 우조평조로만 부르기 때문에, 가곡에서 ‘우조’와 ‘평조’는 같은 말로 인식되고 있다. 우조 중거의 음계는 황(黃:E♭4), 태(太:F4), 중(仲:A♭4), 임(林:B♭4), 남(南:C5)의 5음 음계 황종 평조이고, 계면조 중거는 황(黃:E♭4), 중(仲:A♭4), 임(林:B♭4)의 3음이 골격을 이룬다. 가곡 기본 장단인 16박 장단이며, 빠르기는 1분당 약 25박으로 가곡 중 비교적 느린 속도에 해당한다. 〈이수대엽〉의 선율과 대체로 유사하며, 특히 ‘거중성(擧中聲)’ 이라는 옛 명칭과 같이 1장의 중간 부분, 3장과 5장을 높은 음역으로 부른다. 우조에서는 중려와 태주를, 계면조에서는 임종과 중려를 길게 끈다. 창법은 무겁고 존엄하고 곧은 목을 쓰는데, 〈삼수대엽〉까지 대동소이하다. 가곡은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양금, 단소, 장구 등 관현악 편성의 악기를 단재비로 구성하여 반주한다. 전체 5장으로 구성되며, 전주(前奏)인 대여음(大餘音)에 이어 초장, 2장, 3장을 부르고, 짧은 간주(間奏)인 중여음(中餘音)에 이어 4장과 5장을 마저 부른다. 대여음은 본래 노래가 다 끝난 뒤 연주하는 후주(後奏)였으나, 오늘날 가곡에서는 전주로 연주된다. 가곡의 가사붙임새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이라 하여, 실사(實辭)에 해당하는 낱말을 촘촘히 붙이고 조사 등 허사(虛辭)를 길게 끄는 것이 특징이다. ‘ㅐ’나 ‘ㅔ’등의 중모음(重母音)을 ‘아이’, ‘어이’ 등 단모음(單母音)으로 풀어 발음하는 것은 가곡 갈래가 성립한 조선 중기 국어 발음의 잔영으로 보인다.
⋅우조 중거 “인심은” (초장) 인심(仁心)은 터히되고 (2장) 효제충신(孝弟忠信) 기동되여 (3장) 예의염치(禮義廉恥)로 ᄀᆞ즉이 녜씨니 (4장) 천만년(千萬年) (5장) 풍우(風雨)를 만난들 기울쥴이시랴 ⋅계면조 중거 “청산이” (초장) 청산이 적요(寂寥)한데 (2장) 미록(麋鹿)이 벗이로다 (3장) 약초에 맛들이니 세미(世味)를 잊을로다 (4장) 석양에 (5장) 낚대를 메고나니 어흥(漁興)겨워 하노라
중거를 포함한 가곡은 신라 향가와 고려가요의 맥을 이은 우리나라 고유의 성악 갈래이며, 전통사회 상류층의 미의식과 문화를 간직한 정가(正歌)로서 국가 및 지방별 무형유산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중거는 가장 유장한 멋을 지닌 〈이수대엽〉 선율 위에 자연과 기개를 주제로 하여 속도를 조금 빠르게 부르는 악곡이다.
가곡: 국가무형문화재(1969) 가곡: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1989) 가곡(남창):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1995) 가곡(여창):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2006) 가곡: 전라북도 무형문화재(2013) 가곡: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2002) 가곡: 경상북도 무형문화재(2003) 가곡: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10)
남창 가곡에서는 우조와 계면조 모두 〈이수대엽>과 <평거〉 사이에 중거를 부르며, 남녀창 가곡의 경우, 여창의 우조와 계면조 〈이수대엽>과 중거 사이에 각각 남창 우조와 계면조 중거를 부른다.
『가곡원류』 『삼죽금보』 『학포금보』 『현금오음통론』 『협률대성』
김진향, 『선가 하규일선생 약전』, 민속원, 1993. 장사훈, 『국악사론』, 대광문화사, 1983.
장희선(張希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