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수(飜袖), ‘저앙수(低昻袖)’ㆍ요수(搖袖)ㆍ거수휘지(擧袖揮之)
두 손을 위로 떨쳐 뿌려 한 손은 입 가까이 들고 한 손은 옆으로 펴 들고 양손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위아래로 흔드는 춤동작
이수고저(以袖高低)는 ‘소매[팔]를 위아래로 움직인다’는 뜻이다.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이수고저는 대부분의 정재에서 추고, 궁중정재의 기본법례에 의하여 정재 대형의 형태 및 무용수가 선 위치에 따라 양손을 휘두르는 방향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무애무>에서는 호로(葫蘆) 2인이 무대 가운데에 서고 협무 10인이 종대로 선 2대좌우대형에서 이수고저이무를 추는데, 이때 좌대와 우대는 각각 내족[안쪽 발]을 앞으로 내딛으며 춘다.
1930년대에 이왕직아악부 아악사장을 지냈던 김영제(金寧濟, 1883~1954)가 〈춘앵전〉의 ‘저앙수(低昻袖)’를 “한 팔씩 앞으로 넘기며 추는데, 이수고저(以袖高低)이다”, “요수(搖袖)의 거수휘지(擧袖揮之)는 이수고저와 같다”라고 풀이하였는데, 이 내용은 『궁중무용무보』제2집에 전한다.
현재 이수고저 춤동작은 국립국악원 주도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이 정재를 재현할 때 안무하여 지금까지 추어지고 있다. 문헌 기록과 상관없이 여러 정재 작품에서 이수고저를 추며, 정재 작품마다 다양한 장단에 맞춰 춘다. 이수고저 춤동작은 두 손을 위로 떨쳐 뿌려 왼쪽으로 나란히 내리면서 오른손은 입 가까이 들고 왼팔은 옆으로 펴든 채 위아래로 흔들고, 다시 두 손을 위로 떨쳐 뿌려 오른쪽으로 나란히 내리면서 왼손은 입 가까이 들고 오른팔은 옆으로 펴 들고 위아래로 흔들며 춘다. 두 손을 좌우로 번갈아 가며 이수고저를 추는데, 위아래로 흔드는 좌우손 위치는 인중과 가슴 위치이다.
반주 음악 이수고저는 정재 작품에 따라 세령산ㆍ도드리ㆍ타령ㆍ자진도드리 등의 장단에 맞춰 춘다.
복식ㆍ의물ㆍ무구 이수고저는 양손에 한삼으로 끼고 추며, 〈무애무〉는 호로(葫蘆), 〈사선무〉는 연화(蓮花)를 무구로 사용한다.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9.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궁중무용무보 제2집』, 국립국악원, 1987.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 『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박은영, 「춘앵전 춤동작 이수고저의 미적 의미」, 『한국체육철학학회지』 17(3), 2009. 김명숙, 「김천흥의 예술세계」, 『무용예술학연구』 14, 2004. 국립국악원 아카이브(https://archive.gugak.go.kr)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