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모립(猪毛笠), 죽사립(竹絲笠), 포립(布笠), 죽저모립(竹猪毛笠), 음양립(陰陽笠), 말총립, 포립, 칠갓, 칠립(漆笠)
어두운 흑갈색 옻칠을 하고 대우와 양태로 구성된 조선시대 대표 남성 관모
흑립(黑笠)은 입(笠)의 여러 종류 중 조선시대 남자의 관모를 대표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성인 남자는 집에 기거하거나 외출할 때 자신의 지위와 상황에 맞는 모자를 착용하였다. 이와 같은 남성의 모자를 통칭하여 입자(笠子)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흑립은 평량자에서 초립을 거쳐 나타났으며, 직령, 도포, 창의 등의 편복포에 쓰는 남성의 기본적인 관모이다. 소재와 양태의 크기, 수식을 달리하여 폭넓게 착용되었다. 흑립의 종류에는 진사립, 음양사립, 음양립 등 이 있는데 대우와 양태를 싸는 종류에 따라 차별을 두었다. 흑립 위에는 꼭지처럼 꾸밈새를 하였는데, 이를 정자라고 하며 품위에 따라 금, 은, 옥, 돌 등으로 장식하였다.
흑립은 입자와 같은 형태이므로 그 기능은 달랐지만, 입자로부터 발전한 형태로 보아야 할 것이다. 고려시대 말기 죽립에서 보여지는 대우의 형태는 조선시대 평량자까지 유지되다가 초립의 형태가 되면서 흑립의 모습으로 갖추어진 것으로 보인다. 흑립은 상고 시대부터 이어져오던 입(笠) 형태가 다양한 재료, 형태, 장식적 요소 등이 더해지면서 조선시대 흑립의 틀이 만들어졌으며, 패랭이에서 초립을 거쳐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조선왕조실록』 성종2년 서민의 흑립이 사대부와 다르지 않고 양태가 크므로 절목(節目)을 정해 금지하려는 내용의 논의가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서민이 흑립을 착용하는 것에 대해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종 초기의 흑립을 원형으로 본다면, 조선중기에 이르러서야 양식이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 쓰임 및 용도 흑립은 조선시대 남자 관모를 대표하는 것으로 성인 남성이 예를 갖추기 위해 집에 기거하거나 외출을 할 때에도 기본적으로 편복포와 함께 착용하였다. ○ 구조 및 형태 흑립은 대우와 양태를 기본 구조로 하며 흑립 위에 정자를 장식하고 다양한 재료의 갓끈을 아래에 부착하였다. 흑립의 구조는 대우와 양태로 되어 있다는 큰 틀에 있어서 변화는 없었으나, 대우의 고저(高低), 양태의 넓고 좁음(廣狹)에는 여러 변화가 있었다. 흑립의 형태 변천을 보면, 국초에는 대우가 높고 양태가 좁았는데, 연산군 대에는 대우가 둥글고 양태가 넓어진다. 중종 대에는 입제가 문란해지면서 대우가 높아졌고, 양태는 좁아졌다. 명종 대에는 대우가 낮아지고, 양태는 매우 넓어졌다. 선조 대에는 대우는 높고, 양태가 좁아졌으며, 인조 대에는 다시 대우가 높고 양태가 넓은 모양의 입자인 큰 갓이 유행하였다. 숙종 대에는 대우가 다시 낮아지고, 양태가 좁아졌으며, 정조대에 이르러 적절한 흑립의 크기가 정착되었다. 수평을 이루는 대우의 형태는 원형보다 완벽하고 위엄 있어 보이며, 완만한 곡선의 양태는 가장 이상적으로 발전한 입자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순조 대에 와서는 양태가 다시 넓어져 직경이 70~80cm에 이르게 되었다가 개화기 시대에는 양태와 대우가 매우 좁고 작아진다. 대우와 양태 위에 정자라는 장식품을 부착했으며, 갓을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기본으로 했던 갓끈도 장식적인 역할이 더해지면서 다양한 길이와 재료로 구성되었다. 또한 관직자의 경우는 옥성 등 귀한 재료로 된 입영을 착용하여, 갓끈의 재료에 따라 신분과 품위를 구별하기도 하였다.
○ 재질 및 재료 흑립을 구성하는 재료는 대나무(竹), 포(布)나 사(紗), 말갈기(馬鬃) 등이 있으며, 대나무를 아주 가늘게 쪼개어 대우와 양태를 만들고 그 위에 포(布)나 사(紗), 말갈기(馬鬃) 등으로 덮어 씌워 검정 옻칠을 했다. 흑립의 기본 형태 위에는 옷칠을 했고, 이때문에 칠립(漆笠)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흑립은 대우를 만드는 재료에 따라 말총이나 말갈기로 만든 것은 총모자(驄帽子), 죽사(竹絲)로 만든 것은 죽사립(竹絲笠) 이라고 한다. 죽사(竹絲)는 재료의 특성상 뻣뻣하여 흑립의 대우가 훼손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대나무보다 부드러우면서도 형태 고정이 잘 되는 말총으로 흑립 제작 재료가 점차 바뀌었다. 또한 흑립은 대우와 양태의 기본구성 위에 덧씌우는 재료와 색에 따라 진사립(眞絲笠), 마미립(馬尾笠), 저모립(猪毛笠), 죽사립(竹絲笠), 포립(布笠), 죽저모립(竹猪毛笠), 음양립(陰陽笠), 주립(朱笠), 백립(白笠) 등으로 나누어진다. 진사립(眞絲笠)은 대우와 양태를 최상품으로 하여 머리카락 보다 가는 두께의 말총이나 죽사를 4겹으로 엮은 후 대우와 양태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음양립(陰陽笠)은 말총으로 대우를 만들고 죽사(竹絲)나 견사(絹絲)로 양태를 만들어 이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포립(布笠)은 흑립 중 가장 하품에 해당되는 것으로 죽사(竹絲)로 양태를 만들고 그 위에 명주 천을 입힌 것이다. 흑립 위에는 꼭지처럼 꾸밈새를 하였는데, 이를 정자라고 하며 품위에 따라 금, 은, 옥, 돌 등으로 장식하였다.
흑립은 외출할 때 뿐 만 아니라 집에 기거할 때에도 직령, 도포, 창의 등과 같은 일상적인 포와 함께 착용하는 관모로 소재, 양태의 크기, 수식을 달리하여 폭넓게 착용되었다. 흑립은 검은색 갓이라는 뜻으로 주재료를 말총으로 했으나 용도에 따라 소재와 색을 달리하기도 하였다. 흑립의 기본적인 색은 검은색이지만 붉은 옻칠을 한 주립(朱笠)은 문신 당상관의 융복에 착용하였고, 흰색 포로 싼 백립(白笠)은 상복(喪服)에 착용하는 관모로 국휼(國恤)에 국민이 사용하여 상(喪) 중임을 나타냈다. 또한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士人)가 3년 상을 치르고 담제(禫祭)까지 가는 동안에 평량자 대신 쓰기도 하였다. 이처럼 흑립은 조선시대 남자의 대표적인 관모로 우리 민족 고유의 입제이다.
『조선왕조실록』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 평사리, 2017.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1998. 김은정․ 임린, 『역사속의 우리옷 변천사 』, 전남대학교 출판문화부, 2009. 장경희, 『조선시대 관모공예사 연구』, 경인문화사, 2004. 이은희, ⌜조선조 흑립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채정원, ⌜조선후기 黑笠의 유통 양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배리듬(裵리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