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창자가 지닌 선천적인 목소리(성대)나 발성 기교에 대한 특징.
판소리에서 목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창자의 타고난 목소리(성대)를 지칭하기도 하고, 성음이나 발성적 기교의 특징을 이르기도 한다. ‘목’은 ‘성음’과 혼용되기도 하는데, ‘목’은 보다 기교에 가깝고, ‘성음’은 발성에 가까운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목’은 주로 판소리를 포함한 성악 장르에서 사용되고, ‘성음’이라는 용어는 기악 장르에서도 악곡의 분위기나 음색과 관련하여 흔히 사용된다.
판소리에서 ‘목’은 창자의 타고난 목소리 및 수련을 통해 얻어진 발성적 기교 등을 두루 포함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
발성과 관련된 용어로는 소리꾼의 숙련도와 관련된 용어, 음역과 관련된 용어, 발성과 관련된 용어, 호흡 상태와 관련된 용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리꾼의 숙련도와 관련된 용어로, ‘떡목’은 목소리가 텁텁하여 기교를 마음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목을 말하며, ‘마른목’은 깔깔하고 건조하여 유창하지 못한 목, ‘넓은목’은 유창하게 나오는 목, ‘둥근목’은 원만하게 내는 목, ‘생목’은 수련이 안된 소리꾼이 구사하는 목을 이른다.
음역과 관련된 용어로, ‘된목’은 높은 음역을 구사하는 목, ‘눅은목’은 낮은 음역을 구사하는 목, ‘찌른목’은 선율이 갑자기 높은 음역으로 올라가는 목, ‘파는목’은 선율이 낮은 음역으로 내려가는 목을 말한다.
그 외에도 가성으로 내는 ‘속목’과 ‘깎는목’, 성대를 죄어 내는 ‘짜는목’과 큰소리로 질러 내는 ‘웨장목’은 발성 기교를 가리키는 것이고, 숨을 길게 구사할 수 있는 ‘긴목’과 숨을 길게 구사하지 못하는 ‘짧은목’은 소리꾼의 호흡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다.
‘목’은 기교와 관련된 용어가 가장 많다. ‘방울목’은 동그랗게 굴려 내는 소리이고, ‘폭각질목’은 폭각질(딸꾹질)할 때 나오는 소리처럼 한 음절을 짧고 높게 끊어 내는 소리, ‘너는목’은 소리를 널어놓듯 쭉쭉 뻗어 내는 소리를 말하며, ‘엮는목’은 촘촘히 주워 섬기는 목, ‘다는목’은 선율을 떼지 않고 이어 연결하는 목, ‘죄는목’은 선율의 정점을 향하여 점점 고조시키는 목을 말한다. 그 외에도 ‘찍는목’ㆍ‘감는목’ㆍ‘마는목’ㆍ‘던지는목’ㆍ‘떼는목’ 등의 표현이 있다. 기교와 관련된 용어 중 좋지 않은 표현으로 ‘노랑목’이 있는데, 기교에 치우쳐 넒치고 흘러내리는 목소리를 이른다.
그 외에도 ‘시조목’ㆍ‘가사목’ㆍ‘가곡목’ㆍ‘패기목(판소리목)’ㆍ‘어정목(무가목)’과 같은 표현들은 성악 장르에 따른 독특한 발성이나 창법을 종합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며, ‘육자배기목’ㆍ‘메나리목’ㆍ‘시조목’ㆍ‘추천목’은 토리 및 선법적 개념이다.
‘목’과 관련된 용어들은 발성, 음색, 기교, 창법, 선율, 선법, 공력 등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각각의 용어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실기자나 연구자에 따라 각 용어에 대한 용례와 정의가 조금씩 다르다. 또한, ‘목’과 ‘성음(성)’이라는 용어 사이에 개념의 혼동이 있기도 하다.
박헌봉, 『창악대강』, 국악예술학교 출판부, 1966. 유익서 외, 음악동아 편, 『명인명창』, 동아일보사, 1987. 진봉규, 『판소리: 이론과 실제』, 수서원, 1989.
신은주(申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