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고ㆍ중행고ㆍ소행고ㆍ화룡행고
행고라는 명칭의 최초 기록은 서긍(徐兢)의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이다. 서긍이 병기(兵器)의 하나로 소개한 행고는 중강(中腔)이 좀 길고, 북통에는 쇠고리[銅環] 모양의 장식을 달았으며, 연주자들이 자색 띠로 북을 묶어 허리 아래에 조여 매는 형태로, 이러한 유형의 북은 조선 전기 『세종실록』 「군례」 의 병기(兵器) 편에 수록된 ‘비(鞞)’와 ‘고(鼓)’ 계통으로 이해된다.
○ 역사적 변천 행고의 전승은 조선 후기 군례 관련 문헌 및 여러 기록, 도상에서 확인된다. 『만기요람(萬機要覽)』 에 중앙과 지방의 군대가 보유한 행고의 유형과 수량이 기록되었고, 영조 조에는 국왕의 행차에서 행고 치는 법에 대한 상세 논의가 있었으며, 정조 때에 각 병영에서 새로 갖춘 군물(軍物) 목록에 행고가 포함되었음이 확인된다. 한편, 조선 후기 한글 가사 「한양가」에 “한가운데 취고수는 흰 한삼 두 북채를 일시에 수십 명이 행고를 같이 치니, 듣기에도 좋거니와 보기에도 엄위하다”라고 한 것이나, 조선통신사 일행 중 고수가 치는 행고의 모습에서 그 명칭과 용도, 연주 현황 등을 살필 수 있다. 그런데 20세기 이후로 행고는 '용고'라는 명칭으로 대체되어 현재에 이른다. 이왕직아악부 소장의 악기 목록 및 사진집에서 행고 대신 용고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는데, 그 명칭이 언제, 어떤 이유로 대체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 형태와 규격 『만기요람』에서 행고를 가리킨 여러가지 이름은 행고의 규격과 형태, 장식, 문양이 다양했음을 알려준다. 대행고·중행고·소행고는 북의 크기와 행고를 결합한 것이고, 화룡행고라는 이름은 북에 용 문양을 그려넣었음을 나타내는 명칭이다. 이같은 크기와 문양의 구별은 용도와 관련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각각의 형태와 규격이 명시된 자료는 현재까지 찾지 못하였다. 북통와 북면의 채색은 『세종실록』 「오례」 및 조선 후기와 20세기 초반에 그려진 행렬도, 현전하는 대취타용 북 유물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1902년에 독일 라이프치이 그라시 민속박물관(GRASSI Museum für Völkerkunde zu Leipzig)에서 구입한 19세기 유물 북(유물명칭: 용고)은 북면 지름 48cm, 북통 너비 28cm의 못북으로 북통에 쇠고리가 박혀있고, 북면에는 태극 문양이, 북통에는 용 문양이 그려져 있다. 이 북은 현재까지 확인된 가장 오래된 용고 유물로서 이왕직아악부 소장 악기도록 『이왕가악기(건)에 수록된 사진의 용고와 유사하다. 한편, 1926년에 제작된 <조선열성능행도 병풍(朝鮮列聖陵幸圖 屛風)>에 묘사된 행고 주자는 붉은 칠로 마감한 것이어서, 행고의 채색과 장식은 북통을 붉은 색칠로 마감한 것과 꽃 또는 용 문양을 넣은 것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연주 행고를 연주할 때는 북통에 달린 쇠고리에 끈을 꿰어 허리에 묶고, 양손에 북채를 쥐고 친다. 한글 가사 「한양가」 에 취고수가 '흰 한삼 두 북채를 일시에 수십 명이 행고 를 같이 치니'라고 묘사한 것이라든가, 정조의 능행을 그린 <반차도> 및 조선통신사 행렬도, <조선열성능행도 병풍(朝鮮列聖陵幸圖 屛風)>에서 말을 타거나, 걸어가면서 북을 치는 연주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행고는 그 명칭이 현재 사용되지 않지만, 20세기 이전의 여러 기록과 도상을 통해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었고, 용도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어 온 군례용 북의 대표 명칭이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대취타에 편성되는 용고는 행고라는 이름이 대체된 것이고, 그 명칭이 20세기 이후부터 사용되었다는 사실도 확인된다.
『선화봉사고려도경』 『세종실록』 『만기요람』 『이왕가악기(건)』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0. 辛基秀ㆍ仲尾宏, 『大系 朝鮮通信使信使: 善隣と友好の記錄(3)』, 明石書店, 1995.
송혜진(宋惠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