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악(雅樂) 연주에 편성하거나 일무(佾舞) 중 문무(文舞)의 춤 도구[舞具]로 사용하는 관악기
고려 시대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전래 되어 일무 중 문무의 춤 도구로 쓰이다가 조선 시대부터는 아악 연주에도 활용되는 방식으로 그 쓰임이 확장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무구 및 악기라는 두 가지 용도로 겸용되고 있다.
약은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유입될 때 문무의 의물로 전래되어 춤 도구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문무를 추는 무용수가 왼손에 약을, 오른손에는 적(翟)을 쥐고 춤춘다. 조선 시대에는 문무의 춤 도구로 활용되었을 뿐 아니라 아악을 연주하는 악기로 편성되어 아악이 수반되는 사직(社稷)ㆍ풍운뇌우(風雲雷雨)ㆍ선농(先農)ㆍ선잠(先蠶)ㆍ우사(雩祀)ㆍ문묘(文廟) 등에 제사를 올릴 때 음악을 연주하였다.
또한 세종대의 조회(朝會)와 회례(會禮), 영조의 71세[望八] 기념 연향처럼 일시적으로 일무와 아악이 사용된 궁중 의례에서도 약이 춤 도구 및 아악기로 사용되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조선 시대로부터 이어진 제례뿐 아니라 새로 제정된 하늘 제사에 수반되었던 〈환구제례악〉과 팔일무(八佾舞)에도 활용되어, 황제의 위의(威儀)를 드러내는 데 일조하였다. 이후 경술국치(庚戌國恥)로 인해 궁중 의례가 축소된 이후 아악을 연주하는 제향은 문묘만 존속됨으로써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문묘제례악》 연주에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근래에 복원된 《사직제례악》에도 편성된다. 문무의 춤 도구라는 기능도 지속되고 있다.
○ 구조와 형태
약은 대나무 뿌리를 아래쪽으로 삼는 여타 관악기와 달리, 대나무 뿌리를 위쪽으로 향하게 한 채 단소처럼 U자형으로 취구를 깎아 만든다. 지공은 연주자가 바라보는 앞쪽 면에 세 개를 뚫는다. 길이 약 56cm, 관대 위쪽 내경 약 2.5cm, 관대 아래쪽 내경 약 2cm이다. 일무를 출 때 무구(舞具)로 사용하는 약은 36.5cm 정도로 조금 더 짧다.
○ 음역과 조율법
대나무 관대에 뚫린 지공 세 개로 한 옥타브를 구성하는 열두 음(12율, C4~B4)만 낼 수 있어 음역대가 좁은 편이다.
○연주 방법과 기법
제1공은 왼손 검지, 제2공은 오른손 검지, 제3공은 오른손 약지로 잡아서 열두 음을 구사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운지법이 동원된다. 즉, 손가락으로 지공을 완전히 막는 방법 외에 지공의 2/3를 막는 법[强半竅], 지공의 반(1/2)을 막는 법[半竅], 지공의 1/3을 막는 법[弱半竅]이 등장한다.
지공 세 개를 모두 막으면 황종(黃,C4),제1공과 제2공을 모두 막은 채 제3공을 2/3만 막으면 대려(大,C#4), 제1공과 제2공을 모두 막은 채 제3공을 반(1/2)만 막으면 태주(太,D4), 제1공과 제2공을 모두 막은 채 제3공을 1/3만 막으면 협종(夾,D#4), 제1공과 제2공을 모두 막으면 고선(姑,E4),제1공과 제3공을 모두 막은 채 제2공을 반(1/2)만 막으면 중려(仲,F4), 제1공과 제3공을 모두 막으면 유빈(蕤,F#4), 제1공을 막으면 임종(林,G4), 제2공을 막고 제1공을 반(1/2)만 막으면 이칙(夷,G#4), 제2공을 막으면 남려(南,A4), 제1공을 반만 막으면 무역(無,A#4), 지공을 모두 열면 응종(應,B4) 소리가 난다.
이렇듯 지공을 손가락으로 완전히 막는 경우 낼 수 있는 음이 황종(黃)ㆍ고선(姑)ㆍ유빈(蕤)ㆍ임종(林)ㆍ남려(南)ㆍ응종(應) 이상 여섯 개뿐이므로 나머지 음을 내기 위해 운지법이 복잡해진 것이다. 빠르기가 느린 음악의 연주는 가능하지만 빠른 선율을 연주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운지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주악곡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 ○제작 및 관리방법 약의 재료인 황죽(黃竹)을 십일월부터 삼월 사이에 채취하여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이후 대나무에 열을 가해 진액을 빼내고, 진을 뺀 대나무를 곧게 편다. 이어 내경(內徑)과 지공을 뚫고 취구를 만들어준 후 대나무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명주실로 감는다.
고려 시대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일무의 도구일 뿐 아니라 조선 시대부터 아악을 연주하는 관악기로도 겸용된 채 현재에 이르고 있어, 무구(舞具)와 악기라는 이중성을 지닌 독특한 용도와 역사성의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고려사』 『대한예전』 『세종실록』「오례의」 『악학궤범』 『을유수작의궤』 『춘관통고』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2016.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