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취적(義嘴笛)
아악(雅樂)을 연주할 때 사용하는 가로로 부는 관악기
삼국시대부터 등장하는 관악기로, 새의 부리처럼 돌출된 형태의 취구가 특징적이다.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지(篪)는 고려 시대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전래 된 것이며, 유입 직후부터 제례악을 연주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려시대뿐 아니라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궁중 행사에 수반되었던 아악 연주에 활용되고 있다.
지는 예로부터 훈(壎/塤)과 함께 형제애를 상징하는 악기로 유명했다[塤篪相和].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관악기로 『삼국사기』「악지」의 백제악기 목록에 ‘지’가 기록되어 있으며, 고구려의 경우 의취적이라는 이칭으로 남아 있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최치원(崔致遠, 857~?)의『고운문집(孤雲文集)』에서 정치적으로 안정된 상황에 빗대어 훈과 함께 지가 언급되기는 했지만, 유물이나 다른 문헌 자료에는 등장하지 않아, 삼국시대의 지가 통일신라로 전승되었는지는 확증하기 어렵다. 고려시대에는 예종 11년(1116)에 송(宋)에서 보낸 대성아악(大晟雅樂)에서 지가 확인된다. 이때부터 제례에서 아악을 연주할 때 편성되어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아악 연주용 악기라는 정체성이 1,000여 년간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지의 역사는 고려시대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도 아악이 수반되는 사직(社稷)ㆍ풍운뇌우(風雲雷雨)ㆍ선농(先農)ㆍ선잠(先蠶)ㆍ우사(雩祀)ㆍ문묘(文廟) 등에 제사를 올릴 때 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세종대의 조회(朝會)와 회례(會禮), 영조의 71세[望八] 기념 연향처럼 일시적으로 아악이 사용된 궁중 행사에서도 지가 쓰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조선 시대로부터 이어진 제례뿐 아니라 새로 제정된 하늘 제사에 따른 《환구제례악(圜丘祭禮樂)》을 연주하는 데까지 그 쓰임이 넓어졌다. 이후 경술국치(庚戌國恥)로 인해 궁중의 제례가 축소되어 아악을 연주하는 제향으로는 문묘만 존속되면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지는 《문묘제례악》을 연주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근래에 복원된 《사직제례악》에도 편성된다.
○구조와 형태
지의 모습은 소금(小笒)과 유사하지만, 취구는 단소처럼 U자형인 데에다 돌출된 형태여서 독특한 조합의 악기라고 할 수 있다. 취구 모양의 특성 때문에 가짜 새 부리를 지닌 젓대라는 뜻의 ‘의취적’이라는 이칭도 생겼다. 이러한 형태는 『악학궤범』에서부터 보인다.
길이 약 32cm의 대나무에 U자형 취구를 꽂고, 지공 다섯 개를 뚫는다. 제1공은 아래쪽에 있으며 제2ㆍ3ㆍ4ㆍ5공은 위쪽에 있다. 또한 관대 밑부분에 십자모양의 구멍, 즉 십자공(十字孔)을 추가하여 실제 연주에 활용한다.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십자공이 있었던 다른 악기로 적(篴)이 있는데, 적에 뚫린 십자공은 실제 연주에 사용하지 않아서인지 오늘날에는 사라졌다.
○음역과 조율법
대나무 관대에 뚫린 지공 다섯 개와 십자공으로 한 옥타브 내의 열두 음[十二律, C4~B4]과 그 위 네 음[四淸聲, C5, C#5, D5, D#5]까지 총 열여섯 음을 낼 수 있다. 즉, 한 옥타브 + 단3도 정도의 음역대를 구사한다.
○연주 방법과 기법
단소처럼 아랫입술을 편 채 입김을 불어 넣으며 지공과 십자공을 막거나 열어서 연주한다. 입김을 보통 세기로 하지만, 옥타브 위의 네 음을 낼 때는 세게 부는 역취법(力吹法)을 쓴다. 지공의 수에 비해 내야 하는 음이 많으므로 손가락으로 완전히 막는 법 외에 반(1/2)을 막는 법도 부분적으로 활용한다. 제1공은 왼손 엄지, 제2공은 왼손 검지, 제3공은 왼손 중지, 제4공은 오른손 검지, 제5공은 오른손 중지, 십자공은 오른손 약지가 담당한다.
제1~5공과 십자공을 모두 막으면 황종(黃,C4), 제1~5공을 모두 막은 채 십자공을 반(1/2)만 막으면 대려(大,C#4), 제1~5공을 모두 막으면 태주(太,D4), 제1~4공까지 모두 막은 채 제5공을 반만 막으면 협종(夾,D#4), 제1~4공을 모두 막으면 고선(姑,E4), 제1~3공을 모두 막은 채 제4공을 반만 막으면 중려(仲,F4), 제1~3공을 모두 막으면 유빈(蕤,F#4), 제1~2공을 모두 막으면 임종(林,G4), 제1공을 모두 막은 채 제2공을 반만 막으면 이칙(夷,G#4), 제1공만 막으면 남려(南,A4) 소리를 낼 수 있다. 운지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주악곡 《사직제례악》, 《문묘제례악》 ○ 제작 및 관리방법 대나무를 채취하여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이후 대나무에 열을 가해 진액을 빼낸 후 대나무를 곧게 편다. 이어 내경(內徑)과 지공을 뚫고 U자형 취구를 만들어 꽂은 후 대나무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명주실로 감는다.
고려 시대부터 현재까지 1,000여 년 동안 아악 연주에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온 데에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고려사』 『국조오례의』 『대한예전』 『삼국사기』「악지」 『세종실록』「오례의」 『악학궤범』 『을유수작의궤』 『춘관통고』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2016. 이혜구 역주,『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이정희(李丁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