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위 선경(仙境)에서 선동(仙童)이 선악(仙樂)을 구하는 내용을 세 단락으로 나누어 빠르게 부르는 곡
만학천봉은 〈생매잡아〉, 〈육칠월 흐린 날〉과 같이 가곡ㆍ여창ㆍ농(弄) 곡조에 얹어 부르던 옛시조를 바탕으로 지은 노래이다. 사설에 등장하는 인물이 인간 세상 사람이 아니고 천상 선경에서 선동과 나누는 대화를 익살스럽게 부르는 노래이다.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전문 소리꾼이 부르던 곡으로, 긴 사설의 가사를 선율에 얹어 부르던 세속적인 노래이다.
○ 연행시기 및 장소 《휘모리잡가》는 해학적 내용으로 사설을 촘촘히 엮어서 빠르고 경쾌하게 부르던 노래이다.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잡가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던 소리이며, 먼저 《경기잡가》를 부른 연후에 선소리를 부르고 제일 마지막에 《휘모리잡가》를 불렀다고 한다. ○ 음악적 특징 만학천봉은 ‘내드름-엮음-종지’의 세절로 구분된다. 짧은 내드름 선율을 노래한 후에 엮음 부분은 주로 4ㆍ4조의 사설을 3소박(3분박) 3박 또는 3소박 4박으로 노래한다. 이 곡의 첫인 내드름 선율은 높은 소리로 질러 내어 부르고 엮음 부분은 <창부타령>의 선율 위에 사설을 촘촘히 엮어 부른다. 종지 선율은 시조의 종지 선율과 같이 4도 하행하여 종지한다. 장단은 볶는 타령장단, 자진모리장단, 세마치장단을 사용하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를 사용하고, ‘솔(sol)’ 음으로 종지하는 전형적인 경토리로 부르는 노래이다. ○ 형식과 구성 다른 《휘모리잡가》와 달리 자연 풍경을 한문 가사를 많이 써서 유식하게 노래한다. 또한 천상 선동의 옷차림을 멋지게 설명했지만 인간 세상 범인凡人과 같은 행동을 한다고 하고 있다. 본인은 세상 영욕을 다 버리고 강태공의 본을 받아 낚시질을 한다는 내용인데, 고기잡이 도구며 잡은 고기를 버들가지에 꿰어 들고 가는 것을 입담 좋고 멋스럽게 주워섬기고 있는 대목이 재미있다.
만학천봉 운심처에 석벽 굽은 길로 미록타고 호로병차고 저(笛) 불고 불로초 메고 쌍(雙) 상투 짜고 색등걸이 입고 가는 저 아희야 네 어디로 가자느냐 산 좋고 물 좋은 데 앵무(鸚鵡) 공작(孔雀) 비취(翡翠) 봉황(鳳凰)이 쌍쌍이 날아드니 별유천지(別有天地) 비인간이라 절승경개 를 다 버리고 네 어디로 가자느냐 게 좀 섯거라 말 물어보자 채약 (採藥)하는 아희가 사업을 다 떨치고 태공자 효측하여 점심 보습을 등에다 지고 세백사(細白絲) 가는 그물 삼절오죽(三節烏竹)에 벗을 삼아 구절죽(九節竹) 멧둑 깻묵 파리 밥풀 온갖 미끼를 갖추어 차려 조그만 주머니 넣어 차고 앞내 여울 오르는 고기 뒷내 여울 내리는 고기 자나 굵으나 굵으나 자나 함부로 휘 몰아 옦아 낚아 낚아 옦아 내어 다래끼에 넣고 종다리에 담아 시내 강변 능수버들 동으로 벋은 움버들 가지 에화지끈 우지끈 뚝딱 장단맞춰 꺽어 내려 거꾸로 잡고 끝으로 서너잎 남겨 조로로 훑어 아가미를 남 보기 좋게 느슬느슬 꿰어 들고 가는 길에 석양세우(夕陽細雨) 녹수풍(綠水風)에 은광(銀光)이 고루 모여 은린옥척(銀鱗玉尺) 많이 노니 또 저 고기를 잡으려면 우리 부모 홍안처자 끓이고 볶고 삶고 지져 때 먹기가 늦어가니 아나 얘야 이 아희야 이 고기를 위선 먼저 너를 줄께 싫다 마다 차탈피탈 (此탈彼탈) 핑계 사양말고 지날 영로에 임의 집에 잠깐 들러 전하여 주렴 그 아희 놈 말 대답 하는 말이 소동(小童)은 범간 (凡間) 아희가 아니오라 천상(天上)의 선동 (仙童)으로 약밭가옴 하옵다가 옥황상제(玉皇上帝) 태상노군(太上老君) 원시천존(元始天尊) 제대선관(諸大仙官)의 명을 받아 방장(方丈) 봉래 (蓬萊) 영주(瀛州) 삼신산 불로초와 불사약(不死藥) 면약 단약 선약이며 이화전 계초전을 다 두루 돌아가옵더니 일세를 살피오니 해는 거의 황혼이라 기운 (氣運)을 잠깐 차려 보습쟁기를 고쳐 지고 부소 (扶蘇) 송악 (松嶽) 쑥 들어가서 남은 산전 마져 갈고 갈 길이 장차 십만팔천리(十萬八千里)라고 전할지말지
만학천봉은 다른 《휘모리잡가》가 직설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한문 가사를 많이 사용하는 곡이다. 이 곡은 장형시조의 중장과 종장의 사설을 확대하여 ‘엮음’이라는 일정한 방식에 의해 노래하는 점이 특징이고, 음악적으로도 전형적인 서울 소리를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영운,『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국립국악원,『한국음악28-선소리와 잡가』, 국립국악원, 1995. 송방송,『한겨레음악대사전』, 도서출판 보고사, 2012.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흥인문화사, 1976. 황용주 편저, 『한국경서도창악대계』, 선소리산타령보존회, 1993. 송은도, 「휘모리잡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이혜경, 「휘모리잡가의 사설 형성 원리와 향유 양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송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