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에 만들어진 향악정재로, 군왕에게 천화(天花)를 올리며 장수와 태평을 기원하며 추는 춤
조선 후기의 향악정재(鄕樂呈才) 중 하나이다. 하늘의 꽃을 바친다’는 뜻의 춤으로, 천녀(天女)가 하늘에서 꽃을 뿌렸다는 중국의 고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천화를 꽂은 화병을 탁자(卓子) 위에 올리고 군왕에게 송축의 노래를 부르며 춤춘다. 창사로는 효명세자가 직접 지은 악장을 노래한다.
헌천화는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1828년(순조 28) 어머니인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보령 40세 생신을 경축하기 위하여 올린 연경당 진작례(進爵禮)에서 무동정재(舞童呈才)로 처음 등장하였다. 1828년 당시 열아홉 종의 새로운 향악정재들이 창작되었는데 헌천화도 그 중 하나이다. 순조 『(무자)진작의궤』(1828) 부편(附編) 헌천화 항목에 “『패문운부(珮文韻府)』에 유마힐(維摩詰; 고대 인도의 상인으로, 출가하지 않은 석가모니의 제자)의 방에 한 천녀(天女)가 천화를 뿌렸다.”라고 하였고, “『도서집성(圖書集成)』에 나오는 송(宋)의 악무(樂舞) 소아대(小兒隊; 여인들로 구성된 송나라 궁궐 교방의 악대) 10대 중 여덟 번째인 보살헌향화(普薩獻香花)이다.”라는 기록과 “헌화탁(獻花卓)을 설치하고, 무동 두 사람이 집당(執幢)하여 동서로 나뉘어 선다. 한 사람이 화병(花甁)을 받들고 나아가고, 두 사람이 뒤에 있으며 북향한다.”는 춤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근대에는 연행되지 않았고, 1977년 국립국악원 춘계정기발표회에서 『(계사)정재무도홀기를 기반으로 김천흥(金千興, 1909~2007)에 의해 재현 안무 되었다. 현재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공연되고 있다.
헌천화의 진행절차는 당악정재(唐樂呈才)인 <헌선도(獻仙桃)>와 비슷하다.
죽간자(竹竿子)의 역할을 하는 집당 두 사람과 선모(仙母) 한 사람, 협무(挾舞) 두 사람의 무용수로 구성된다.
고종대에는 봉탁(奉卓) 두 사람이 추가되었으나 춤의 진행은 달라지지 않았다. 진찬시여령각정재무도홀기』(1901), 『진연시여령각정재무도홀기』(1901), 『무동각정재무도홀기』, 『(계사)정재무도홀기』 등에 전하는 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입부에는 악사가 탁자를 든 기녀를 인도하여 나아가 탁자(卓子)를 놓고 나가면 집당 두 사람이 동·서로 나누어 서서 나온다. 진행부는 ①선모와 협무가 춤추며 나아가 노래[창사(唱詞)]를 부르고 선모가 화병을 탁자 위에 올려놓는다. ②선모와 협무는 마주 보며[相對], 등을 지고[相背] 춤춘다. ③회선(回旋)하여 나란히 열을 맞춰 앞으로 나가고 뒤로 물러나며 돌면서 춤춘다. 다시 북쪽을 향하여 춤추며 나와 선다. 종결부는 집당과 함께 선모와 협무가 춤추며 물러난다. 헌천화는 꽃을 꽂은 화병을 임금님에게 올리고 축하의 의미로 선모와 협무가 춤을 추는 구조의 춤으로, 각종 홀기에는 상세한 춤사위보다는 상대이무(相對而舞)·상배이무(相背而舞)·회선이무(回旋而舞)·북향이무(北向而舞)등과 같은 여러 춤 구성 요소를 기록하고 있다.
효명세자 예제(睿製; 왕세자가 직접 지은 시)로 임금님 덕에 감읍하여 백관들이 별처럼 모였다는 내용의 노래를 선모와 협무가 함께 부른다. 순조 『(무자)진작의궤』「부편」악장에 기록된 창사는 아래의 내용과 같다. [선모․협무 창사] 祥雲繞金殿, 天花奉玉甁. 상운요금전, 천화봉옥병. 翠華聞仙樂, 冠佩會如星. 취화문선악, 관패회여성. [선모․협무 창사] 상서로운 구름, 궁전을 두르고 천상의 꽃은 옥병(玉甁)에 꽂아 받들었네. 취화(翠華, 물총새 깃으로 꾸민 깃발, 임금의 상징) 세워놓고 신선의 음악을 듣는데, 관(冠) 쓰고 옥을 찬 신하들 별처럼 모였구나. - 원문출처: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1』번역: 강명관
반주음악은 〈보허자령〉·〈향당교주〉로 당악과 향악계열의 음악을 같이 사용하였다. 현재는 〈향당교주〉·〈세령산〉·〈도드리〉·〈자진도드리〉·〈타령〉의 음악을 사용한다.
순조 『(무자)진작의궤』에 기록된 헌천화의 무동(舞童)은 주취금관(珠翠金冠)을 쓰고 자주색 겉옷을 입고[자라포(紫羅袍)] 흰색바탕에 흑색 선을 두른 중단의[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線中單衣)]와 남색 바탕의 홍색선을 두른 치마[남질홍선상(藍質紅縇裳)]를 안에 입는다. 남색 비단으로 된 띠[남사대(藍紗帶)]와 하얀색 깃털로 된 백우호령(白羽護領)을 어깨에 얹고, 백우엄요(白羽掩腰)는 허리에 두른다. 가슴에 학정대(鶴頂帶)를 두르고 비두리(鞞頭梨)를 신는다. 여령(女伶)은 화관(花冠)을 쓰고 초록단의(草綠丹衣)에 황초단삼(黃綃單衫)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홍색 치마를 입었다. 홍색 바탕에 금색으로 수놓은 가슴띠[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두르고 오색한삼을 손목에 끼고 초록 신발[초록혜(草錄鞋)]을 신는다.
헌천화의 무구는 천화가 꽂혀있는 화병(花甁)과 화병을 올리는 탁자[헌화탁(獻花卓)], 기의 일종인 당(幢)이 사용된다.
여령(女伶)복식은 화관(花冠)을 쓰고 초록단의(草綠丹衣)에 황초단삼(黃綃單衫)을 입고, 안에는 남색치마를 입고 겉에는 홍색 치마를 입었다. 홍색 바탕에 금색으로 수놓은 가슴띠[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두르고 오색한삼을 손목에 끼고 초록 신발[초록혜(草錄鞋)]을 신는다.
헌천화의 무구는 천화가 꽂혀있는 화병(花甁)과 화병을 올리는 탁자[獻花卓], 기의 일종인 당(幢)이 사용된다.
헌천화는 고려로부터 전승되어오던 <헌선도>를 바탕으로 조선후기에 새롭게 창작된 향악정재이다. 천화를 꽂은 화병을 바치는 움직임으로 <헌선도>의 내용과 형식을 일부 차용하였고, 군왕의 덕을 칭송하는 주제를 다채롭고 극대화하여 표출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김영희 외, 『한국춤통사』, 보고사, 2014.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김천흥 저, 하루미‧최숙희‧최해리 편집, 『심소 김천흥 선생님의 우리춤 이야기』, 민속원, 2005. 이의강 책임번역,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조경아, 「순조대 효명세자 대리청정시 정재(呈才)의 계승과 변화」, 『민족무용』, 5, 2004.
최경자(崔慶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