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장수노래, 엿타령, 엿파는소리
엿장수가 엿을 팔면서 부르던 소리
엿장수타령은 엿장수들이 엿을 팔면서 엿을 선전하고, 손님을 끌어모으기 위해 가위소리에 맞추어 부르던 노래이다. 각 지방의 특산물로 만든 엿에 관해 이야기하거나 익살스러운 가사로 엿을 소개하는 등 전국적으로 다양한 사설이 전승되고 있다. 일반인들이 배워서 부르면서 언어유희요로 전승되고 있다.
○ 역사적 변천 과정 시골 장터나 마을에서 엿장수가 불렀던 엿장수타령은 상업 노동요로서의 성격은 거의 사라졌지만 노랫말을 기억하는 일부 사람들이 가창 유희요로 부르면서 전승되었다. ○ 연행시기 및 장소/ 용도(기능) 엿장수타령은 엿장수들이 엿을 선전하고 손님을 끌어모으기 위해서 가위 소리에 맞추어 불리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시골 장터나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엿을 팔던 엿장수들이 연행하며 전승되었다. 각설이패들이 즐겨 부르기도 하였으며, 일반 사람들이 엿장수들의 노래를 장터 등지에서 듣고 배워서 즐겨 부르면서 점차 가창 유희요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본래는 상업적인 용도로 엿장수가 불렀던 노래이지만, 일반인이 배워서 부를 때에는 여러 사람이 모여 놀 때 즐겁고 유쾌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노래하는 경우가 많다. ○ 음악적 특징 전국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일정하게 정해진 가락이 없고, 경토리나 메나리토리, 육자배기토리 등 해당 지역의 토리를 반영한 선율로 불린다. 손님을 불러 모으기 위한 사설을 외치면서 시작하고, 2~3개의 음을 사용하여 부르거나, 가락의 큰 변화가 없이 같은 음을 반복하며 부르기도 한다. 해남 엿장수타령은 ‘미(mi)-라(la)-시(si)-도(do′)-레(re′)-미(mi′)’의 넓은 음역을 사용하는 육자배기토리이고, 높은 ‘미(mi′)’음과 ‘레(re′)’음을 사용하는 확대형 육자배기토리이다.
3소박 4박자이며 중중모리장단에 어울린다.
○ 형식과 구성 (악곡 구성, 가창 방식, 반주 악기편성 등) 흥겹고 경쾌하게 부르며, 말하듯이 표현하기도 한다.
엿장수는 가위소리에 맞추어 불렀지만 장터 등지에서 듣고 배워서 부른 일부 사람들은 입타령을 섞어 가면서 부른다. 반복하는 구절이 있고, 사이사이에 다양한 엿에 관한 내용을 풀어 노래하는 구조이며, 주로 독창으로 노래한다. 노랫말 측면에서 엿장수타령은 노래, 엮음, 구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래는 4ㆍ4조에 가깝게 부르는 반면에 엮음은 많은 노랫말을 촘촘히 붙여 부르고, 구음과 의성어를 적절히 사용하여 장단감과 형식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노랫말은 전통 사회의 간식거리였던 엿을 팔기 위해 재미난 표현으로 홍보하는 내용으로, 전국적으로 다양한 사설이 전승되고 있다. 전남 해남 엿장수타령 싸구려 어허허 / 정말 싸다 파는 엿 어디를 가면 그저나 주냐 / 내 말 듣고서 이리 와 싸구려 어허허 / 굵은 엿이란다 정말 싸다 파는 엿 / 동지 섣달 진진 밤에 잠 못자고 만든 엿이다 / 지름이 찍찍 흐른 엿1 일본 대판에 조청 엿 / 우리 조선의 찹쌀 엿 어디를 가면 그저나 주냐 / 내말 듣고서 이리 와 싸구려 어허허 / 굵은 엿이란다 정말 싸다 파는 엿 / 홍두깨같이 굵은 엿 닻줄같이 꼬아진 엿 / 허랑방탕에 막 판다 싸구려 어허허 / 굵은 엿이란다 정말에 싸다 파는 엿 / 열아곱살2 묵은 큰애기가 동삼물로 제주를 했으니3 /지름이 찍찍 흐른 엿 싸구려 어허허 / 굵은 엿이란다 /정말에 싸다 파는 엿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CD 19-11, 문화방송, 1993, 681쪽. (1990. 1. 16 / 문내면 우수영 / 박순례, 여, 1919)
충남 예산 엿장수타령 엿을 사려 엿 사요 / 황해도 봉산에 조청엿이고 / 울굿불굿 대추엿이다 일본 대판에 수수엿이고 / 여기 파는 건 찹쌀엿이고 / 저기 파는 건 수수엿 이쪽 파는 건 감자엿 / 전라도에 보리엿이고 / 어어허~ 엿 사시오 어-허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편』 CD 10-4, 문화방송, 1995, 401쪽. ( 1992. 12. 3 / 삽교읍 두리2구 / 이긍원, 남, 62세)
1) 흐른 : 흐르는.
2) 열아곱살 → 열아홉살.
3) 동삼물로 제주를 했으니 → 동삼물(童參-)로 제조(製造)를 했으니.
엿장수타령은 엿을 판매하기 위해 불렀지만 사설 자체가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특징을 가진다. 각 지방의 특산물로 만든 엿을 소개하거나, 흥겨움을 불러일으키도록 연상과 비유의 방식을 사용하여 우스꽝스럽고 독특한 엿과 관련된 사설을 만들어 불렀다. 언어유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의성어들이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어 가창 유희요로서의 의미도 있다.
김혜정, 『여성민요의 음악적 존재양상과 전승원리』, 민속원, 200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남도편』, 문화방송, 1994.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문화방송, 199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편』, 문화방송, 1995. 박경수,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 자료원, 1998. 이정민, 「〈엿타령〉의 노랫말 구성과 음악적 특징」, 『공연문화연구』 48, 2024. 이창식, 「한국유희민요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이정민(李貞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