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심정례, 일체공경, 삼정례, 단정례, 민정례
재의식에서 불법승을 향해 절하며 공경의 예를 노래하는 범패
삼정례의 “불타야중ㆍ달마야중ㆍ승가야중”은 범어 “알다”의 어원 붓다(①), ‘법’의 어원 다르마(②), ‘불가(佛家)’의 어원 상가(③)를 지칭하는 것이다. 근세기 경기지역 승려들이 지은 『동음집』에는 정례가 모두 짓소리로 표기되어 있고, 〈요잡바라〉, 〈법고무〉도 수반되어 있다.
○ 정례의 근본
수륙의문의 정례는 “일심정례 나무진허공변법계 시방상주 일체(불타ㆍ달마ㆍ승가야중) 유원자비수아정례(一心頂禮 南無盡虛空遍法界 十方常住 一切佛陀ㆍ達摩ㆍ僧伽耶衆ㆍ惟願慈悲受我頂禮)”를 삼 처에 각각 1번씩 절하며 부른다. 개성 범패를 배운 박용암 스님의 영산 정례, 장벽응 스님의 상주권공 정례는 송암스님의 소리보다 길어서 예전에는 더 장엄하게 연행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 정례의 종류 조석예불에서부터 대법회인 재(齋)에 이르기까지 불교의식의 핵심은 불보살을 향한 존숭의 예를 바치고 찬탄한 공덕을 회향하는 것이다. 삼보를 향해 예를 표하는 정례는 설행 의례문에 따라 삼정례(三頂禮)ㆍ단정례(單頂禮)ㆍ민정례(刡頂禮)로 구분할 수 있다. 오늘날 설행되는 정례는 “일심정례 시방상주 불법승(一心頂禮十方常住佛ㆍ法ㆍ僧)”을 가사로 한다. 이 가운데 삼정례는 불ㆍ법ㆍ승의 각 처를 향해 1배씩 〈평염불〉로 부른다. 《영산재》의 단정례는 불법승을 묶어 한번에 거행하며, 소리를 길게 늘여 〈짓소리〉로 행한다. 상주권공에서는 민정례가 나타나며 ‘불법승’을 ‘삼보’의 두 자로 줄여 〈홑소리〉로 연행한다. 본래 이러한 전통이 서울ㆍ경기 지역에 있었으나 요즈음은 대개 〈평염불〉로만 가창한다. ○ 가사와 선율 『동음집』에는 “일심정례시방상주불법승 시제중등 각각호궤 엄지향화 여법공양 시방 법계삼보”의 가사 중 첫 구의 일체 공경은 〈홑소리〉로 선창하고, ‘시방상주불법승’은 대중 승려가 짓소리로, 나머지 ‘시제중등~법계삼보’는 〈평염불〉로 마무리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송암스님 유작집 《영산》 〈일체공경〉에서는 ‘일체공경’을 〈홑소리〉로 36초간 부른 후 〈짓소리〉 창법으로 모음창을 약 1분 30초가량 늘여 노래하고, “시방상주불법승~법계삼보’”까지는 〈평염불〉로 마무리하여 총 3분 50초가 소요된다. 이처럼 4분 동안 〈홑소리〉ㆍ〈짓소리〉ㆍ〈평염불〉을 두루 구사하는 음원을 통하여 의례 상황에 따라 견기이작(見機而作)하여 자유로이 늘이고 줄이는 《범패》의 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전국의 재장에서 설행되는 정례 설행을 보면, 바깥채비 승단은 절을 하지 않고 불법승의 삼배 절주마다 법구를 타주하며 〈평염불〉로 정례를 부르면, 의례를 주최한 사찰의 승려들과 참여 재자들이 각 처를 향해 절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예전 영남지역 재장에서는 《범패》하는 승려 일동이 절을 올리기도 하였다.
음원: 《송암 큰스님 유작집》 CD11-3
채보: 손인애
손인애, 「경제 범패 ‘정례’ 연구 1-상주권공 소리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56, 2016. 손인애, 「경제 범패 ‘정례’ 연구 2-영산의 소리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58, 2017. 한만영, 「짓소리 악보 단정례」, 『한국 불교음악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윤소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