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안지곡(肅安之曲), 숙안악(肅安樂) 숙안곡(肅安曲)
사직제례의 전폐례 때 연주하는 음악의 명칭
숙안지악은 사직제례를 봉행할 때 폐백을 올리는 절차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다. 전폐례 때 숙안지악을 연주할 때는 일무로서 <열문지무>를 춘다.
숙안지악의 제목에서 ‘~안(安)’자를 붙이는 것은 송대의 제도를 차용한 고려시대의 전통을 이은 것이다. ‘~안’의 의미는 『예기』 「악기」에서 “잘 다스려지는 세상의 음은 편안하여 즐겁다(治世之音, 安以樂)”는 의미를 따른 것이다.
전폐례 때 등가에서 연주하는 숙안지악은 음려에 해당하는 “응종궁”으로 연주하며 일무는 문덕을 칭송하는 의미의 <열문지무>를 춘다. 응종궁 선율은 응이유협(應夷蕤浹)/대협이유(汏浹夷蕤)/무이중협(無夷仲浹)/이유응대(夷蕤應汏)/응이대응(應夷汏應)/무이응협(無夷應浹)/대응이유(汏應夷蕤)/이협대응(夷浹汏應)이다. 아악곡 선율의 구성 방식인 기조필곡(起調畢曲) 원리를 따라, 응종으로 시작하여 응종으로 마친다.
숙안지악의 악장은 땅의 덕을 칭송하고 그 땅에서 나는 곡식을 백성에게 먹이는 것의 의미를 새기고, 폐백을 잘 갖추어 제사를 올린다는 뜻을 담고 있다. 한 글자에 음 하나를 배치하여[一字一音] 부르는데, 곡마다 네 음이 한 구를 이루고[四音一句] 여덟 개의 구가 한 곡을 이룬다[八句一聲]. 땅은 두터워 만물을 실으니 한없이 광대하도다 坤厚載物 其大無外 우리 백성에게 곡식을 먹이시니 만세토록 길이 힘입도다 立我蒸民 萬世永賴 단이 엄정하고 제물이 향기로운데 有儼其壇 有椒其馨 공손히 폐백을 받드니 제사가 잘 갖추어졌도다 惟恭奉幣 我祀孔明
숙안지악은 사직제례의 전폐례 외에도 풍운뢰우, 선농, 선잠, 산천, 성황, 황단, 우사 등 아악을 연주하는 제례의 전폐 절차에서 연주되는 악곡명으로도 쓰였다. 다만 각 음악에 따라 조를 다르게 했는데 선농, 선잠, 황단 등에서는 남려궁을 연주하였다.
사직대제: 국가무형문화재(2000)
『국조오례서례』 『국조오례의』 『국조오례통편』 『대한예전』 『사직서의궤』 『세종실록』 『세종실록오례』 『악학궤범』 『증보문헌비고』 『춘관통고』
김문식, 송지원 외,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송지원, 『조선왕실의 음악문화』, 세창출판사, 2020 지두환, 송지원 외 『사직대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송지원(宋芝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