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모궁제례악(景慕宮祭禮樂)》 중 아헌 인입(亞獻引入)과 종헌 인입(終獻引入)에 사용하던 음악과 노래(악장)
〈독경곡(篤慶曲)〉은 조선 제22대 왕 정조(正祖)의 생부(生父)인 사도세자(思悼世子)와 그 부인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신위(神位)를 모신 경모궁(景慕宮)의 제례에서 일곱 번째 절차인 아헌 인입과 열 번째 절차인 종헌 인입에 사용했던 음악과 악장(樂章)이다. 악장은 사언(四言) 4구이며, 음악은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정대업(定大業)》 중 〈소무(昭武)〉를 축소하여 만들었다. 악현(樂懸)은 헌가(軒架)를 쓰고, 일무(佾舞)는 무무(武舞)인 《보융은지무(報隆恩之舞)》를 추었다.
정조는 즉위 원년(1776) 생부인 사도세자의 사당을 수은묘(垂恩廟)에서 경모궁(景慕宮)으로 이름을 바꾸고 개축을 명하였으며, 그 사당에 사용할 제례를 위하여 《경모궁제례악》을 제정하였다.
《경모궁제례악》의 일곱 번째 아헌 인입과 열 번째 종헌 인입 곡인 〈독경곡〉의 악장은 대제학(大提學) 이휘지(李徽之)가 오언(五言) 4구로 처음 지었으며, 순조 9년(1809) 대제학 남공철(南公轍)에 의하여 현재와 같은 사언 4구로 개작되었다. 음악은 《종묘제례악》의 《정대업》 중 〈소무〉를 축소하여 만들었다.
〈독경곡〉의 악보는 『속악원보(俗樂源譜)』 권3과 권6, 『악장요람(樂章要覽)』 등에 정간보(井間譜)로 수록되었고,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오선악보』에 총보와 악기별 악보가 실렸다.
○ 역사 변천 과정
최초로 경모궁 제례를 거행할 때, 문무(文武)와 무무는 여섯 명씩 여섯 줄 36명의 육일무(六佾舞)로 하였다.
고종(高宗) 때인 광무(光武) 3년(1899) 사도세자와 홍씨가 장조(莊祖)와 헌경왕후(獻敬王后)로 추존(追尊)되며 신위가 종묘(宗廟) 영녕전(永寧殿)으로 합사(合祀)되어, 〈독경곡〉을 포함한 경모궁 제례는 더 이상 거행하지 않는다. 《경모궁제례악》을 감상용 악곡으로 축소하여 연주할 때 〈독경곡〉은 다섯 번째 곡으로 연주한다.
○ 악대
〈독경곡〉을 포함한 《경모궁제례악》의 악대(樂隊)는 당상(堂上)의 등가(登歌)와 당하(堂下)의 헌가로 나뉘어 배치되었고, 절차에 따라 헌가와 등가가 번갈아 연주하였다. 그중 〈독경곡〉은 헌가가 연주하였다.
○ 춤
오늘날 감상용으로 연주할 때는 일무는 추지 않는다.
○ 음악적 특징
《경모궁제례악》에서 〈독경곡〉은 〈휴운곡(休運曲)〉, 〈휘유곡(徽柔曲)〉의 2곡과 함께 《보융은지악(報隆恩之樂)》으로 묶인다. 이 중 〈독경곡〉은 《정대업》 중 〈소무〉를 축소하여 만들었다.
《경모궁제례악》은 당악(唐樂) 양식인 《종묘제례악》을 발췌해 만들었으므로 기준음인 황종의 음높이는 C4이다. 〈독경곡〉은 《정대업》과 같은 황(黃:C4)ㆍ협(夾:E♭4)ㆍ중(仲:F4)ㆍ임(林:G4)ㆍ무(無:B♭4)의 5음음계 황종궁 계면조이다.
(1) 『경모궁의궤』(1783)에 수록된 이휘지의 〈독경곡〉 악장(오언 4구) 독경연휴길(篤慶延休吉) 경사는 두텁고 상서로움은 만연하니 패패신무강(沛沛申無疆) 성대하여 그 끝이 없구나. 조위예의숙(徂位禮儀肅) 비로소 자리에 나아가 엄숙의 의례를 행하니 송미시가장(頌美矢歌長) 아름다움 칭송하며 긴 노래 이어진다. (2) 『금릉집(金陵集)』(1815)에 수록된 남공철의 〈유길곡〉 악장(사언 4구) 독경연휴(篤慶延休) 경사는 두텁고 아름다움은 만연하여 기상장발(其祥長發) 그 상서로움이 일어나 널리 퍼진다. 준분조위(駿奔徂位) 급히 자리로 나아가니 숙옹대월(肅雝對越) 그 상서로움이 일어나 널리 퍼진다.
〈독경곡〉을 포함한 《경모궁제례악》은 국왕으로서 정조의 음악관과 생부를 추모하는 마음이 담긴 악가무(樂歌舞)이며,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 초기까지 제례악의 양상과 변화를 보여 주는 무형문화유산이다. 《경모궁제례악》의 일곱 번째 및 열 번째 곡인 〈독경곡〉은 《정대업》 중 〈소무〉를 축소하여 만든 것이어서, 기존 악곡에서 새로운 악곡을 만드는 전통적인 방식 중 하나를 보여 준다.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경모궁의궤』 『금릉집』 『속악원보』 『악장요람』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 『정조실록』
국립국악원, 『편종·편경·방향 정악보』, 2016.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김종수, 「경모궁 제례악 연구」, 『동양음악』 18, 1996. 김종수·이숙희, 『역주 시악화성』, 국립국악원, 1996. 서인화, 『역주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국립국악원, 2009. 송지원, 『정조의 음악정책』, 태학사, 2007. 임미선,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의 사적전개』, 민속원, 2011.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1986.
홍순욱(洪淳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