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간자가 부르는 노래로, 구호 부를 때 무구[죽간자]를 바깥쪽 손은 위로 안쪽 손은 아래로 잡는 춤사위
구호는 <헌선도>ㆍ<수연장>ㆍ<연화대>ㆍ<포구락>ㆍ<오양선>ㆍ<몽금척>ㆍ<수보록>ㆍ<근천정>ㆍ<수명명>ㆍ<하황은>ㆍ<하성명>ㆍ<성택>ㆍ<육화대>ㆍ<곡파>ㆍ<연백복지무>ㆍ<장생보연지무>ㆍ<제수창>ㆍ<최화무>등의 <당악정재>에서 추어진 춤동작이다.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전승되어 왔고,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ㆍ『악학궤범(樂學軌範)』ㆍ『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구호 동작은 한국전쟁 후 국립국악원 주도하에 김천흥(金千興, 1909~2007)과 이흥구(李興九, 1940~ )의 재현 안무로 만들어져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구호는 ‘입으로 말한다’ 혹은 ‘호령한다’는 뜻이다. 궁중무용을 출 때 죽간자[무구]를 잡은 무용수(이하 ‘죽간자’)가 정재의 내용을 전달하는 양식으로 곡조를 넣어를 구음(口音)으로 부르는데, 이를 ‘구호’라 한다. 『정재무도홀기』에 기록된 구호는 음악 반주 없이 부른다. 죽간자는 도입부에서 춤의 시작을 알리는 진구호(進口號)를 부르고, 종결부에서 춤을 마친 다음 물러남을 알리는 퇴구호(退口號)를 부른다. 현재 구호는 공연의 성격에 따라 반주 없이 한시(漢詩)를 부르거나 혹은 한글로 된 시를 읊조리듯 부른다. 구호를 부를 때의 동작은 ①죽간자를 양손으로 잡고 앞으로 나아가[舞進] ②죽간자를 바닥에 내려놓고 ③한 손은[바깥쪽 손] 눈썹위치[미간(眉間)]로 들고, 또 다른 한 손[안쪽 손]은 가슴위치로 올려 든다.
구호는 반주 없이 연행된다.
대나무로 만든 죽간자를 사용한다.
구호는 궁중정재의 기본 법례에 따라 연행되고, 정재 대형의 형태 및 무용수가 선 위치에 따라 수족(手足) 위치가 다르다. 나아갈 때[무진]는 좌죽간자가 왼발, 서쪽에 선 우죽간자가 오른발, 즉 내족(內足)을 먼저 딛는다. 그리고 위로 드는 손 위치는 동쪽에 선 좌죽간자가 오른손, 서쪽에 선 우죽간자가 왼손, 즉 외수(外袖)를 위로 먼저 든다.
현재 죽간자가 구호를 부를 때는 공연의 성격에 따라 죽간자를 바닥에 내려놓고 부르기도 하고, 죽간자를 들고 부르기도 한다.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국립국악원, 1989. 『呈才舞圖笏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건원1400년 개원50년 국립국악원사』, 국립국악원, 2001. 손선숙, 『궁중정재용어연구』, 민속원, 2008.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ㆍ손선숙,『정재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2009.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국립국악원아카이브(https://streaming.gugak.go.kr:1935/portal/main)
손선숙(孫善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