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모리잡가 중 하나로, 맹꽁이의 세계를 통해 인간 사회를 익살스럽게 풍자하는 내용의 노래
맹꽁이들의 세계를 통하여 인간 사회의 여러 가지 모습을 풍자한 노래이다. 장단은 볶는타령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를 사용하고, ‘솔(sol)’ 음으로 종지하는 전형적인 경토리로 부르는 노래이다.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전문 소리꾼이 부르던 곡으로, 긴 사설의 가사를 선율에 얹어 부르던 세속적인 노래이다.
○ 연행시기 및 장소 《휘모리잡가》는 해학적 내용으로 사설을 촘촘히 엮어서 빠르고 경쾌하게 부르던 노래이다. 20세기 초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잡가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던 소리이며, 먼저 경기잡가를 부른 연후에 선소리를 부르고 제일 마지막에 《휘모리잡가》를 불렀다고 한다. ○ 음악적 특징 맹꽁이타령은 ‘내드름-엮음-종지’의 세 악절로 구분된다. 짧은 내드름 선율을 노래한 후에 엮음 부분은 주로 4ㆍ4조의 사설을 3소박(3분박) 3박 또는 3소박 4박으로 노래한다. 이 곡의 첫 부분인 내드름 선율은 높은 소리로 질러 내어 부르고, 엮음 부분은 창부타령의 선율 위에 사설을 촘촘히 엮어 부른다. 종지 선율은 시조의 종지 선율과 같이 4도 하행하여 종지한다. 장단은 볶는타령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고 출현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를 사용하고, ‘솔(sol)’ 음으로 종지하는 전형적인 경토리로 부르는 노래이다. ○ 형식과 구성 맹꽁이타령에 등장하는 맹꽁이는 의인화되어 나타나며, 한 마리씩이 아니라 다섯 마리씩 묶어져 읊어진다. 이들 맹꽁이는 실제 맹꽁이라기보다는 우리 주변의 인물이나 역사를 풍자하거나 은유하기 위한 문학적 장치로 보인다. 그것은 타령 속에서 훈련원의 맹꽁이는 남편이 감옥소에 가고, 경복궁 안의 맹꽁이는 지난 임진년의 한을 품어 벙어리가 되어 말을 못한다고 노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서민들의 애환이나 외설적인 애정의 단면도 노래하고 있어 듣는 사람의 흥미를 북돋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 건너 신진사 집 시렁 위에 청동 청정미 차좁쌀이/ 씰어 까불어 톡 제친 청동청정미 청차좁쌀이냐/ 아니 씰어 까불어 톡 제친 청동청정미 청차좁쌀이냐/ 아래대 맹꽁이 다섯 우대 맹꽁이 다섯/ 동수구문 두 사이 오간수 다리 밑에/ 울고 놀던 맹꽁이가 오뉴월 장마에 떠내려 오는/ 헌 나막신짝을 선유 배만 여겨 순풍에 돛을 달고/ 명기명창 가객이며 갖은 풍류 질탕하고/ 배반이 낭자하여 선유하는 맹꽁이 다섯/ ...(후략)...
맹꽁이타령의 사설은 어떤 사건의 내용을 서사적으로 길게 묘사하여 노래하므로, 불규칙한 사설을 다양한 리듬에 붙여 빠르게 엮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1910년경부터 불린 맹꽁이타령은 〈바위타령〉, 〈곰보타령〉과 함께 당시의 여러 잡가집에 사설이 전하고 있어, 당시 대중들 사이에서 애호되던 곡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맹꽁이타령은 사설이 길고, 빠르게 엮어 나가는 소리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휘모리잡가》의 음악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곡이기다. 음악적으로도 전형적인 서울소리를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영운,『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국립국악원,『한국음악28-선소리와 잡가』, 국립국악원, 1995. 송방송,『한겨레음악대사전』, 도서출판 보고사, 2012.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흥인문화사, 1976. 황용주 편저, 『한국경서도창악대계』, 선소리산타령보존회, 1993. 송은도, 「휘모리잡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이혜경, 「휘모리잡가의 사설 형성 원리와 향유 양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송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