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춤의 정(丁)자나 팔(八)자형의 발디딤새 용어
전통춤 발디딤 용어인 비정비팔(非丁非八)은 춤의 발디딤자세 및 발디딤사위를 말한다. 공간에서 움직일 때의 디딤새는 팔자(八子)도 아니고 정자(丁子)도 아닌 사선형으로 딛고 뒷꿈치부터 딛는 것이 특징이며, 춤을 추다가 두 발을 모을 때 발의 형태가 정(丁)자나 팔(八)자가 되는 발디딤새를 말한다.
특히 기방춤 계열에서는 춤의 첫 시작 자세로 많이 쓰인다. 비정비팔(非丁非八)에서 정과 팔은 발의 자세를 의미한다. 정의 형태는 양 발끝을 팔자(八子)형으로 벌린 후 한쪽 발을 약간 들어서 다른 발의 복사뼈나 그 밑 오목한 부분에 정자(丁子)형으로 뒷꿈치를 살짝 붙이는 디딤새이다. 또 팔의 형태는 양발의 뒷꿈치를 붙이고 양 발끝을 사선으로 놓아 팔자와 같은 형으로 발을 벌리는 디딤새이다. 이 비정비팔의 디딤새는 기방계열의 전통춤에서 많이 사용되는 디딤새인데, 승무, 살풀이, 입춤, 검무 등에서 많이 쓰인다. 그 외 궁중무용과 의식무용인 작법무에서도 이 같은 발디딤새를 찾아볼 수 있다. 승무의 비정비팔 디딤새는 대표적 발디딤이기도 하다. 승무의 비정비팔은 4박과 2박의 느린 걸음으로 빗겨 딛는 발 디딤새와 무릎을 굽혔다 펴는 굴신의 움직임을 호흡 기법으로 부드럽게 연결해 중심이동을 하는 발디딤이다.
이애현(李愛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