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는 춤
서울굿에서 청배한 신령을 놀리기 위하여 무당이 사뿐사뿐 뛰면서 추는 춤
도무의 유래와 역사는 알기 어렵다. 빠른 장단에 맞춰 뛰는 춤임을 통해 볼 때 가장 기본적인 굿춤이면서 근원적인 춤이다. 특별한 동작 없이 발을 들어 뛰기만 하면 춤으로 학습 없이도 쉽게 출 수 있는 춤이다.
서울굿 개별굿거리 초반부에서는 굿거리장단에 맞춰 들이숙배나숙배춤을 추고, 신명이 오르게 되면 당악장단에 맞춰 뛰기 시작하는데 이를 일러 도무라고 한다. 과거에는 궁안굿과 궁밖굿이 달라 궁안굿에서는 발앞꿈치는 들지 않고 발뒤꿈치만 살며시 드는 정도로 도무를 췄고, 궁밖에서는 발바닥을 바닥에서 떼어 지면 위로 솟아오르면서 도무를 췄다고 하지만 지금은 모두 발바닥을 떼어 추는 것으로 통일되었다.
경력이 많은 무당은 몸을 가볍게 움직이면서 높이를 10cm 이내로 뛰지만 경력이 적은 무당은 상당한 높이까지 뛰어 도무만 보아도 무당의 경력을 알 수 있다. 특별한 춤사위라 할 만한 것이 없을 정도로 기본적인 춤이다. 무당은 도무 시 반드시 굿상을 향하고 추고 춤을 끝낸 후 몸을 돌려 재가집을 향한 후 공수를 내린다. 경력이 짧은 무당은 뛸 때 무릎을 뒤로 약간 굽혀 발바닥이 보이게 추기도 하지만 이는 경박하다고 하여 좋지 않은 춤으로 여긴다.
당악장단이다.
도무는 모든 굿거리의 초반부에서 추는 춤이다. 따라서 복식, 의물, 무구는 개별 굿거리마다 다르다. 개별 굿거리의 가장 기본적인 복식, 의물, 무구를 갖춘다.
도무는 서울굿의 가장 기본적인 춤으로 개별 굿거리의 초반부에 들이숙배나숙배춤과 함께 춘다. 들이숙배나숙배춤이 굿거리 초반부에 한 번 추는 반면 도무는 동일 굿거리에서 신령이 바뀔 때마다 춘다. 들이숙배나숙배춤이 굿거리의 구분 또는 같은 계통의 신령을 한 번에 모시는 의미가 있다면, 도무는 개별 신령 한 분을 그때그때 모시는 의미가 있다. 이처럼 서울굿에서는 춤을 통해 굿청에 모시는 신령의 의미를 드러낸다.
서울굿으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모든 굿에 들이숙배나숙배춤이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04호 서울새남굿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사당제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3호 아기씨당굿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4호 밤섬부군당굿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5호 봉화산부군당굿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42호 삼각산도당제 이러한 춤은 경기도의 굿에도 나타난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15호 구리시 갈매동도당굿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8호 안산 잿머리성황제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9호 시흥 군자봉성황제
강인숙ㆍ홍태한 외, 『구리안안팎굿』, 민속원, 2007. 홍태한, 「서울 무당굿춤의 전승과 의미」, 『남도민속연구43』, 남도민속학회, 2021. 홍태한, 「무당굿춤의 전형으로서 굿춤 명칭의 의미」, 『한국무속학39』, 한국무속학회, 2019.
홍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