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의 모든 원고는 공공누리 제2유형입니다.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외에는 출처 표기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음은 관악기 위주의 합주에서 사용된다. 전통음악에서 관악합주는 피리ㆍ대금ㆍ소금과 같은 관악기뿐만 아니라 찰현악기에 해당하는 해금ㆍ아쟁이 함께 편성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는 찰현악기가 가야금ㆍ거문고와 같은 탄현악기 및 양금 등의 타현악기와는 달리 소리를 지속시키는 관악기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연음이 출현하는 관악합주는 크게 향피리가 편성된 합주와 당피리가 편성된 합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향피리 편성의 연음형식(連音形式) 악곡에는 <수제천>ㆍ<동동>ㆍ《관악영산회상》중 <상령산>과 <중령산>이 있다. 당피리 편성의 연음형식 악곡에는 <해령>이 있으며 <보허자>의 1장과 2장 끝부분과 3장에서도 짧은 연음이 연주된다.
김정승(金政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