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의 모든 원고는 공공누리 제2유형입니다.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외에는 출처 표기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완자걸이
완자걸음은 전통춤사위 중 음악의 용어에서 차용된 발디딤 용어이다. 또 완자걸음은 승무와 살풀이춤 등과 같은 전통춤에서 그 전형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완자무늬처럼 기자형(己字型)으로 딛는 발디딤새이다.
완자걸음은 완자걸이라고도 한다. 잉어걸이와 함께 주로 판소리에서 사용되는 음악의 용어이다. 음악의 용어와 춤의 용어가 같이 사용된 것은 과거부터 전통춤의 악가무(樂歌舞)일체 즉 음악과 소리와 춤이 하나라는 개념을 밑바탕에 두고 있는 우리의 전통공연예술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악사와 무용수간 춤과 음악을 공유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음악의 용어를 춤의 용어로 사용한데서 기인한다. 전통춤에서는 승무와 살풀이에서 그 디딤새를 찾아볼 수 있는데, 승무의 완자걸음은 앞발과 뒤발을 꼬아 디 완자무늬처럼 기자형(己字型)으로 엇박에 종종 걸음을 딛는 것이 특징이다. 살풀이 중 도살풀이에서의 완자걸이 디딤새는 실을 엮듯이 발을 엮으며 나아가는 춤사위이다.
이애현(李愛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