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지역 산대놀이 계통의 탈춤과 《강릉관노가면극》에서 주로 타령장단에 맞춰 맨손으로 추는 동작
멍석말이는 경기 지역 산대놀이 계통의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나 《강릉관노가면극》에 나오는 춤 동작으로, 멍석을 마는 모양새에서 동작의 명칭이 유래했다. 몸체를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리거나, 멍석을 말듯이 손이 머리를 감싸며 둥글게 넘어가기 때문이다. 주로 타령장단에 맞춰 취발이나 상좌 등이 춤추며, 손 사위나 다리 사위가 경기 지역 깨끼춤의 특징을 보여준다.
멍석말이 동작의 명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일상에서 멍석말이는 양반가나 마을에서 죄인을 벌하기 위해 멍석에 말아서 매질을 하던 습속을 말한다. 이때 멍석을 마는 모양새에서 동작의 명칭을 가져온 듯하다. 멍석을 말듯이 몸체를 돌리기 때문이며, 손이 머리 뒤에서 머리를 감싸며 앞으로 넘기기 때문에 멍석에 감기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경기 지역 산대놀이 계통의 《양주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 《강릉관노가면극》에서 추어지는데, 동작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양주별산대놀이》에서 멍석말이는 타령장단 1박에서 오른손을 올려 뒷머리에 두고 왼팔은 아래로 떨구며, 오른쪽 다리를 왼쪽 다리 무릎 높이까지 구부려 든다. 2박에서 오른손으로 머리를 타고 넘기며 내리고, 오른쪽 다리도 내린다. 3박과 4박에서는 좌우를 바꿔 춤춘다. 3박에서 왼손을 올려 뒷머리에 두고 오른팔은 아래로 떨구며, 왼쪽 다리를 오른쪽 무릎 높이까지 구부려 든다. 4박에서 왼손으로 뒷머리를 타고 넘기며 내리고, 왼쪽 다리도 내린다. 이 동작을 몸체를 돌리며 하는데, 타령 한 장단에 왼쪽으로 180° 돌게 되므로, 두 장단이면 제자리로 돌아오며 맴돌게 된다. 《양주별산대놀이》의 기본춤 동작 중 하나이며, 취발이와 원숭이가 달아날 때 춘다.
《송파산대놀이》의 멍석말이는 1박에 정면 앞으로 오른팔을 당겨 오른쪽 귀밑을 지나 이마 앞으로 머리를 쓰다듬듯 멈추었다 손목을 아래로 떨어트린다. 2박에 왼팔은 앞으로 오른팔은 옆으로 하여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고 왼다리를 든다. 다리는 1박에서 오른 다리를 무릎 굽혀 허벅지 높이로 들었다가 2박에서 내려놓는다. 3박에 왼팔을 당겨서 머리 뒤에서 이마 앞으로 온다. 이때 왼다리는 돋음새를 한다. 4박에 반대쪽 준비자세로 2박 때의 동작을 한다. 다리는 왼쪽 다리를 3박에서 들었다가 4박에서 내려 놓는다. 첫째상좌의 춤에 추어지며, 발동작은 깨끼걸음으로 한다.
《강릉관노가면극》의 멍석말이는 시시딱딱이와 장자마리의 춤사위이다. 1박에서 오른팔을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감고 오른다리를 90도 꺾어서 오른쪽 옆으로 70도 정도 돌려서 들며 도약한다. 이때 왼팔은 수평을 이룬다. 2박에서 오른팔을 감은 상태에서 양손은 수평을 이루며 오른발을 왼발 앞에 놓고, 왼팔을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감는다. 3박에서 왼다리를 90도 꺾어서 왼쪽 옆으로 70도 정도 돌려서 높이 들며 도약한다. 이때 오른팔은 수평을 이룬다. 4박에서 양손을 수평상태에 놓고 왼쪽으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이때 왼발을 오른발 앞에 놓는다.
경기지역과 강원지역의 타령 장단으로 춘다. 《송파산대놀이》에서 멍석말이는 약간 느린 타령 장단으로 춤추기도 한다. 악기편성은 장구를 중심으로 북, 징, 꽹과리이다.
흰 바지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반장삼이나 더거리를 덧입고, 허리띠를 맨다. 바지에는 행전을 찬다. 무구는 없다.
김희성, 「송파산대놀이 춤사위 구조 분석 : 깨끼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이강복, 「강릉 관노 가면극의 기원과 기본춤사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이병옥ㆍ박원모ㆍ최호식, 『송파산대놀이』, 도서출판 피아, 2006.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전』, 민속원, 2014. 정병호, 「강릉관노가면극의 춤사위」, 강원민속학 3, 1985. 정형호ㆍ서헌강, 『양주별산대놀이』, 화산문화, 2002.
김영희(金伶姬)